View : 637 Download: 0

F. P. Schubert의 Violin Sonata op.162, A장조에 대한 분석 연구

Title
F. P. Schubert의 Violin Sonata op.162, A장조에 대한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ALYTIC STUDY ON F. P. SCHUBERT VIOLIN SONATA OP. 162, A. MAJOR
Authors
이자은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SchubertViolin SonataA장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자
Abstract
F.P.Schubert(1797-1828)는 고전주의에서 낭만주의로 전환되는 중요한 시기에 활동한 작곡가의 한 사람으로 그의 작품에는 고전주의 형식을 바탕으로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풍부한 감정이 혼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4곡의 Violin Sonata 가운데 마지막 작품이며 가장 원숙기의 작품인 Violin Sonata A장조 op. 162를 분석하여 그의 작곡 기법과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분석에 앞서 그의 실내악 작품에 나타난 전반적인 특징에 대해 간단히 고찰하였다. op.162를 분석한 결과 이 작품은 4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악장은 Sonata형식, 제 2악장은 Trio를 가진 복합 3부형식, 제 3악장은 3부형식, 제 4악장은 Sonata형식으로 고전주의 Sonata양식을 따르고 있다. 각 악장간의 조성은 종래의 고전주의 Sonata와 마찬가지로 제 1악장과 제 4악장이 같은 조인 A장조로 되어 있으며 제2악장은 E장조로 원조와 5도 관계, 제3악장은 C장조로 원조와 3도 관계를 이루고 있다. 그의 가장 낭만주의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서정성은 각 주제의 선율을 통해 더욱 아름답게 전개되고 있으며 일정한 선율형의 반복진행, 모방진행, 동형진행등이 전 악장을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반복적 형태는 리듬에서도 적용되어 붓점 리듬, 삼연음 리듬, 당김음등이 중요하게 사용되면서 계속 변형, 반복된다. 또한 그의 가장 뛰어난 화성 양식의 하나인 3도 관계의 전조가 효과적으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변화 화음, 장조와 단조의 급격한 조성 대비등을 통해 곡의 낭만주의적 색채감을 더해 주고 있다.;F.P. Schubert was a composer in the important period that classicism was converted into romanticism, many of his works do contain his lyrical and romantic emotion with the form of classicism. In this thesis, "Violin Sonata A major op. 162" the latest and the finest work of Schubert's 4 pieces of Violin Sonata is studied and analyzed, and its composition method & musical characteristics which appear in his chamber music, are breifly examined. OP. 162 consists of 4 movements ; the 1st movement is taking the sonata form, the 2nd movement taking complex ternary form which has a Tiro, the 3rd movement taking ternary form and the 4th movement taking the sonata form, thus following the structure of classic sonata. The key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s is like that of the classical sonata form, the 1st and 4th movement have the same key as an A major, the 2nd movement has a Dominant relationship as an Emajor with the 1st movement, the 3rd movement has mediant relationship as a c major with the 1st movement. His lyrical characteristics was expressed well in the melody of each theme and the repetition, imitation and sequential progressions were stressed through out the whole movement. This repeated from was applied to the rhythm, and the dotted figure, triplets and syncopations were repeated or transformed. The third relation modulation which was one of his excellent harmony form was effectively used. In addition to this third relation modulation, the romantic characteristics was increased by the variable harmony, the sudden tonal contrast of a major and min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