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소아천식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선별검사

Title
소아천식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선별검사
Other Titles
Psychososcial screening in childhood Asthma
Authors
김혜현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소아천식환자정신사회적 기능소아기 천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근
Abstract
It has been accepted that psychosocial diffcultie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sthma of childhood, as etiologic factor and/or consequence of the disease. Management of these psychosoical problems has great impact on the course of asthma and early finding of the problems has been strongly advoc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sychosocial functioning of asthmatic patients and compare them with other groups of children. The results were follows : 1) Mean PSC scores of each group were: Asthma 17.0 ± 7.6 (Mean ± SD), chronic disease 20.0 ± 9.6, Acute disease 16.6 ± 8.7, Normal control 17.3 ± 8.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control and chronic disease and between Asthma and chronic disease (P<0.05) 2) All four groups are classified as above and below the PSC cut off score (28) which was considered as signifying psychosocial disorder. Distributions of high risk of psychosocial disorder above 28 scores were: 10% of asthma group, 10% of acute disease group, 26% of chronic disease group and 11% of normal control. 3) There i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SMⅢ adaptive function grade and PSC score in all subjects (r=0.17 Y=14.30 + 1.03X Y: PSC score X: DSM grade). (P<0.05) 4) Mean PSC score in normal healthy controls are, Korean 17.3 ± 8.0 and American 18.0 ± 8.3.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소아기 천식은 소아과 영역의 정신신체적 질환(Psychosomatic disease)의 대표적인 질병으로 여러 복잡한 요인이 있으나 그 중 정서적 요인이 병의 원인, 증상 정도, 치료 및 경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정서적 요인에 의한 천신은 신체적 질환에 동반되는 정신사회적 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여, 천식의 재발은 물론 기타 정서장애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소아기 천식에 대한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정신사회적 기능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1988년 1월 1일부터 1988년 6월 30일까지 이화여대 소아과 및 연세의대 부속병원 소아 알레르기 치료실 환자중 7세에서 12세까지의 소아천식환자 100명과 이화여대 부속병원 소아과 입원 및 외래환자중 동 연령의 급성병환자 50명, 만성병환자 50명, 정상대조군 153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 방법으로 소아증상표(Pediatric Symptom Checklist)와 DSM Ⅲ axis Ⅴ 적응기능수준(이하 DSMⅢ 적응기능), 천식의 심도분류표를 사용하여 얻어진 점수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군간의 소아증상표 점수의 평균치를 비교한 결과 천식군과 정상군 및 천식군과 급성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천식군과 만성질환군 또한 정상군과 만성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소아증상표 점수 절점치인 28에 따라 각 군을 분류한 결과 28점 이상의 고 위험도군과 28점 이하군의 분포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전체대상자에 대한 DSM Ⅲ 적응기능 7단계와 소아증상표점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정상대조군 153명과 미국의 동일연령 아동 206명에 대한 소아증상표점수 평균치 비교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