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05 Download: 0

음악요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정신질환자의 행동 및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Title
음악요법을 이용한 간호중재가 정신질환자의 행동 및 정서변화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ystematic music therapy on psychiatric inpatients behavior and mood
Authors
洪明鮮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음악요법정신질환자행동정서변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produce some better quality of nursing method as well as to make the role of nurses much more firmly and to extend the category of it more variously, through making use of the music therapy which can be probably more positive method of nursing intervention for psychiatric inpati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on psychiatric inpatients' behavior and mood. The researcher carried out a clinical quasi experiment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for psychiatric patients. The research was done at the neuropsychiatric ward of a hospital attached to a university in Seoul from March 23th to April 30th, 1987; 40 patients of there were participated for it being divided as two groups, that is a 20 number of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number of control group; and the music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for three weeks t o the experimental group, and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respectively the change in behavior and mood of both groups was measured for a week. For the investigation the music compiled upon the base of Altshuler's 'level attack' method and '14-symtom behavior and mood rating scale' Wyatt and Kupfer produced were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X^(2)-test, ANOVA and ANCOVA by means of SPSS program. The results can be abstracted like these: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 and mood measured for a week before experiment between two groups (P=0.2265). 2. The hypothesis that music therapy has a great influence on changing psychiatric inpatients' behavior and mood was supported, considering that the gap of measured numerical values of those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was more big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undergone systematic music therapy than in the group of no therapy (p=0,000). 3. Judging from the results that is compar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ehavior and mood between two groups with '14 symptom behavior and mood rating sca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 n the symptoms of emotional withdrawl (p=0.00l), depression (p=0.000), anxiety (p=0.000), anger (p=0.037), physical retardation (p=0.006), mental illness (p=0.000), delusion, (p=0.012) and paranoia (p=0.028). Therefore music therapy was shown as to have influence on the changes o f behavior and mood in the 8 kinds of symptoms above mentioned. 4. When examined the differences in behavior and mood chang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 n variables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job, religion, economical conditions, dates passed being in the hospital and the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ame of diagnosis (p=0.0055). 5. The examination of the similarity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have found no difference in variables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dates passed being in the hospital, the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and the name of diagnosis,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al conditions (p=0.0172) Consequently in accordance with the facts like above, I think systematic music therapy gives to much effects (on changing psychiatric inpatients' behavior and mood for the better, and on the decrease of symptoms and the recovery. From this aspect I hereby propose that further researches for the effects or values widely and repeatedly by means of long-term performances of the music therapy of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followed.;현대 과학문명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인간에게 정신적 갈등과 장애를 초래하여 점차 정신질환에 이환되는 환자 수의 증가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정신질환자의 치료로 약물요법 정신요법과 함께 음악을 이용한 활동요법이 중요한 치료의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음악이란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는 범우주적인 인간현상이라 할 수 있으며, 음악의 여러 단면들은 인간의 창조적인 잠재성 이상으로 무한하기 때문에 인간의 문화적 사회적 발전에 부응해서 복잡하게 성장해 왔으며, 최근에 와서 이러한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음악이 의식적으로 하나의 치료형태를 취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병든 사람들을 재활시키는데 유익하게 사용되어 지도록 연구되고 있다 (Tyson 198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요법을 효율적, 체계적으로 시행하여 정신질환자의 행동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 분석함으로 음악요법을 간호중재방법으로써 활용하여 양질의 간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신과 간호원의 역할을 보다 확고히 하고 그 범위를 확대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다. 연구방법은 1987년 3월23일부터 4월30일까지 서울 시내 1개 대학 부속병원 신경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중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 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일에 4회 1회 45분으로 모두 12회에 걸쳐 음악요법을 시행하였고, 실험전후 1주일간 증상별 행동 및 정서 변화를 측정하었다. 사용된 도구로는 Altshuler의 이론에 입각하여 연구자가 음악전문가와 정신과 전문의의 자문을 구하여 편집한 음악과 Wyatt와 Kupfer가 제작한 14개 증상별 행동 및 정서 측정도구 (A Fourteen Sympton Behavior and Mood Rating Scale) 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x^(2)-test , ANOVA,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전 두집단 간의 1주일간 측정한 행동 및 정서 측정치는 (p=0.1265)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체계적인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체계적인 음악요법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전·후간의 행동 및 정서 측정점수 차가 클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p: 0.000) 3.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행동 및 정서변화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14개 증상별 행동 및 정서 척도와 비교 분석한 결과, emotional withdrawal (p=0.001) · depression (p=10.000) · anxiety (p=0.000) · anger (p:=0.037) · physical retardation (p=0.006)·mental illness (p=0.000) delusion (p=0.012) · paranoia (p=0.028)의 증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실험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행동 및 정서변화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종교, 경제상태, 입원경과일, 입원횟수의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진단명과는 (p=0.0055)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유사성 검정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종교, 입원경과일, 입원횟수, 진단명의 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제상태는 (p=0.0172)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음악요법이 정신질환자의 행동 및 정서변화에 많은 영향을 줌으로 정신질환자의 증상경감 및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려된다. 따라서 음악요법을 이용한 간호중재를 장기적으로 시행하여 그 효과를 반복 연구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