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9 Download: 0

유치원 교사 현직교육에 관한 기초연구

Title
유치원 교사 현직교육에 관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A) BASIC STUDY ON THE IN-SERVICE EDUCATION OF PRESCHOOL TEACHERS
Authors
손경란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치원교사현직교육기초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금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바람직한 현직교육의 방향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현직교육의 일반적인 개념 및 구성은 어떠한가? 2.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 현직교육의 발달은 어떠한가? 3. 현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경험했던 현직교육의 내용 및 현직교육을 받은 후의 효과는 어떠한가? 4. 현직교육의 바람직한 교육방법 및 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서울 시내 유치원 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를 토대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를 위하여 사용된 방법은 백분율과 χ^(2)검증법이었으며, 5% 수준에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유치원 교사 현직교육은 민간교직단체에 의해서 출발 주도되었으나, 1982년 이후 정부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다. 2. 현직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부분의 교사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교육내용이 형식적이고 시간과 경제적인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3. 현직교육의 주최기관으로는 문교부와 유아교육과가 설치된 대학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육전공 교수를 가장 바람직한 교수진으로 원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4. 교사들은 Workshop형식이나 토론회 형식의 강의를 이상적으로 생각했으며, 이론에 기초한 강의보다는 학습지도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내용을 교육받고자 함이 나타났고, 현직교육시 평가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며, 바람직한 평가방법으로는 「주제에 따른 연구발표」 를 들었다. 5. 대부분의 교사들이 방학기간중에 현직교육이 실시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교사들의 개인연수경험은 반 수 정도였고, 무경험 교사의 절반가량이 개인연수에 대한 개념이 불확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이해범위가 확대·향상되어야 한다. 2 .현직교육시 교사들이 갖는 경제적 부담이 해소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겠다. 3. 이론위주의 형식적 교육에서 탈피하여 유아교육현장과 직결된 적극적인 현직교육이 실시되어야만 한다. 4. 유아교육과가 설치된 대학을 중심으로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평생교육으로서의 현직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5. 유치원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유치원 교사들만을 위한 현직교사연수원이 설립되어 개방적이며 종합적인 기능을 띈, 유치원 교사들을 위한 자료공급처의 역할을 함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6. 이상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들은 서울시내 사립유치원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조사 실시되었으므로 우리나라 전체유치원교사의 의견으로 확대하여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preschool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matters have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ombined results of literary research and questionnaire fieldwork : 1. What are the general concept and structure of in-service education? 2. What is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education for the preschool teachers Korea? 3. What is the cognition of preschool teachers for the in-service education? What kind of effect is possible after the education? 4. What are the opinions of preschool teachers for the desirable educational methods and structure of in-service education? The questionnaire designed by the author was distributed among 165 preschool teachers in Seoul, and the methods used for the treatment of data were percentage and the Chi-square method, verifying 5% validity margin. The results of detailed research matter are as follows : 1. In-service education of preschool teachers in Korea was started by the level of civil organization after 1982, it is activated by the level of government. 2. Although the majority of teachers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the necessity of in-service education, the problem of educational content being too formal and inefficient concerning time and finances was pointed out. 3. The ideal head organization of in-service education was pointed out to be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a university where a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established. 4. Teachers considered workshops or lecture administered in forum-style as the most ideal, and showed interest in not theoretical lectures, but lectures which directly aided the learning process, the evaluation process of in-service education was seen as indispensible, and the ideal method of evaluation was pointed to be according to them. 5. The most preschool teachers want to have in-service education during their vacation. 6. The half of teachers had receive private training, 50% of non-exercised teachers have the uncertain concept of in-service education. The conclusions obtained by the abov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recognition of concept 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for in-service education of teachers should be expanded and improved. 2. The defrayment of preschool teachers on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solved, and government be supported for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3. Getting out of the formal and theory-centered education, positive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carried. 4. In-servic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improved in the dimension of long-life education with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5.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institute with an open door and composite system for preschool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faculty of proving materials. 6.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private preschool teachers in Seoul, therefore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