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기혼여성 노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Title
기혼여성 노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married woman labor : with emphasis on the labor-cycle of the married woman Songrim 6 Dong in Inchon, of Korea
Authors
이미영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기혼여성노동노동주기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효재
Abstract
This study is purpos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the woman labor in Korea, especially the married woman labor by carrying out researches into the labor-cycle of the woman through the period from before marriage to the present, limited on a part of Songrim 6 Dong in Inchon, of Korea.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 of woman labor is formed by socio-structural factors as class, labor market, patriarchy, and household . In this reason, the important task of this study is surely put a focus on how this factors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of woman labor in Korea.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of married woman labor, basing on the labor-cycle model of peasant migrants in terms of the class study by Prof. Kim Jin-Kyun. For dong so, Songrim 6 Dong in Inchon was selected among nonlicensed fixing district around industrial area, and the survey was taken with in-depth interview through unstructured-questions. Case studies were collected through presently working women among poor married ones.. This study is result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observing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labor-cycle of woman among the peasant migrants, it is thought that the labor-cycle model suggested by the class study of Prof. Kim Jin-Kyun can be evaluated to have a limit in explaining the formal-informal sectoral mobility in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only marriage variable. This sectoral mobility was grasped to take an influence on variables as age, partner presence, family form, child rearing as well marriage. Second, the involvement of women in production activities through labor market is deeply and mutually influenced by the conditions of reproduction role of women. Third, the income level of working women involved in formal or informal sector is ordinarily inclined to support the subsidiary part of the living cost of household. The reason is that these working women are accepting the condition of low labor wage caused by the ideology of patriarchy and sexistic employment structure. Fourth, when we try to seek the movement between formal and informal sector in terms of the connection of foramal-informal sector based on labor-cycle of the married woman worker, the establishment of class category by the sector is limited to explain the real movement of that sector exactly.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hat the woman workers in informal sector had better be grasped marginal labor groups in labor class rather than mar-ginal class. This f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e woman labor in Korea, especially the married woman labor deeply related with the socio-structural factors defining woman's labor participation;본 논문은 인천 송림 6동지역에 한정시켜 결혼 전, 후 현재까지의 여성노동주기를 조사함으로써 한국의 여성노동, 특히 기혼여성노동의 성격을 밝혀보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노동의 성격은 계급, 노동시장, 가부장제, 가정과 같은 사회구조적 요인들에 의해 규정되는데, 이러한 요인들이 한국에서의 여성노동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지웠는가는 중요한 연구 과제임에 틀림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김진균 교수의 계급연구에서 제시된 이농민의 노동주기에 대한 모델을 준거로 삼아 기혼여성노동의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조사지로서 공업단지 주변의 무허가 정착지인 인천 송림 6동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조사대상으로 송림 6동 영세민 밀집지역에서 현재 취업중인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설문으로 이어지는 심층면접을 통해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이농여성들의 노동주기의 변모과정을 고찰해 본 결과, 김진균 교수의 계급연구에서 제시된 이농민의 노동주기에 대한 모델에서와 같이 결혼이라는 변수만을 가지고 이농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공식-비공식 부문간 이동을 설명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부문간 이동에는 결혼이라는 변수이외에 나이, 배우자의 유무와 가족형태, 아이출산과 양육이라는 변수들이 여성들의 노동시장에서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들의 노동시장에서의 생산노동 참여와 가정내 재생산노동에의 참여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이는 여성의 노동주기가 여성의 재생산역할의 조건에 따라 상당히 규정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세째로, 노동시장에서의 공식-비공식 부문의 참여에 따른 소득수준은 모두 가계보조적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작용으로 노동시장의 고용구조가 성차별적이기 때문에 여성의 임금이 저임금으로 구조화되어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네째로, 여성의 노동주기를 중심으로 공식-비공식부문간의 이동양상을 고찰해 볼 때, 부문간 이동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부문에 따른 계급범주의 설정에는 부문의 실재적 움직임을 설명하기에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비공식부문에서의 여성노동자들을 주변계급으로 규정하기 보다는 노동계급내부의 주변적 노동자층으로 파악하는 것이 더 타당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한국의 여성노동, 특히 기혼여성노동의 성격이 여성의 노동참여를 규정짓는 사회구조적 요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