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朝鮮後期 民畵와 社會的 背景에 관한 연구

Title
朝鮮後期 民畵와 社會的 背景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LK PICTURE AND SOCIAL BACKGROUND OF IT IN THE LATE YI DYNASTY
Authors
朴玉善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조선후기민화사회적 배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순영
Abstract
The folk picture reflects the life philosophy and emotions of the common people in our ancient times, and is the best genre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ste in a sense. Nevertheless, the actual circumstance is that the study on this so much important folk picture in our fine art history is being excluded from the present picture history. This condition has been resulted from the lack of systematic and general study due to passive attitude seeing the folk picture simply as the object of interest as well as the dubious quality of historical records on fine arts. The folk picture should not be studied independently but reciprocally with the investigations on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s. And it should be dealt comprehensively in relation with studies on another field of art that establishes organic relations with society as it s product. Through such studies, we could look into the common features of Korean taste and ultimately define the characters of falk picture correctly. This study could be said as an-attempt to deal such problems in general, though somewhat fragmentarily. In it, the content consis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general character of folk picture and relative research on the ideological, cultural elements which influence artistic emotions and aesthetic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social background in the late Yi dynasty. Also, I have defined the characteristics and aethetic consciousness revealed from the folk picture in the late Yi dynasty by investigating the conimon characteristics that undergo in the whole acts of common people. Outlining suchgeneral characteristics, it is revealed that folk picture has close relationship ideologically with the religious influence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based on native faith such as the spirit worship and with the seasonal customs. Therefore, the folk picture formed under such background in the late Yi dynasty could be defined a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s the revelation of devoting love for nature and humanitarian thought, smooth and harmonious sense of contnuity, humorous expression, highly abstrationalized geometrical style, beauty of deep colour and formation of type. The folk picture was expanded and developed by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 occured in the late Yi dynasty, but stagnated and vanished throughout the Japanese occupation in the end of Yi dynasty. But the tradition of folk picture still remains in the sensitivity of Koreanpeople instead of disappearing completely, therefor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n what form could we pursue it anew.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for us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Korean pi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position of folk picture into the present picture history as well as the earnest theoretical inspection on folk picture.;민화는 서민들의 생활철학과 감정을 반영한 우리의 옛 그림으로서 한국적인 멋의 특성이 가장 잘 표출된 그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미술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 민화에 대한 연구가 현 회화사에서는 거의 배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는 미술사료의 문제점도 있겠지만 민화를 단순히 흥미의 대상으로 보는 소극적 태도로 인해 체계적이고 전체적인 연구가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민화는 민화 자체만의 독립적인 연구로 그치지 않고 이에 영향을 주었던 그 시대의 사회적 배경에 대한 제 고찰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의 징표로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다른 분야의 예술에 대한 연구도 연관성을 가지면서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는 한국적 멋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화사의 한 부분으로 위치하고 있는 민화에 대한 성격을 올바르게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 문제들을 단편적으로나마 다루어 보려고 한 하나의 시도이다. 본 연구의 내용을 보면 일반적인 민화의 성격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으며 조선후기의 사회적 배경과 함께 예술의 정서와 미의식에 영향을 준 사상, 문화적인 요소를 다루고 있다. 또한 서민예술 전반에 흐르는 공통된 특성의 고찰을 통해 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나는 미의식과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체적인 특징을 요약해 보면 사상적으로는 精靈숭배 등 고유신앙이 바탕이 되며 불교, 도교, 유교의 종교적 영향과 그 당시의 세시풍속과도 깊은 연관이 있음이 발견된다. 위와 같은 배경 아래서 형성된 조선후기 민화는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인간중심적인 사고의 표출, 부드럽고 원만한 연속감, 해학적 표현, 고도로 추상화된 기하학적 양식, 진채의 아름다움과 유형의 형성 등의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민화는 조선후기의 사회적 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확대, 발전되기도 하였으나 조선말, 일제 식민사회를 거치면서 침체, 소멸되는 현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외형적 형식은 소멸되었지만 내면적인 우리 민족의 감수성은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이제는 이러한 것들을 어떤 형식으로 새롭게 추구해 나가는가 하는 점이 중요하리라 본다. 그러므로 민화의 충실한 이론적 검토 등과 함께 현 회화사에서 민화의 합당한 위치설정을 통한 한국회화의 방향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