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정신박약아의 협응력 향상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박약아의 협응력 향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ORDINATION IN TRANIABLE RETARDED CHILEREN IN SPECIAL SCHOOL
Authors
황선환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정신박약아협응력향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훈련가능급 정신박약아들이 신체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우리몸의 각 골격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눈-손, 손-발 의 움직임은 신체활동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다. 본 연구는 협응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훈련결과 협응력 향상과 협응운동 중 대근육을 중심으로한 운동한 집단과 소근육을 중심으로 운동한 집단으로 나누어 협응능력 향상에 집단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아울러 훈련의 효과를 밝혀 정신박약아 학교체육의 효율적인 지도와 체육수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훈련가능급 정신박약아 중등부 44명을 두 집단으로 22명씩 나누어 협응능력을 측정하여 집단간의 T-test와 ANOVA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자료처리는 서울대학교 전산실에 있는 IBM 3090-150을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package는 SAS이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따라 얻은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출하였다. 1. 실험집단의 항목별 협응력은 향상되었으며 각 항목별 변량분석(one-way ANOVA)한 결과 1 %의 수준(p<0.01)에서 유의한차로 나타났다. 2. 소근육을 중심으로 운동한 집단과 대근육을 중심으로 운동한 집단의 협응능력 항상에 관한 t-검증 결과 두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지능지수와 소근육운동항목 (원자르기, 사람그리기), 체력점수 간에는 다소의 상관성을 보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pecially designed training program for improvement of coordination of trainab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44 children of J. Special school in Seoul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22) for gross motor skill exercise program and the other group (22) for fine motor skill exercise program and trained for 10 weeks. After training, they were tested and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arning effect of each items for coordination of experimental groups showed steady improvement, and each item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y ANOVA (p<0.05 or p<0.01) 2. The T-test result between find motor exercise group and gross motor exercise group for improvement of coordin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3. There were slight corelationships between IQ, fine motor exercise (i.g. cutting circles, figuring faces) and athlete score. Viewed on the results, the coordination of the trainab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improved after these experiments. I think the progress of the athletic ability especially inculding hand-eye, hand-foot will be used in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hem to be economical self reliance. So we must respect the importance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special school and study more about the variable programs and the capability of the well- trained persons in order to reinforce the athletic ability of the retarded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