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질서와 자율의 추상표현 연구

Title
질서와 자율의 추상표현 연구
Authors
신혜영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질서자율추상표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美術이란 視覺的 방법이나 造形的인 방법으로 사람의 감정이나 뜻을 나타내는 예술의 한 種類이다. 특히 現代에 이르러 모든 예술은 좀더 강한 자기자신의 表現을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의 美에 대한 이해는 감정의 문제라는 事實과 感覺的 知覺에 가까운 직관의 한 형식이라는 점이다. 많은 예술가들은 個人的으로 意識的이거나 또는 無意識的인 표현방법들을 택해왔으며, 이런 관점에서 戰後의 여러 예술사조들은 여러가지로 변천을 거듭하게 되었다. 이성이나 관념으로 표현할 수 없는 프로이드의 무의식 세계를 그림으로 표상화하고 있는 앙포르멜은 그림을 그린다는 면에서 최소한의 단위로서의 本質의 세계를 구현하고 있다. 앙포르멜이나 동양의 禪에서 無意識의 세계를 다룸과 마찬가지로 本人의 作品에서도 역시 무의식적 텃치나 제스처를 畵面 속에서 發見할 수 있다. 이런 비정형적 要素를 바탕에 두면서 다시 무의식을 통제하는 理知的인 要素로서 幾何學的인 면 분할을 시도하였다. 대부분 수직, 수평선으로 이루어진 안정된 구도 내에서 사선으로 인해 緊張感을 수반하며, 무의식적 텃치나 반복적 geste´를 통하여 화면은 自然과 事物의 image를 갖게 된다. 또한 色彩를 통하여 이 image는 더 강하게 우리의 感受性을 자극하게 된다. 이 image는 無意識 내에서 떠오르는 자연과 사물에 대한 作家의 經驗이 여과되고, 다시 表出되어져 화면에서 재구성되어진다. 이렇게 平面化된 화면은 더욱 밀도있고 통일감있게 응집되어 관심에 의한 均衡美를 이루는 것이다. 本人의 作品은 視覺的 幻覺現象이라고 말하는 3次元的 空間을 排除하고 現代 예술의 내면적이고 이지적인 要素를 追求하여 人間의 이성과 직관이라는 명제를 純粹造形的인 畵面 분할과 自率的 텃치로서 화면에서 조형화 하고자 한다. Croce(1866~1952)가 말한 "훌륭한 예술은 감정의 성공적 표현이며, 표현은 감정이 명료해져서 理解를 위해 확고하게 주어지는 心像들을 發見하는데 있다." ^(1)라는 말을 공감하는 것이다. 그래서 自律的 表現의 선구적 입장에 있는 Kandinsky(1866∼1944), 기하학적 면분할을 시도한 Piet Mondrian(1972~1944), 그리고 색면파 추상화가인 Rothko(1903~1970)의 작품이나 이론을 본인 작품 서술에 참고하여 본 작품의 심도를 깊이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Fine art is a kind of arts expressing human being's thought and feeling with a visual and formative techniques. Particularly in the modern times, all kinds of arts have come to demand self-expression more strongly. That is, our understanding of beauty is matter of emotion and a from of direct observation close to sensual judgement. Many artists have personally taken techniques of conscious or unconscious expressions, and from this view point,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trend of various arts after the World War Ⅱ. The informel, expressing the unconscious world of Fraud into a picture which cannot be expressed in reason or conception, embodies the world of essence as the smallest unit by drawing a picture. A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is dealt in informel and Zen of the Orient, the unconscious touch or gesture can be found in my works. Basing on this non-typical element together with an intellectual element controlling the unconsciousness, a division of geometrical plane has been attempted. In a stable composition formed mostly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 kind of tension is accompanied by oblique lines, and through unconscious touch or repetitive gesture, the image of nature and things is shown in the picture. This image stimulates our sensibility more strongly through colors, and the image filtered the artist’s experiences on nature and thing coming from the unconsciousness, are exposed and reconstructed on canvas. The plane delineated picture created in this way is concentrated with more density and unity, and formed the beauty of balance by interest. My works have attempted to construct on the canvas the human being’s reason and proposition of direct observation with pure formative division of picture and autonomous touch by pursing internal and intellectual element, excluding the third dimensional space called optical illusional phenomenon. This can be sympathized with what Croce mentioned, “An outstanding work is a successful expression of feeling, and the expression is aimed to find an image firmly given for understanding by the clarified feeling.” Therefore, the works and theories of Kandinsky (1866-1944) who is a pioneer in autonomous expression; of Piet Mondrian (1972-1944) who attempted division of geometrical plane; and of Rothko (1930-1970), a colorist-abstractionist have been referred in the description of my works in order to take this opportunity to confirm the depth of my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