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孫蘭伊-
dc.creator孫蘭伊-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2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6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1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699-
dc.description.abstract본 硏究의 目的은 Henry(1960)의 記憶鼓理論(Memory Drum Theory)을 基礎로 動作時間이 反應計劃時間(Response Programming Time;RPT)에 影響을 미치는 要素로서 意圖된 動作時間, 즉 時相化要件에 따른 反應計劃時間의 變化를 알아보려는 데 있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反應計劃時間의 決定要因에 關한 先行硏究結果와 文獻을 기초로 1) 反應計劃時間은 時相化條件이 주어졌을 때 非時相化條件에 比해 더욱 길어지며 2) 時相化條件에 있어서 各 時相化時間을 比較하였을 때, 時相化의 길이가 길 때보다 짧을 때 反應計劃時間이 길다는 假說을 세웠다. 이러한 假說을 立證하기 위하여 本 硏究에서는 이화여자대학교 체육대학 체육학과 대학원생 16명,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實驗課題는 Klapp(1975)이 사용한 것과 같은 "단추 누르기 과제"를 이용, 4가지 時相化 要件(非時相化, 300msec, 500msec, 700msec)에 따른 反應時間을 選擇反應時間 條件(Choice Reaction Time;CRT)下에서 測定하였다. 본 실험의 各 施行은 예비신호가 울린 뒤 수초후에 視覺信號에 불이 들에오면 주어진 時相化 길이에 따라 단추를 누르는 것으로 實驗의 全體過程이 컴퓨터에 의해 操作되었다. 實驗에서 얻은 選擇反應時間은 一元變量分析(One-Way ANOVA) 및 Newman-Keuls 事後檢査를 하였으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時相化 條件과 非時相化 條件 사이에는 反應計劃時間에 있어서 有意한 差異를 나타냈다. 즉 非時相化 條件이 時相化 條件보다 反應時間의 效果가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2) 時相化條件에 있어서 各 時相化의 길이에 따른 反應時間에는 有意한 차이가 없었다. 3) 時相化要件中 各 條件과 條件사이의 關係에서 非時相化條件과 300msec 條件間에는 有意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時相化要件이 反應計劃時間의 한 決定要因이며, 時相化要件에 따른 反應計劃時間은 時相化의 길이가 길수록 짧아진다는 結論을 지지해 주는 것으로 解釋되었다.;Based on Henry's (1960) memory drum theory, comparisons were made of the choice Reaction time as a function of phasing requirements. Twenty-four university female volunteers were tested in four phasing conditions (non-phasing, 300 msec, 500 msec, and 700 msec.) with button press task. Choice Reaction times (CRTs) and movement times (MTa) were recorded using computerized apparati in a within subject design. A one-way ANOVA plus a post hoc Newman-Keuls test revealed that: 1. significant RT differences existed among the four phasing conditions, and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evidenced between non-phasing and 300 msec conditions.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 phasing requirement could be a determinant of response programming time, and that response programming time decreases as the length of phasing increa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Ⅱ. 理論的 背景 = 3 A. 反應計劃時間의 決定要因 = 3 B. 時相化의 理論的 接近 = 8 C. 時相化와 反應時間과의 關係 = 9 D. 假說 = 12 Ⅲ. 硏究方法 = 14 A. 硏究對象 = 14 B. 課題 및 器材 = 14 C. 實驗設計 = 15 D. 實驗節次 = 17 Ⅳ. 結果 = 19 Ⅴ. 論議 및 結論 = 22 參考文獻 = 24 附錄 ABSTRACT = 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0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상화-
dc.subject요건-
dc.subject반응-
dc.subject계획시간-
dc.subject.ddc700-
dc.title時相化 要件이 反應計劃時間에 미치는 效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phasing requirements on the response programming time-
dc.format.page3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