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주택형태에 따른 유아의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Title
주택형태에 따른 유아의 운동능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ildren's motor ability in relation to housing types
Authors
김진숙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주택형태유아운동능력주거환경성장발달유아발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연순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성장발달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환경요소 중에서 주택환경을 중심으로 유아가 성장해온 주택형태(단독주택, 저층아파트, 고층아파트)에 따라 유아의 체격·운동능력을 비교해 보는 데 목적을 두며 유아들의 운동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운동능력 발달의 촉진을 위한 환경조성에 도움을 주는데 의의를 둔다. 체격, 운동능력 측정을 위한 도구는 윤 남식 외 2명(1975)의 서울시내 유아 운동능력 발달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종목(한발로 서기(좌·우), 앞으로 윗몸 굽히기, 연속 뛰어 넘기, 소프트볼 던지기, 제자리 넓이 뛰기, 25m 달리기)을 사용하여 연구자와 보조원이 직접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내에 저층아파트, 고층아파트, 단독주택이 밀집된 지역에 소재하는 A·K·S의 3개 유치원과 N·B의 2개 유아원에서 현재연령 만5세∼만6세인 유아 중에서 현 주거지에서 2년 이상 거주한 남, 녀 유아 각 20명씩 총 120명으로 하였다. 각 주택형태에 따른 체격과 운동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택형태별에 따른 남녀 유아들의 각 운동능력의 차이 주택형태에 따른 남녀 유아의 각 운동능력의 차이는 고층아파트와 단독주택의 비교에서 한발로 서기 (우)에서만 단독주택의 여아들이 고층아파트 여아들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P<.01). 고층아파트와 저층아파트, 저층아파트와 단독주택의 비교에서는 각 운동능력에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주택형태에 따른 남녀 유아들의 체격차이 주택형태에 따른 체격의 차이에서 체중은 고층아파트와 단독주택의 비교에서 고층아파트 여아들이 단독주택의 여아들보다 더 무겁게 나타났으나 (P<.05 ), 고층아파트와 저층아파트, 저층아파트와 단독주택의 비교에서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키에서는 주택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고층아파트에서 층수별(5층이하, 6층이상)에 따른 남녀 유아들의 각 운동능력의 차이 5층이하와 6층이상 유아의 운동능력 비교에서 여아는 제자리 넓이뛰기에서 5층이하의 유아들이 6층이상 유아들보다 더 우수하였다(P<.05). 다른 능력에서는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치의 전체적 경향은 5층이하의 유아들이 6층이상 유아보다 운동 능력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사전교육의 유무에 따른 남녀 유아들의 각 운동능력의 비교 사전교육을 받은 유아와 받지 않은 유아의 운동능력 비교에서 여아의 한발로 서기(우)에서 사전교육을 받지 않은 유아가 받은 유아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P<.05). 다른 능력에서는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치의 전체적 경향은 사전교육을 받지 않은 유아가 받은 유아보다 운동능력이 높게 나타났다.;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what is of help to provide same circumstance prop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otor ability, by the comparison of the children's physique, and motor ability according to their housing conditions such as their housing in terms of the types of housing, that is, the single housing unit, the low-storied apartment, or the high-storied one. The tools used for such measurements were mainly those used by Nam-sik Youn, et al(1975) in 'A study on motor abilit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Seoul city'. The subjects for the experimenting were 120 children of both sexes of the current age of full five to six years category those who had resided more than two years at the present residences and attended the adjacent three kindergarten A.K.S. and two nurseries N.B. which are converged on the neighborhood of the single housing units, the low-storied or high-storied apartments in Pu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spective motor abilities in the children of both sexes in terms of the housing types was distinctively marked at the balancing position of the right leg by the comparison with those children who are living in the high-storied apartment and the single housing unit respectively and those children residenced in the single housing unit are only superior to those ones in the high-storied apartment at the item of balancing. The result was (p<.01). 2. The differentiation of physique in the children of both sexes in terms of housing units. The differentiation of physique is markedly shown in weight and,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ose children in the high-storied apartment were heavier than those ones in the single housing unit as a value of (p<.05). 3.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spective motor ability in the children of both sexes in terms of the floor position of the high-storied apartment (marked by the below-the-five story and the above-the-six story). The female children who are living below the five story were superior as (p<.05) to those ones living above the six story at the item of the broad jump. 4.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spective motor abilities of children in both sexes basing on the receipt or non-receipt of pre-school education. In the comparison of the receipt or the non-receipt of pre school education, those children who have not received any pre-school education were superior in the item of the balancing position of right side of leg as(p<.05).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