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우리나라 高等學校 生物敎育에서 生物의 分類에 관한 分析的 硏究

Title
우리나라 高等學校 生物敎育에서 生物의 分類에 관한 分析的 硏究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Living Organisms in High School Education of Korea
Authors
姜銀貞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생물교육생물 분류과학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인규
Abstract
This study is to survey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biology education on classification of living organisms and to conduct in order to make the contents of teaching in high school curriculum of Korea. Since 1945,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the period of syllabus (1945- 1954), the period of the course of study (1954-1963),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1963-1974), the period of the second curriculum. (1974-1981), and the period of the third curriculum (1981-until now). In accordance with the each period of the curriculum,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the system of classification for living organism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ontents of teaching on the classification of living Organisms. (1) It was connected with the fields of ecology and morphology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period of the course of study, and was not treated as an independent unit. Taxonomy was education together with the collecting, making the sample, and the method of rearing animals. A lack of education related to the basic principle of the taxonomy was noticed. (2) From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taxonomy were treated as an independent unit. The contents of teaching had been changed to connect more with the field of evolution. (3) At the periods of the first and third curricula, the biology were classified into the book Ⅰ, and book Ⅱ. At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the book Ⅰ. was encouraged to teach the basic concept of the taxonomy, and the book Ⅱ was to teach concretly the classification group. But in practice it on the textbooks, the contents of teaching were overlapped in the book Ⅰ, and Ⅱ. with much confusion. However, at the period of the third curriculum, the field of taxonomy were all integrated and were encouraged to teach only in the book Ⅰ. (4) At the period of the second curriculum, especially, the contents of teaching on the basic theory of classification were omitted. Therefore, most of the textbooks demonstrated it in the unit of kingdom Plantae. (5) At the period of the third curriculum, the contents of teaching on the basic theory of classification were inserted in the unit- of "The abstract of the classification" and were intended to conprehend the basic concepts of the classification. 2. Classification of living organisms system. (1) In the textbook living organisms were classified into two kingdoms, Plantae and Animalia, in the period of the first curriculum, and three kingdoms, adding protista, were divided since the period of the second curriculum. (2) The Textbooks of each period had a various number of classification group. (3) It required to correct the mistake, that virus was included in the group of bacteria. (4) To treat the conjugate as an independent phylum of the chlorophyta was not acceptable to consider modern system of classification. (5) In the some of textbooks and the period of the second and third curriculum, the classification groups including the kingdom protista appeared repeatedly in the kingdoms plantae and animalia, which was a particular trial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of the three kingdoms taxonomically. (6) Terminology on the classifiation groups has been confused for a long period. However it becomes satisfactarily stable in the current textbooks. (7) Taxonomy is a basic knowledge of the biology, as well as to teach how the liying organisms are related phylogenetically in course of evolution.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system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d a careful guidance should be prepared to introduce them without mistake.;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 교육 중 생물의 분류에 관한 역사적 변천을 개관하고, 바람직한 지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해방 후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교수요목시대(1945-1954), 교과과정시대(1954-1963), 제1차 교육과정시대(1963-1974), 제2차 교육과정시대(1974-1981), 제3차 교육과정시대(1981-현재)로 나누고, 각 시대별 교육과정령과 이에 의해 집필된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서 생물의 분류에 관한 지도 내용과 분류 체계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생물의 분류에 관한 지도 내용 ① 교과과정시대까지는 형태 및 생태 분야와 연관되며 독립된 단원으로 다루어지지 않았고 채집과 표본 제작 및 동물 사육법 등을 함께 교육하며 분류학의 기본 원리에 대한 교육이 미흡하여 박물학적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② 제1차 교육과정시대부터 분류학은 독립된 단원으로 취급되고 진화분야와 연관을 미루도록 지도 내용이 변경되었다. ③ 제1차 및 제3차 교육과정시대에는 생물을 Ⅰ과 Ⅱ로 구분하였는데, 제1차 교육과정시대에 Ⅰ권에서는 분류학의 기본 개념을, Ⅱ권에서는 구체적인 분류군에 대하여 지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를 교과서에 적용하는 과정에서는 혼란을 일으켜 Ⅰ과 Ⅱ의 지도 내용 일부를 중복시킨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제3차 교육과정시대에는 생물의 분류는 생물 Ⅰ에서만 지도하도록 하였다. ④ 제2차 교육과정시대의 교육과정령에는 분류학에 관한 기초 이론의 지도 내용이 누락되었으나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윈생생물계 내에서 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⑤ 제3차 교육과정시대의 교육과정령에는 「분류의 개요」를 중단원으로 삽입하여 분류에 관한 기본 개념을 이해시키토록 개선하고 있다. 2. 교과서내의 생물의 분류 체계 ① 제1차 교육과정시대까지는 생물계를 식물계와 동물계의 2 계로 분류하였으나 제2차 교육과정시대부터는 원생생물계를 추가하여 3 계로 분류하였다. ② 각 시대별 교과서마다 취급된 분류군 수가 다양하다. i) 식물계는 교과과정시대부터 차례로 4~17 문, 3~16 문, 10~11 문, 및 10~11 문으로 안정되게 변천하였다. 교과서에 따라 분류군의 수가 큰 차이를 보인 경우는 관속식물과 비관속식물을 도입한 때문이다. ⅱ) 동물계는 교과과정시대부터 차례로 10~12 문, 15 문내외, 11~17 문, 및 12~14 문으로 제2차 교육과정시대를 제외하고는 변동이 없었다. ⅲ) 원생생물계는 6~8 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③ 현행 교과서에서도 비루스를 박테리아류의 한 분류군에 포함시킨 오류를 범하고 있어 시정이 요구된다. ④ 현행 교과서에서도 녹조류의 한 목인 접합조류를 녹조류와 별개의 문으로 다룬 경우도 있어 시정에 요구된다. ⑤ 제2차 및 제3차 교육과정시대의 일부 교과서는 원생생물계에 포함시킨 분류군을 식물계와 동물계에서도 중복하여 다루어 3계 분류군의 연관성을 알게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⑥ 균조식물, 도속식물 등 학계에서 사용하지 않는 명칭으로 분류군을 구분하여 교육 내용을 혼란시킨 교과서도 있었다. ⑦ 생물군을 자칭하는 학술 용어상의 혼란이 초기에는 심하였으나 점차로 통일되었다. ⑧ 분류학은 생물학을 공부하기 위한 기초적 분야인 동시에 생명체를 계통적으로 종합 정리하여 진화적인 유연 관계를 밝히는 결론적인 분야이며 학자들에 따라 그 체계가 다양할 수 있음을 감안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지도상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