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석영-
dc.contributor.author이혜순-
dc.creator이혜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4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0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3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mpleted in order to curtail the excessive teaching content s compared with the limited time, class manned with too many students, and individual variation of the students and to search for the teaching method to promote studying effect as much as possible. As the material of study, the unit "observation of figures" in the textbook of mathematics used by the 1st year class students of middle school. The historical review on the topology was made, centering on the above subject. The contents of topology was examined in the textbook and analyzed. The experimental teaching was conducted with the program workbook reflected, and it was compared and reviewed with the effect of teaching centered on the existing textbooks and teachers. As the object of experimental teaching, two classes of the same year course almost same in intelligence and ability in Han Kang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and one class was designated as a comparative group, and the other as an experimental group. On conducting the experimental teaching on 11 times, the experimental group made the most of program workbook every hour,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by the teacher's explanation and judgement. After completion of teaching the evaluation of the experimental teaching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thereof was compared with the basic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e two groups prior to the experiment and it was statistically treated. As a result thereof, it was able to maintain that the school record of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by the program workbook was much advanc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aught by teacher's explanation and judgement.;본 연구는 요즈음 수학교육상의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제한된 시간에 비해 과다한 지도내용, 과밀학급, 학생들의 개인차등의 문제점을 가능한 줄이고, 학습효과를 올리는 지도방법을 모색하고자하는 뜻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자료로써 현행 중학교 수학 교과서 중의 단원 "도형의 관찰"을 택하여 이를 중심으로 위상기하학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하고, 교과서 중의 위상기하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한다음, 프로그램학습지를 활용한 실험수업을 실시하여 종래의 교과서, 교사 중심의 수업과의 효과를 비교, 검토해 보았다. 실험수업의 대상으로 서울시내 한강여자중학교에서 지능과 실력이 비슷한 동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을 대조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하였다. 11차시에 걸친 실험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실험집단은 매시간 프로그램학습지를 활용하였으며, 대조집단은 교사의 설명과 판서에 의한 방법으로 지도하였다. 수업이 모두 끝난후 두 집단에게 실험수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나온 결과를 실험전 두 집단의 기초학력진단성적과 비교하고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학습지에 의해 지도받은 실험집단이 교사의 설명과 판서로 지도받은 대조집단에 비해 성적이 향상했음을 주장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와 목적 = 1 B. 연구내용 = 1 C. 연구방법 = 2 Ⅱ. 위상기하학의 역사적 고찰 = 3 A. Topology의 발달과정 = 4 B. Topology의 분류 = 8 Ⅲ. 교과서 분석 = 11 A. 교과서 중의 위상기하의 내용 = 11 B. 교과서의 구성 = 18 C. 지도목표 분석 = 19 D. 지도내용의 분석 = 22 E. 내용별 문제 수및 문제의 유형조사 = 25 Ⅳ. 교수, 학습에 관한 실험 = 29 A. 실험대상 = 29 B. 실험기간 = 29 C. 실험재료 = 29 D. 수업내용및 방법 = 29 E. 시험 = 30 F. 통계처리 = 30 Ⅴ. 실험결과및 해석 = 31 A. 일반지능검사와 기초학력진단성적의 비교 = 31 B. 기초학력진단성적과 고사성적의 비교 = 31 Ⅳ. 요약 및 결론 = 39 참고문헌 = 40 부록 = 41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20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위상기하학-
dc.subject도형의 관찰-
dc.subject기초개념지도-
dc.subject중학교 교육과정-
dc.subject.ddc500-
dc.title위상기하학의 기초개념지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교육과정중 "도형의 관찰"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ON TEACHING METHOD FOR BASIC CONCEPTS OF TOPOLOGY : SPECIALLY FOR THE UNIT "OBSERVATION OF FIGURES" IN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dc.format.page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