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428 Download: 0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Title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Other Titles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 With Marital Education Program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한국은 일반적으로 ‘가족주의’가 매우 강한 나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뚜렷한 한국 사회가 70년대 말 80년대 초에 걸쳐 서구 문명과 문화를 수용하기 시작하면서, 가족구조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고(공세권, 1990; 김양희, 1994), 이에 대한 적응형태로서 부자 중심의 가부장권 문화에서 부부 중심의 관계 문화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사회변화에 따른 전통적 가족주의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속도가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종교, 거주지역 등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성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김태현, 1994; 문소정, 1995; 박부진, 1996). 이는 곧 부부간의 갈등 발생을 의미하며, 실제 해를 거듭할수록 부부역할 수행과 기대에서 비롯되는 문제, 배우자의 부정, 갈등, 폭력, 성문제, 이혼, 재혼 등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통계청, 2005). 이에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가족해체 현상과 그로 인해 파급되는 여러 심각한 문제들로 인하여,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이에 관한 여러 프로그램들은 1990년대 초반에 이르면서 개발, 실시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단편적, 불연속적 성격을 갖는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종결되어, 프로그램의 효율성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이는 기존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예방적 차원과 지식 및 정보의 전달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또한 상당수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지 않은 채 실시되고 있어 전문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떨어지고, 평가부분은 아직까지 교육목표와 측정도구의 부적합문제, 양적 평가에만 치우친 문제, 종단적 연구가 안된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최규련, 2003). 특히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밀접한 1차적 관계속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구체적인 평가 기준과 도구의 개발은 아직까지 마련되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평가도구의 부재는 프로그램을 평가할 때 관점, 내용, 방법 등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일 뿐 아니라,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기관, 지역사회 단체 및 기업을 통해 인적, 물적 자원 등을 제공받는 것과 참여자의 프로그램 신뢰에서도 문제로 제기된다. 즉 프로그램의 실시, 지속, 중단, 확대 등에 관한 정책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무리 효율적이고 훌륭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도 이를 평가할 적절한 평가도구가 없다면, 프로그램의 전문성 및 효과성, 평가의 객관성, 신뢰성, 타당성 등을 입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곧 프로그램의 효율성과도 관련되어 단기적이고 일회적인 프로그램으로 종결되기 쉽고, 이러한 결과들이 재순환되어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이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 타당성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부부문제의 심각성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요구와 객관적 평가를 위한 학문적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전략으로 문헌고찰을 선택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프로그램의 성공요인들과 평가 전략 등을 찾아 프로그램의 평가도구를 만들기 위한 개념적 틀을 형성하고 그에 따른 지표와 문항을 개발하여, 이를 중심으로 기존 프로그램에 평가도구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에 프로그램 평가도구는 다음과 같이 개발되었다. 첫째, 계획 부분은 요구도 분석과 마케팅, 그리고 커뮤니티 구성으로 형성하여 각 차원별로 전문성과 다양성, 효과성, 적절성을 측정하도록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둘째, 설계 부분은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안, 교육 방법과 예산의 전문성, 다양성, 독창성, 유용성, 구체성, 문화적 특성, 융통성, 흥미성, 기록성, 적절성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실행부분은 전달체계에 초점을 두고, 다양성, 전문성, 접근가능성, 책임성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평가부분은 자료수집과 해석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측정하고 결과의 효과성을 종합적 평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평가 도구를 국내외 부부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보았을 때 갖는 의의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프로그램의 목표와 실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고, 장․단점 파악이 용이하여 프로그램의 전문성, 효율성, 보편화 및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표준화된 평가도구의 사용은 분석 틀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것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표준화된 평가도구 사용의 증가는 문헌연구의 질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성공적인 프로그램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언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계획시 다양한 요구도 분석과 마케팅 활용, 커뮤니티 구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 설계시 이론적·맥락적·실천적 차원의 고려를 바탕으로 내용안의 다양성과 독창성, 전문성이 고려되고, 예산 평가도 필요하다. 셋째,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 대상의 특성에 맞는 교육방법 및 평가 도구들로 구성된 프로그램 교육과정의 개발, 다양한 전달 매체 및 교수전략, 도구 지침 확보 그리고 지역사회․공공기관 및 기업과의 네트워크 연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이는 프로그램의 성공적 요인과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평가는 평가틀을 가지고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에 프로그램 평가시 각 단계별 지표마다 양적 또는 질적 측정을 사용하여 보다 평가자료 수집과 분석의 신뢰성과 타당성 그리고 결과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 to develop program evaluation tool used to analysis family life education(FLE) program and (b) to applicate an empirically FLE program in cross culture perspective. Especially, this study is to know what are successful elements and problems of FLE, drawing on the published literature of FLE program including marital education program. Such elements are important to guide development efforts if implementers are to maximize their effectiveness. Thus, some of the elements can be more directly applied to most any program design framework as well as the standards of evaluation tool. Evaluation too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laning, the designing, the practice, the evaluation of FLE program development. Major findings are: First, when evaluating the quality of an FLE program, there are three elements of the planning that are important to consider: Demand analysis, Marketing plan, Community making. Characteristics of the planning would be manipulated in program' specialty, diversity, effectiveness, Second, the designing of an FLE program are four elements that consists of educational go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methods, and budget. For measuring program' specialty, diversity, effectiveness, cultural characteristic, propriety, utilization and definiteness, elements of the designing must be based on leading edge theory and research. Third, the practice of an FLE program consist of delivery system. Whereas the designing articulate what needs to be taught, the practice part of an program would be detailed how the idea are to taught or what methods have been used most effectively to teach the principles. Fourth, the evaluation of an FLE program would be included additional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that demonstrate program effectiveness, reliability and propriety. As 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evaluation tool development used to evaluate FLE is relevant (a) to develop successful program framework, (b) to apply developed program and (c) to increase quality of litera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