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영애-
dc.contributor.author정현숙-
dc.creator정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0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0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21-
dc.description.abstract글자 지각에 있어서, 어떤 글자가 단어 맥락 속에서 제시될 때 빠르게 처리되며, 맥락 내의 오자를 탐지하기 힘들 가능성이 크다는 종래의 연구 결과(예, Healy, 1980)와 달리, Levy(1983)는 사전제시를 통해 익숙해진 텍스트(text)의 경우, 지각 처리(perceptual processing)가 보다 철저하고 정확하며, 따라서 오자 탐지가 용이하다고 말하였다. 그는 이러한 효과가 의미차원과 관계없이 시각차원 자체에서 비롯된다고 보고, 이를 설명하는 가설로서 시각 경험의 전이설(visual pattern analysis hypothesis)과 용량 재분배설(redistribut ion of processing resources hypothesis)을 들었다. 전자는 사전 제시때문에 오자탐지과제에서의 텍스트에 대한 시각 처리 기술이 보다 능숙해졌으리라는 설명이고 후자는 사전 제시를 통해 텍스트의 의미맥락에 대한 파악이 미리 이루어졌으므로 과제 수행시 정보 처리 용량에 여유가 생겨, 그 여유 용량으로 시각 처리를 더 엄밀히 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독서수준, 텍스트의 사전제시 유·무, 텍스트의 이해난이도 수준, 오자탐지과제조건(정상텍스트 대 단어혼합배열텍스트)을 달리하여 Levy의 실험결과를 재검토하고 그의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독서수준에 따른 오자탐지율은 텍스트의 난이도, 사전제시 유무, 과제조건등의 모든 조건에서 독서수준이 높은 아동들이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 2) 사전제시를 통해 숙지도를 높인 텍스트에서 오자를 더 잘 탐지하는 것을 보였다. 3) 쉬운 텍스트가 어려운 텍스트보다 오자 탐지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4) 사전제시조건이 정상 텍스트이든 단어혼합배열 텍스트이든 상관없이 오자 탐지율이 향상되었다. 2), 3), 4)의 결과로 시각적 경험만으로 숙지효과가 나타난다는 Levy의 주장이 재검증된 것이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 사전제시 조건과는 상관없이 과제조건에 따른 오자 탐지율의 차이가 없었는데 이것은 용량재분배가설의 타당성을 약화시켰다. 결론적으로 사전 제시를 통해 숙지도를 높인 텍스트에서 오자를 더 잘 찾아내고, 쉬운 텍스트에서의 오자 탐지율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Levy의 시각경험의 전이설이 재검증되었으나 과제조건에 따른 오자 탐지율에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용량 재분배가설을 검증할 수 없었다.;Levy (1983) demonstrated that familiarity of prior knowledge of a passage lead to better proofreading of that passage. Levy explained the results in terms of skilled visual pattern analyses and the redistribution of processing resources. The former account suggests that prior experience with specific visual letter-sequence or word patterns will lead to a positive transfer when those patterns are encountered in later text processing. The latter account suggests that familiarity or prior knowledge dose not change the fluency of any process, but rather lead to a redistribution of processing resources, when readers are familiar with a Passage, fewer resources will be required to comprehend the "known" passage, so that resources are "freed" for more analyses at the visual level. The present study was planned to replicated the result that familiar test reveals visual errors and to test the two hypotheses Levy suggeste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experiment are reading abilities (good vs. poor), familiarity (familiar vs. unfamiliar), difffi-culty (easy vs. difficult), and types of proofreading text (normal text vs. scrambled words versio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experiment is the percentage of correctly detected spelling errors. In the experiment, subjects were given 8 passages and to strike out any spelling errors they noticed as they read. The instruction emphasized that reading would be done at normal speed and with full understanding. In order to encourage reading for understanding subjects were given comprehension text after each normal type of a proofreading passage. The result of this study replicated Levy's finding that preexperiental familiarity lead to better detection of proofreading errors compared to proofreading unfamiliar text did and easy text appeared to lead to better detection of proofreading errors and errors were detected in prior knowledge of a passage-normal text or scrambled words version-than in no prior knowledge of a passage Thus Levy's hypotheses that familiarity effect improved by visual experience resulted in replication. The detection of proofreading errors due to reading abilities showed that good readers were better than poor readers in all conditions. But in this experiment, detection of proofreading errors varied with types of proofreading text. This finding does not agree to Levy's. The fact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types of proofreading text reduces the validity of Levy's redistribution of processing hypothesis. In conclusion, Levy's visual pattern analysis hypothesis was replicated by higher detection of proofreading errors in prior knowledge of passage and in easy text. But difference in types of proofreading text wouldn't replicate the redistribution of processing resources hypothe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방법 및 절차 = 10 A. 피험자 = 10 B. 자극재료 = 10 C. 실험 설계 = 12 D. 실험 절차 = 13 E. 자료 처리 = 14 Ⅲ. 결과 = 15 Ⅳ. 논의 = 23 참고문헌 = 27 부록 = 29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49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독서수준-
dc.subject텍스트-
dc.subject난이도-
dc.title아동의 독서수준과 텍스트의 난이도, 숙지도 및 정상성에 따른 오자 탐지 과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etter Detection Tasks in Reading Processes-
dc.format.page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