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우-
dc.contributor.author권성자-
dc.creator권성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9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6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0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6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어린이 특히 4, 5, 6세의 어린이들이 죽음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성인들의 지도 태도를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으로 죽음의 관찰경험, 죽음의 원인, 불가역성, 죽는 시기, 죽은 후에 대한 생각, 죽음의 보편성, 성인들의 지도 등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는 서울시내에 소재해 있는 4 , 5 , 6세의 복합연령 집단으로 구성된 2개 유치원어린이 7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Koocher에 의해 만들어지고 Weininger에 의해 구체화된 4개의 면접문항에 본 연구자가 포함시킨 3개의 문항을 더한 7개의 문항으로 질문하였으며, 표현능력이 부족한 4 , 5세의 어린이 일부에게는 면접 문항외에 그림을 그리도록 하여 그들이 죽음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백분율과 x^(2)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연 다음과 같다. 1. 죽음의 관찰 경험에 있어서는 면접 대상자의 70.8%가 죽음을 관찰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죽음을 관찰한 경험을 더 많이 보이고 있다. 4세 어린이는 식물이나 꽃으로부터, 5, 6세 어린이는 사람이나 T. V를 통해 죽음을 관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의 죽음을 관찰한 경우에는 이웃사람의 죽음이나 할아버지, 할머니의 죽음을 통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종교의 유무별로 보았을 때 성별과 종교의 유무는 죽음의 관찰경험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죽음의 원인에 있어서는 교통사고, 총·칼의 피해에 의한 특수원인이 31.4%로 가장 많고, 일반적 원인, 모르겠다, 종교적 원인, 잠재적 원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4세는 모르겠다가 가장 많고, 5세에서는 특수 원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세에서는 일반적 원인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죽음의 원인이 더 사실적인 면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성별이나 종교의 유무는 죽음의 원인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불가역성에 있어서는 면접 대상 어린이의 70 %가 죽은 사람을 다시 살려낼 수 있다고 하였으며 연령별로는 4세는 모르겠다는 대답이 가장 많고 5세는 약이나 병원을 통해서 살릴 수 있다고 믿는 유아들이 가장 많으며 6세가 되면 여러가지 방법이 골고루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성별 비교에서는 여자 어린이가 남자 어린이 보다 다시 살릴 수 있다는 생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으며 종교유무별 분석에서는 종교가 있는 경우가 종교가 없는 경우보다 다시 살릴 수 있다는 생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4. 사람이 죽는 시기에 있어서는 일반적 원인인 늙어서가 30 %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연령별로 보면 4세는 모르겠다가 가장 높고 5세의 경우는 대부분이 죽지 않는다고 믿고 있으며6세는 늙으면 주게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실적으로 이해되어 간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성별과 종교의 유무와 사람이 죽는 시기와는 별 관계가 없었다. 5. 죽은 후에 대한 생각에 있어서는 집, 병원으로 간다가 48.6%로 가장 높으며 연령별로는 4, 5세는 집이나 병원으로 간다고 생각하는 유아들이 가장 많으며 6세 유아들은 땅에 묻힌다고알고있는 유아들이 많은 것으로 보아, 6세가 되어야 사실적으로 이해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성별에 있어서는 별로 관계가 없었으며, 종교의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는 하늘나라로 간다고 대답한 경우만 종교 그룹이 비종교 그룹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6. 죽음의 보편성에 있어서는 죽지 않는다는 대답이 48.6 %로 가장 많으며 연령별로는 4, 5세 유아들은 죽지 않는다는 생각이 가장 많고, 6세 유아들은 모든 사람이 다 죽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및 종교의 유무에 있어서는 보편성과 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죽음에 대한 성인들의 지도에 있어서는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성인들로부터 들어보지 못한 경우가 73.1 %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죽음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본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며 죽음에 대한 지도는 부모로부터 가장 많이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죽음에 대한 이해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의해서는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종교의 유무에 있어서는 불가역성이나 죽은 후에 대한 생각의 일부만 종교의 유무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xtent of death of death understanding for children from 4 to 6 years old. For the above purpose, the experience of death-observation, the cause and irrevocability of death, the time of death, the concept of after-death, its universality and the death Education of adults for children are examin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0 children of 4, 5, 6 years old children two kindergartens. The interviews were used with 7 items including 4 items which were made by Koocher and rearranged by Weininger and the researcher's 3 items. And the drawing method was utilized for children of 4 and 5 years old besides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percentage and chi-squa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experience of death-observation, the 70% of total subjects have the experience. As age grows, the experience tends to increase. The children of 4 years old observed the death through the plants or flowers and those of 5 and 6 years old did through man or media like T.V., In the case of man's death-observation. Many of the Children have seen the neighbours and their grand parents. The sex and religion have no effect on the experience of death observation. 2. In the cause of death, Children tend to regard that the most important is the special causes as 31.4%, and the general causes, ignorance, religional cause and potential cause are placed in next orders. In terms of age the ignorance in 4 years old , special cause in 5 years old and the general cause in 6 years old are represented as main causes of death. Such as this , the causes of death approach to death as age grows. However, the sex and religion have no effect on the cause of death. 3. In the irrevocability of death, the 70% of total subjects have the irrevocability. Children of 4 years old have the thought of its ignorance and those of 5 years old do medicine or hospital and those of 6 years old can fu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irrevocability In terms of sex, the female children have more revocability than the male children. In religion, the children with religion have more revocability than those without religion. 4. In the time when the man dies, "the old" shows the highest proportion as 30%. In age, the ignorance in 4 years old , the immortal in 5 years old , and the old in 6 years old are expressed as an important factor. The sex and religion have no effect on the time when the man dies. 5. In the concept of after-life, children understand the real concept of death as "go to hospital or home (48.6%). In age, children have the concept of" go to hospital or home in 4 or 5 years old and that of "buried in soil" in 6 years old. The sex has no effect on the concept of after-death of children. However, the religional Group has a bit more proportion than that of the non-religional group in "go to heaven". 6. In the universality of death, the 62.5% of the Children respond that they will die, and the 42.9% in 4 years old and 64% in 5 years old have the though that they will not die. The sex and religion have no influence on its universality. 7. In terms of adults attitudes toward death education parents almost teach their children about death. Conclusively,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death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age. But the sex or religion only partly influence on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죽음에 관한 제 이론 = 5 B. 죽음의 이해에 대한 지도 = 15 C. 선행연구 = 25 Ⅲ. 연구방법 = 31 A. 연구의 대상 = 31 B. 연구의 도구 = 32 C. 연구의 절차 = 32 D. 자료 분석 = 33 Ⅳ. 결과 및 해석 = 34 Ⅴ. 요약 및 결론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6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017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어린이-
dc.subject죽음-
dc.subject이해연구-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ddc300-
dc.title어린이들의 죽음에 대한 이해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ath-
dc.format.page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