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강령탈춤 춤사위 연구

Title
강령탈춤 춤사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OOMSAWI OF KANGYONG MASK DANCE : ON "MALTTUKI CHOOM"
Authors
鄭明煥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Keywords
강령탈춤춤사위곤장말뚝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희완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Choomsawi (dancing motions) of Kangnyong Mask Dance, one of the Haeweo mask dances (of Hwanghae Province), which has attempted to explain the choomsawi styles of the Korean mask dances through analysis of Malttuki Dance in Kangnyong Mask Dance Choomsawis. Mask dance, as a synthetic art, requires research in various spects and can be a good example for cooperative and mutual education approaches. A study on choomsawi,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sk dance, not on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ask dance itself but also is a major factor in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whole. As dancing is finished with one performance and shapeless, kinetography of dancing motions is essential in order to keep as research materials. Before analyzing Kangnyong Mask Dance choomsawi, the origin and process of its formation, and the contents of each scene are to be clarified first through existing research materials. Basing on these, the origin and precess of motions as well as principal of style have been followed up,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ncing space covered with high and low motion lines was made clear compared with other choomsawis; also meaning of choomsawi was examined and the aesthetic valve of choomsawi was further looked into. The origin of motions in Kangnyong Mask Dance can be presumed to be influenced by the sharmanic dances, military actions, relations with gisaenss of Hwanghae Province and the coastal areas, including labour dance and dances for common people. The characteristics of Gonjang Malttuki Dance, which is the basis of Kangnyong Mask Dance choomsawi, has been summarized as follows: 1. The Gonjang Malttuki Dance consists of hopping steps in most of the foot motions and am motions above shoulder lines. 2. Right foot and right arm act at the same time. 3. The posture of body forms a straight motion facing front and the foot motion forms 7 - shape toward front. 4. Heading motions are not so violent, waving right and left slowly or up and down moderately to the rhythm. 5. Various kinds of stage sets are used, and according to such sets, different arm motions are made like forming circles or straight lines. 6. The motion at the final beat is to be the posture for the next motion. 7. The motion line forms a symetrical line well matching with circles and straight lines as couple dance style and the high and low motions are wide. 8. The whole process is deployed into mime - slow dance to Buddhist invocation - moderate dance to Taryung jangdan (a kind of tune) - speedy dance to exorcism jangdan or gogejabbi (a kind of heading motion). In the middle part of each rhythm, there is a climax there is a climax which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flow of motions. 9. There is not a part to get a beat off or to pause motions between rhythms. The formative meaning of choomsawi is as follows: The Gonjang Malttuki Dance (alias Chotmokchoom) has the ceremonial nature of spaee as the first scene of the opening of the stage. From start to end, two Malttukis dance with gesture waving whips, colliding with each other and then withdrawing, making battling motions with arms, which represent te confirm deeper friendly relations between two Malttukis through fighting. This kind of Gonjang Malttuki Dance is also seen in yangban scene, where a Malttuki makes gesture of driving a stack and whipping yangban as he appears on the stage, which has the meaning of ridiculing and insulting yangbans. The Gonjang Malttuki Dance has a strong ceremonial nature to purify the uncleanliness in the scene of spree in the mask dance while the Malttuki Dance in the yangban scene shows a typical character, which means struggle of the general public against the yangban power. Gonjang Malttuki Dance consisted of leaping motions of typical male dance in motio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unmoo is very dynamic and shows beauty of space style covering the round stage with a couple dance style. The gradual tempo in accompaniment music from slow rhythm to speedy one, the distinct beginning and end in the process of dancing, insertion of unprecedented element breaking the general flow in the middle part, and the motions like binding, dandling & releasing, etc. are coinciding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dance.;이 논문은 해서 가면극 중의 하나인 강령탈춤의 춤사위 연구이다.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강령탈춤 춤사위 중에서 말뚝이춤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 가면극의 춤사위 양상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고자 한다. 탈춤은 종합예술로서 다각적인 측면에서 그 연구가 필요하며, 학문상호간 유기적이고, 교호적이고, 협동적이고, 상호교육적인, 총체적 접근을 시도해 볼 수 있는 좋은 본보기가 된다. 탈춤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춤사위에 관한 연구는 탈춤 자체의 특성을 규명하는 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춤의 한 특성을 밝혀내는데 관건이 되고 있다. 춤은 단회적이고, 무형이기 때문에 이들의 연희를 기록하여 자료화하는 무보화 작업은 중요하다. 우선 강령탈춤 춤사위를 분석하기에 앞서, 강령탈춤의 유래 및 형성과정과 각 과장별 내용을 기존 연구성과를 통해 밝히고, 이것을 토대로 동작의 생성요인과 동작의 진행구조 및 형식원리를 찾고, 동작선과 높낮이로 구성되는 무용공간의 특징을 다른 춤사위와의 비교를 통해서 밝혔다. 그리고 춤사위의 의미를 규명하고, 나아가 강령탈춤 춤사위가 지닌 미적가치를 살펴 보았다. 우선 강령탈춤 속에 나오는 동작의 생성요인은 일춤(노동무)이나 일반서민의 놀이춤을 비롯하여, 황해도 기질과 해안지방의 무속춤의영향, 무술적 동작들, 기생춤과의 관계 등을 통하여 추정될 수 있겠다. 강령탈춤 춤사위 중 기본이 되는 곤장말뚝이춤을 중심으로 춤이 지닌 특징에 대해 살펴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발동작은 주로 뛰는 동작이고, 팔동작도 어깨선 위의 동작이 많다. ② 오른발, 오른팔이 동시 동작한다. ③ 몸의 자세는 정면을 향해 정자세를 취하고, 다리는 앞을 향해 ㄱ자로 든다. ④ 고개짓은 격렬하지 않으며 원박에 맞춰서 좌우로 천천히 흔들거나, 상하로 절도있게 움직인다. ⑤ 소도구가 다양하며, 소도구에 따라 팔동작이 둥굴거나, 혹은 직선적인 동작으로 변하게 된다. ⑤ 장단의 마지막 박자의 동작은, 다음 동작을 위한 준비자세가 된다. ⑦ 동작선은 대무형식으로서, 원과 직선이 조화롭게 어울린 좌우대칭선이며, 높낮이의 폭이 크다. ⑧ 전체적인 진행구조는 마임→염불장단의 느린춤→타령장단의 절도있는 춤→굿거리 장단의 빠른 춤으로 전개되며, 엎발찍기, 혹은 고개잡이와 같이 얼러주는 동작이 들어간다. 또한 각 장단의 중간부분 정도에서 평상적인 흐름을 묶어내는 클라이막스 대목이 있다. ⑨ 엇박을 타거나 먹어주는 대목이 없다. 춤사위의 형태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말뚝이춤(일명 첫목춤)은, 다른 탈춤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것으로, 판열음의 첫 대목으로서 판씻음의 의식무적인 성격을 지닌다. 처음부터 끝까지 말뚝이 둘이서 곤장을 휘둘리기도 하고, 맞부딪혀 물러나며 팔뚝짓을 하는 모습은, 서로 싸우고 겨룸으로써 오히려 두말뚝이간의 친화를 다지는 의미로도 볼 수 있다. 이러한 곤장말뚝이춤은 양반과장에서도 보인다. 여기서는 말뚝이가 등장할 때 말뚝박는 몸짓과, 양반을 채찍으로 후려치는데, 이는 양반을 조롱하고 모욕하는 의미이다. 곤장말뚝이춤이 탈춤의 판놀음에서 부정적인 것을 정화시키는 의식무적인 성격이 강하다면, 양반과장의 말뚝이춤은 양반의 세력과 대항하는 민중적 항거의 뜻이 강하다. 곤장말뚝이춤은 또한 동작에 있어서 健舞의 특성을 지닌 전형적인 남성춤의 跳舞로서 역동적인 멋이 있고 對舞형식으로서 원형인 탈판을 가득 채워 주는 공간형식의 美가 엿보인다. 그리고 반주음악에 있어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몰아가는 점층적 고조와, 춤의 진행구조에 있어 시작과 끝이 분명함과, 중간대목에 일상의 흐름을 깨는 파격적인 요소의 삽입, 그리고 춤사위의 연결에 있어서 춤의 맺고, 풀고, 얼러줌 등은 우리춤의 일반적인 특성과도 일치하는 면이 있다고 하겠다. 일반적으로 탈춤의 美는 굵고, 생동적이고, 역동적인 맛이 있는데 그것은 곧 민중들의 억세고, 끈질기고, 건강한 생활의식을 미적으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며, 특히 강령탈춤의 말뚝이춤은 그러한 특성을 대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