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現行 古典文學 敎科書 分析硏究

Title
現行 古典文學 敎科書 分析硏究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current classical literature textbooks
Authors
趙蓮姬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현행고전문학교과서분석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병호
Abstract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several areas concerning high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ave been unduly neglected in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veral interesting aspects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 since 1945, with its principal emphasis on subject-specific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s undergone 4th revision. For this purpose, following specific steps are taken: To survey subject objectives, teaching contents and class- hour unit of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o study editing system and general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textbooks from first to third version, and to investigage compilatory guides, studying method, evaluation, and teaching objectives and contents. Main frui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ducational curriculum has undergone fourth revision. Secondly, the title of the textbook has changed four 'Histor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cient Letters'/'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B Classic'/'Classic'--- 'Classic'--- 'Classical literature'. Thirdly, in the fourth curriculim , 'Classic' in the third changed into 'Classical Literature' and class- hour unit per week for classical literature is decreased to 3 or 4 hours due to new incorporation of modern literature into current textbook. Fourthly, it is from 1962, when there was second revision, that classical literature comes to be taught formally with authorized textbooks. Fifthly, the number of kind of textbook, which was 16 in 1962, has decreased to 5. Sixthly, it is 'Dusieonhae' which has been included in all textbooks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Standard Ancient Letters' (1955, Lee Byoung-Ki and Jung In-Sung) to current textbook, 'Classical Literature'. Seventhly, the number of works which are included in all the current textbooks is 13-'Dankunsinhwa', 'Kujiga', 'Hwangjoga', 'Seodongyo', 'Jemangmaega', 'Dongdong', 'Cheongsanbyulgog', 'Hallimbylgog', 'Yongbiocheonga', 'Weolincheongangjigog', 'Dusieonhae', 'Myunangjungga', and Ildongjangyoga'. Comparing this with third curricum, which has only six common works-- 'Kujiga', 'Dongdong', 'Dusieonhae', 'Ildongjangyga', 'Goowoomong', and 'Hanjungnok', it can be rightly concluded that the Common features of learning contents in textbook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Eighthly, the retio between verse and prose is well - balanced with respect to contents of 'Classical Literature'. Ninthly, the number of sijo-literary works which are included in textbooks is decreased: 106 in the first curriculum(in 'Standard Ancient Letters'),34-192 in the second, 39-84 in the third, and 31-53 in the current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number of works which are overlapped in 'Middle school Korean' and 'High School Korean' is 15. Finally, Chinese Literature has undergone drastic change; It was included in the second curriculum, expurgated in the third, and re-included in the current curriculum. As a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following suggestion for overall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1)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taught on the basis of the general Korean language teaching curriculum. (2) Works should be taught by loud reading : The difficulty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rue meaning of ancient works can be overcome by loud reading, because the character of phonetic symbol, Hangeul itself has its own meaning. (3) Literary works should be taught on the genre-specific basis. (4) In teaching ancient novels, its correlation with modern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5) In teaching sijo-Literature, the Composition activity must be emphasized. (6) In teaching classical diction, terminological unity between classic and modern grammar should be considered.;금년은 韓國 政府 樹立과 때를 같이한 韓國語敎育이 40년 되는 해이다. 금년 3월부터 一般系 高等擧校 人文系列 학생들은 第4次 敎育課程에 따라 국어Ⅱ의 한 영역인 古典文學을 새 교과서로 공부하게 되었다. 금년부터 국어Ⅱ에 새로 現代文學이 신설된 점을 생각할 때 古典文學 敎育도 이제 어느 정도 整理되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現代文學과의 관련성을 도모해야 할 과제가 새로 주어졌다고 하겠다. 그동안 高等學校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학습 내용에 관한 연구논문이나, 文法, 漢文 等에 관한 敎育논문은 있어왔지만, 古典文學 敎育논문이나 高等學校 국어과 敎育課程에 관한 논문은 아주 드물다. 그래서 高等學校 국어과 敎育의 深化敎育인 국어Ⅱ, 그 중 역사깊은 古典文學이 어떻게 敎育되어 왔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국어과 敎育課程의 敎科目標 중심으로 교과서를 분석하여 보았다. 敎科目標를 구체화한 것이 교과서라 볼 때 現行 古典文學 교과서는 이제까지 변천해온 古典文學 敎育에 대한 기록의 결정이요 목표의 集合인 것이다. 政府 樹立後로부터 現行 第4次 敎育課程까지의 古典文學 敎育目標 指導內容, 시간편제 등을 살피고, 第3次 敎育課程까지의 古典文學교과서 편집체제, 학습내용 등을 알아보고 現行 교과서 「고전문학」의 편찬 방침, 학습목표, 내용, 평가 등을 조사하여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現行 국어과 敎育課程은 政府 樹立後 4次 改定된 敎育課程이다. 둘째, 「국어국문학사」→「옛글」·「국문학사」→「○○고전」·「고전」→ 「고전」→「고전문학」으로 古典文學 교과서 명칭이 바뀌어 왔다. 세째, 第4次 敎育課程에서는 第3次 敎育課程의 「고전」이 「고전문학」으로 바뀌었고 새 교과서 「현대문학」이 증설되면서 「고전문학」 지도 시간 단위가 3∼4로 줄어 들었다. 네째, 高等學校에서 古典文學이 檢認定敎科書를 가지고 정식으로 지도되기 시작한 것은 1962년의 第2次 敎育課程때부터이다. 다섯째, 第1次 敎育課程때의 문교부 認定畢「표준 옛글」 (1995, 이 병기 정 인승)이래 現行 「고전문학」 교과서에까지 모든 교과서에 빠짐없이 실린 작품은 '두시언해'이다. 일곱째, 現行「고전문학」 5종 공통 수록 작품은 13편으로- '단군신화 ' '구지가 ' '황조가' '서동요' '제망매가' '동동' '청산별곡' '한림별곡'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두시언해' '면앙정가' '일동장유가' -第3次 敎育課程때의 6편인 '구지가' '동동' '두시언해' '일동장유가' '구운몽' '한중록' 보다 학습내용의 공통성이 커졌다. 여덟째, 고전문학 학습내용상 시가와 산문 비율의 균형이 잡혔다. 아홉째, 시조문학의 경우, 第1次 敎育課程때 106수(「표준 옛글」의 경우), 第2次 敎育課程때 34∼192수, 第3次 敎育課程때 39∼84수로 수록된 작품수가 줄어들면서 現行 「고전문학」 에서는 31∼53수로 수록된 진폭이 좁혀졌다. 그려나, 아직 「중학국어」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도 실려 있어 중복되는 시조 작품이 15수나 된다. 열째, 漢文學은 第2次 敎育課程때 지도되었다가 第3次 敎育課程때는 없어졌다. 그러나 現行 「고전문학」에선 적잖이 漢文學을 다루는 경향이다. 끝으로, 古典文學 敎育의 유의사항을 몇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1) 國語科 敎育課程을 살피고 古典文學을 지도해야 한다. (2) 古典文學 작품은 낭독해서 지도함으로 표기상의 난해함을 극복 할 수 있다. 낭독하면 표음문자인 까닭에 뜻이 전해져 온다. (3) 문학작품은 쟝르별 특성을 잘 파악하여야 하며 지도방법도 달라야 한다. (4) 고대소설을 지도할 때 특히 현대문학과의 관련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5) 시조에서 작문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6) 국어사 및 고전어법을 교과서에 실어 지도할 수 있기 바라며 지도할 때 현대문법과 용어상 통일성을 갖도록 지도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