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한국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H-T-P검사 반응에 대한 비교연구

Title
한국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H-T-P검사 반응에 대한 비교연구
Other Titles
(THE) H-T-P TEST :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SPONSE PATTERN OF THE NORMAL AND ABNORMAL PEOPLE IN KOREA
Authors
金淑姬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한국정상인비정상인H-T-P검사 반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The H-T-P (House-Tree-Person), one of the projective technique, is designed by John N . Buck in 1948. Nowadays the H-T-P test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tool in clinical setting in Korea. Compared with the importance of this test, the practical usefulness is comparatively low because the norm of U. S. A. is applied to Korean people without any mod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find the response pattern of H-T-P in both normal and abnormal people respectively And then the response pattern of the abnormal is compared with the normal. Through this kind of study,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can b e more appropriate for Korean peo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normal and the abnormal group. The 91 subjects of the normal group are selected among 211 college students from the result of the MMPI. And the 49 subjects of abnormal group are selected whose educational background is equal to or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 among the inpatients and outpatients of the psychiatric: setting. The response pattern of this test is scored on the bais of Buck's (1948) Scoring system and Marzolf & Kirchner's (1972). This data is dealt with the percentage of the response frequency and then the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is compared with using x^(2).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Location is considered. In house drawing, the normal is tend to draw more in the center on page (P<.05) then the abnormal. And the abnormal tends to draw more at the left on page (P<.01) and upper left quadrant (P<.01). In tree drawing, both group show the tendancy to draw the most in the center on page and the abnormal tends to draw more at the upper left quadrant (P<.05) comparing, with the normal. In person drawing, the abnormal draws more at the left on page and the above on page comparing with the normal (P<.01). 2. The essential details of the test is explored in both groups. The essential details in house drawing are a roof, a wall, and the window. In tree drawing, these are a head, branchs, and leaves. In person drawing, the essentials are head, eye(s), a nose, a mouth, a neck, a body, arm(s), hand(s), leg(s), foot(feet). In the essential details, the only difference is found in house drawing. The normal draw window significantly more (P<.05) than the abnormal. 3. The other composites drawing except for the essential drawings are considered. In house drawing, the normal tends to draw large house (P<.01) while the abnormal draws small house (P<.01). In case of Korean, tile-roofed house, straw-roofed house gourds on the roof, red pepper on the roof, and jar place are newly included as the other composites. In tree drawing, the normal shows the tendency to draw large tree (P<.01) and the abnormal to draw root(s) (P<.01). In person drawing, the normal draws large person (P<.01) and the abnormal draws nude person (P<.05), empty eye(s) (P<.05), and pattern in clothes (P<.01).;1948년 John N. Buck에 의해 고안된 H-T-P 검사는 투사적 기법의 하나로서 현재 우리나라 임상장면에서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미국의 규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에 비해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검사를 한국의 상황에 적용시키는데 있어서 좀 더 적절한 해석과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과 비정상인에게 이 검사를 실시하여 위치, 필수구성요소, 그리고 세부사항의 세 측면에서 정상인과 비정상인의 반응양상을 알아보고 아울러 그 반응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는데 정상집단은 남녀대학생 211명에게 MMPl를 실시하여 그 중 91명을 선출하였고, 비정상집단만은 정신과의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들 중에서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49명을 선출하였다. 채점체계는 Buck(1948)과 Marzolf & Kirchner(1972)의 지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채점자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사람이 동시채점하였다. 얻은 자료는 각 반응수의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두집단간의 차이를 각 세부항목별로 x^(2) 검증 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위치에 있어서 집의 경우 정상집단이 중앙에 많이 그리는데 비해( p <.05) 비정상집단은 지면의 좌측 (p<.01)과, 좌측상단(p<.01) 에 많이 그리고 있다. 나무의 경우 두 집단 다 중앙에 가장 많이 그리며, 비정상집단이 정상집단보다 좌측상단(P<.05)에 더 많이 그렸다. 사람의 경우 비정상집단은 정상집단보다 지면의 좌측(p<.01) 과 상단(p<0.5)에 더 많이 그린다. 2. 그림의 필수구성요소는 두집단 모두에게서 집의 지붕, 벽, 창문, 나무의 기둥, 가지, 잎새, 사람의 얼굴, 눈, 코, 입, 몸통, 팔, 손, 다리, 발이 나타났다. 이 중 창문은 정상집단이 비정상집단보다 그리는 비율이 의외로 높았다.(p<.05) 3. 세부사항을 살펴보면 집의 경우 정상집단에서 큰집이 더 많이 나타났고 (p<.01), 비정상집단에서는 작은집이 더 많이 나타났다.(p<.01) 외국의 경우와 달리 기와집과 초가집, 그리고 지붕위의 박, 고추, 장독대 등이 새로운 요소로 첨가되고 있다. 나무의 경우 정상집단에서 큰나무 (p<.01)가 더 많으며, 나무의 뿌리는 비정상집단에서 나타났다. (p<.01) 사람의 경우 정상집단이 큰 사람을 더 그리며(p<.01), 벌거벗은 사람은 비정상집단에서 더 그린다.(P<.05) 눈동자가 없는 눈(P<.05)과 옷의 무늬(P<.01)도 비정상집단에서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