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독일의 음악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Title
독일의 음악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GERMAN MUSIC EDUCATION SYSTEM : FOR CENTERING HIGHER EDUCATION
Authors
천금자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독일음악교육제도고등교육음악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시원
Abstract
German music education as a part of arts has developed under the affect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historical civilization.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has been affected by Japanese and American ones about the time of our liberation, and Japanese and American music education systems have been directly affected by German one. So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has been deeply affected by German one through foreign nations. To look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usic education system may be the means judging the present circumstances. Therefore, in order to hav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education system, we have to make a profound study of German music education system. Germany has revolutionized cultural status about the time of the 19th century. Above all things, it can't be thought negligent that the development of common education has changed even the general music education. The interest in school music and the study of new music teaching method of music artists, persons in authority, music teachers, professors has come to involve the modern music like Carl-Orff. Barto^k with folk songs in music text books. The supporters (like fritz Jo¨de) of mass music education theory have founded Jugendmusikschule, volksmusikschule and singschule in a socio-educational situation for the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of general music lovers and teenagers. Today these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are regarded as Musikschule or formal music education ones. This is a historical proof that the music education in high education must stand on the firm foundation of primary and middle education. Since even the Konservatorium for training music experts has devoted itself to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together with practical education and music theory of general music lovers, these experts practical activity can compare with specialists. In German universities the concept for the freedom of learning has facilitated music development in universities. Music learning in universities is the course of getting job in music, art, educational and learning field. Musikhochschule, Akademie, Konservatorium have the main purpose for training many performers; and music and music education course of Pa¨dagogiche Hochschule, Gesamthochschule, musikhochschule and universita¨t have the purpose of training music teachers of primary and high school; and some music school, have doctor degree. The music course of universita¨t has the purpose of training music scholar and gives the magister and philosophy doctor according to research course. These musik, musikerziehung, and Musikwissenschaft are studied in relation to each other and itemized education course coincided with the educational purpose of music education institution is secured various profession after gradu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education institution. In Germany music educ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ndependently, systematically. This condition results from the efforts of many persons, who are interested in improving music education such as professor, musiclovers and persons in authority.;근대의 독일에서는 예술교육의 한 부분인 음악교육이 그 제도에 있어서도 정치, 경제, 사회, 역사적인 문화를 배경으로 한 교육제도의 영향아래 발전되어 왔다. 한국의 음악교육제도는 해방을 전 후로 하여 일본과 미국의 영향을 받았고, 일본과 미국은 독일의 음악교육 제도로부터 직접적인 많은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한국의 음악교육 제도는 외국을 통하여 독일 음악교육의 깊은 영향을 받아온 것을 알 수 있다. 음악교육 제도의 역사적인 배경을 밝힌다는 것은 현재의 상황을 판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음악교육제도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독일 음악교육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독일은 19세기를 전후로 하여 문화현상에 많은 변혁을 가져 왔는데 그 중에서도 보통교육의 발달은 일반 음악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은 소홀히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나, 음악 예술가와 관계당국자, 학교 음악교사, 대학교수들의 학교음악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음악 교수법등에 대한 연구는 음악교재에 민요의 도입과 함께 Carl Orff, Barto^k등의 현대음악 까지도 넣게 되었고, Fritz Jo"de를 선구로한 민중음악 교육론의 지지자들은 사회 교육적인 입장에서 일반 애호가와 청소년들의 음악교육에 힘써 청소년 음악학교(Jugendmusikschule), 국민 음악학교(Volksmusikschule), 창가학교(Singschule)등을 설치하게 되었다. 오늘날 이러한 음악 교육 기관들은 음악학교(Musikschule)로서 정식 음악교육기관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이것은 고등교육에서의 음악교육이 초·중등교육의 든든한 기반위에 서야 한다는 하나의 역사적 증거이기도 하다. 근래에는 음악전문가 양성을 위한 Konservatorium에서 까지도 일반 애호가들의 실기교육과 음악이론의 교육의무와 함께 아동들을 위한 음악교육에도 힘쓰고 있어서 이들의 연주활동은 전문가와 어깨를 겨루는 수준에 까지 이르고 있다. 독일 대학교육에 있어서 학문의 자유에 대한 개념은 대학에서 음악이 발전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하였다. 대학에서의 음악공부는 예술적, 교육적, 학문적인 직업을 준비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각 분야에 따라 음악대학(Musikhochschule), Akademie, Konservatorium 등에서는 연주가 양성을 주 목적으로 하고, 교육대학(Pa"dagogishe Hochschule), 통합대학(Gesamthochschule), 음악대학(Musikhochschule), 종합대학(Universita"t)의 음악 및 음악교육분야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음악교사 양성을 주로 하며, 일부의 음악대학에서는 음악교육학 분야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Universita"t의 음악학과에서는 음악학자 양성을 주 목적으로 연구의 과정에 따라서 Magister와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이와같이 음악실기(Musik), 음악교육(Musikerziehung), 음악학(Musikwissenschaft)분야는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연구되고, 각 음악교육기관의 교육목적에 부합한 세분화된 교육과정은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여 졸업후의 직업선택에서도 다양성 있는 보장을 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음악교육제도가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독일 자체의 독자성을 살려 발전시켜 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현상은 항상 일반국민의 관심속에 국가의 배려와 관계당국자 및 현직 교수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하여 음악교육 정책의 개선에 대한 노력의 결과라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