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1 Download: 0

상업고등학교 상업영어 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Title
상업고등학교 상업영어 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Other Titles
Business English Education in Girl's Vocational High Schools
Authors
崔淸子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Keywords
상업고등학교상업영어교육영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진형
Abstract
본 연구는 상업영어 교육의 올바른 기능을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느냐에 촛점을 맞추어 상업영어 학습실태에 대한 바람직한 지도 방법론의 제시를 시도해 본 것이다. 상업영어 교육이 상업교육의 발달 과정에 따라 여타 기능교과의 교육 발달과 병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업영어 학습상의 지도 보다는 외국어라는 점에서 대학입시에 필요한 과목으로만 경시, 무시되고 있음을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상업영어 교육의 정상화를 기할 것을 목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아직도 교육 현장에서는 교사 중심의 강의식 학습 방법과 객관식 교육 및 평가로 표현 교육의 불실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현장 학습지도 형태 및 상과 전공 출신 교사로의 대치등 현행 교과 과정과 관련시켜 주입식 교육의 병폐를 개선하는데 그 논지를 두고 상업고등학교에 있어서의 기능과목으로서 상업영어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다음과 같이 전개시켰다. 1 . 상업고등학교 상업영어과 교과 과정·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본 결과 암기 및 이해 중심의 교과로 치우쳐 내용파악의 불실을 가져왔다. 이의 시정은 실무에 필요한 내용들을 실습을 통하여 내용파악을 할 수 있는 교육에 중점을 둘 것이며 상업영어 교과의 합리적 운영을 위하여 담당교사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상과 출신자로의 대치를 위한 개선책이 요망된다. 2 . 외국어라는 점에서 영어 교과에서 다루는 영어 교육으로서와 상업영어 교육상에서의 교육이 분명하게 구분이 안되어 지도범위와 책임 한계에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시정 역시 커리큐럼상 실과로서의 상업영어와 일반 영어 과목을 분명히 구분하여 상과목을 전공한 교사로서 상업영어 교육을 지도하게 해야만 되리라고 본다. 3 . 상업영어 담당교사들의 전공이 달라 지도내용과 방법 그리고 진도에 차이가 있어 획일성이 요구되는 교육 평준화 목적에 위배되고 있으며 상과목으로서의 특성을 살린 상과 전공 출신교사들의 결여로 내용의 전문적인 고찰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의 시정 역시 상과 전공인들이 보다 교육적인 긍지를 가지고 교육 연구 활동에 참여, 상업영어 교과의 위치를 확립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하겠다.;This is a study of teaching Business English in commercial high schools in Seoul.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a practical guide to teaching commercial English to high school students. It is required that the teaching contents instructional quality be improved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commercial English. A questionnaire method and reference study are used to achieve these purposes. Though the study of the preceding articles concerned, the developemental and practical processes were traced.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needs of improvements in the teaching of commercial English in commercial hish schools in Korea. The return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by types of concern. Consequently the conclusional outcome was that either the students and the graduates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s didn't completely understand what was actually go-ing on in the commercial English classes. Therefore, teachers should bear the following points in mind in the instructional scenes : First,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results, commercial English should be dealt with by itself apart from the English in general. Secondly, they should try to improve themselves as specialists in the field. Thirdly, when we teach the commercial English to the students with correctness, they should have the pride in what they are no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