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an participated on the Korean Dance Activity
Authors
정경선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활동이 여성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노인의 복지 및 재활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만 60세 이상의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서울소재 복지관 4곳에서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105명과 노인정 5곳과 서울 인근지역 2곳에서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여성노인 111명, 총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최영희 등(1990)이 개발하고 이희주(2002)의 연구에서 수정 보완된 건강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Diener, Emmonson, Larsen, Griffin(1985)등이 개발하여 이종길(1992)에 의해 번안 사용된 생활만족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하위변인으로는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생활만족도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설문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Chonbach's a계수를 측정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에 있어서는 SPSS Window for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여성노인의 한국무용활동 참여여부에 따른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검증과 한국무용활동에 참여자와 비참여자간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간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또한 참여노인의 연령, 학력, 배우자유무, 가족에 따른 건강상태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활동의 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건강상태의 평균값은 참여집단이 3.44, 비참여 집단이 3.21으로 참여집단의 신체적 건강상태가 높게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t값 5.152, 유의확률 1% 이내의 유의수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둘째, 한국무용 참여 유무에 따른 정신적 건강상태의 평균값은 참여집단이 3.61, 비참여 집단이 3.35으로 참여집단의 정신적 건강상태가 높게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t값은 6.25을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한국무용 참여 유무에 따른 생활만족의 평균값은 참여집단이 4.04, 비참여 집단이 3.35로 참여집단의 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t값은 8.4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넷째,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가족상태, 참여빈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이유는 신체적 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p<.001). 다섯째,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연령, 학력, 가족상태는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우자유무에 따라서는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여섯째,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연령, 학력, 가족상태, 참여빈도, 참여이유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무용활동에 참여한 여성노인의 연령, 학력, 가족상태는 종속변인인 신체적 건강상태, 정신적 건강상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참여이유는 신체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 05), 배우자유무에서도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따라서 두 배경변인은 여성노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무용활동은 여성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와 생활만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한국무용활동은 노인들에게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필요한 활동 중 하나이며,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서도 필요한 활동이라고 사료된다. 앞으로 노인들의 질 높은 삶을 위해서 좀 더 다양한 한국무용프로그램을 연구․개발하여 여성노인 뿐만 아니라 노인 전반에 걸쳐 대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Dance Activity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diti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an. The subjects were 120 elderly women who participated on Korean Dance Activity at silver welfare center in Seoul and 120 who didn't have participating experience on Korean Dance Activity at senior center in Seoul. This study was used Health test that Choi young hee(1990) developed and Lee hee joo(2002) modified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at Diener, Emmonson, Larsen, Griffin(1985) developed and Lee Jong Kil(1992) translated.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physical health condition, mental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alue of mean of the participated group of elderly woman in Korean Dance Activity showed higher difference than non-participated group in (physical, mental) health condition with the significant level(p<.01). Second, mean of participated group of elderly woman on Korean Dance Activity showed higher difference than non-participated group in life satisfaction with significant level(p<.01). Third, Korean Dance Activit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an(p<.01). Fourth, Korean Dance Activity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an in participated and non-participated group(p<.01). Fifth, it found that age, educational level, family type did not show significant level in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participated reason and existence of spouse showed significant level(p<.05).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Korean Dance Activity would improve health condi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an positively. Therefore, Korean Dance Activity w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and recommended in elderly man as well as elderly wom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