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만족과의 관계

Title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만족과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omeroom Teachers to the Instruc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차인순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학교 교육의 핵심은 수업이고 수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지도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교육 방법, 교육내용이 개발되고 교육 환경이 제공되어도 그것을 전달하는 교사의 지도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한다면 본래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교사의 가장 핵심적인 역할은 수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수업 지도자로서의 전문적 자질이다. 그러나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지도력을 발휘하여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고 수업을 통해 만족을 느끼게 하기도 하지만 요즘 학교 교육의 현장은 ‘교단붕괴’, ‘교실붕괴’로 교사와 학생들이 힘겹게 교육을 주고 받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만족과의 관계를 밝혀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발휘로 좋은 수업을 제공하고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켜 학생의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위의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은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을 학생들의 특성과 담임교사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2.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학생들의 특성과 담임교사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가? 3.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4.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어떠한가? 5.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이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내용을 탐구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의 하위요인으로 비전제시, 전문적 능력, 전문적 덕목, 권한부여의 네 가지 요인을 선정하였고, 학생의 수업 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수업 지식, 수업 태도, 수업 환경, 수업 효과의 네 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각 하위 요인들을 가지고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와 관련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에 있는 초등학교 7개 학교별로 4명씩 총 28명의 담임교사를 선정하여 담임교사에게 수업을 받고 있는 4, 5, 6학년 학생 10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그리고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적 덕목, 권한 부여, 비전제시, 전문적 능력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의 학년과 성별, 담임교사의 직위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학년이 낮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담임교사가 평교사인 학생보다 부장교사인 학생이, 그리고 담임교사의 교육경력이 많은 학생일수록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둘째, 수업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수업 만족도의 하위 구성 요소를 분석했을 때, 수업 효과, 수업 태도, 수업 환경, 수업 지식 순으로 높았다. 학생의 학년과 성별, 담임교사의 직위와 교육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학년이 낮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담임교사가 평교사인 학생보다 부장교사인 학생이, 그리고 담임교사의 교육경력이 15년 이상인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수업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담임교사의 비전제시와 전문적 능력, 전문적 덕목, 권한 부여, 그리고 변환적 지도력이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수준에 따른 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수업 지식과 수업 태도, 수업 환경, 수업 효과 그리고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높은 경우 전문적 덕목과 권한 부여가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권한 부여가 전문적 덕목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낮은 경우 전문적 능력과 전문적 덕목 그리고 권한 부여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비전제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에는 담임교사의 전문적 덕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전문적 능력, 권한부여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와의 관계는 담임 교사가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면 할수록 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담임교사는 수업이 가장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므로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여 수업 전문가로서의 자질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담임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히 주목할만한 사항은 학년이 낮을수록,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담임교사의 지도력과 수업의 만족도에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교사는 학년이 높을수록,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의 수업 활동에 보다 관심을 갖고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여 수업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특성에 따라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와의 차이 분석에서 교사의 경력별에 따른 연구결과는 1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가장 높은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는 교사의 변환적 지도력과 학생의 수업 참여와의 관계에서 5-10년의 경력을 가진 교사가 가장 높은 변환적 지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환적 지도자로서의 교사의 지도력을 자신의 부단한 노력에 의해 만들어지고 개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이 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담임교사의 전문적 덕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권한 부여, 전문적 능력 순이었다. 이는 앞으로 교사가 학생을 배려하는 전문적인 덕목을 갖추는 것이 수업을 잘 가르치는 기술적인 능력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에 대한 열정과 학생을 배려하는 덕목을 수업에서 발휘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볼 때,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은 학교 현장에서 교실붕괴 현상을 초래하지 않고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켜 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이끌어 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로 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변환적 지도력을 충분히 발휘해야 할 것이다. 담임교사의 변환적 지도력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노력에 의해 개발될 수 있다. 교사는 자신의 리더십이 곧바로 수업의 질과 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고 꾸준한 노력으로 변환적 지도력의 수준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homeroom teachers to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in an effort to help teachers provide better instruction by exerting their leadership and to boost the class participation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fter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four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subfactors of teac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ch included vision presenting, expertise, professional virtue, and empowerment. And another four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subfactors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class, involving knowledge about class, learning attitude,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the effect of instruction.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utilizing the selected subfactor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teac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student satisfaction with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49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were taught by 28 selected homeroom teachers at seven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Four teachers each were selected from the school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1.5 program, an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procedure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viewe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ir homeroom teachers favorably. They valued their professional virtue the most, which were followed by empowerment, vision presenting and expertise. Their outlook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cademic year, gender, the position of their homeroom teachers and their teaching career. Those who were girls, who were taught by the head teachers and whose homeroom teachers had a longer teaching career thought more highly of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their counterparts who were boys, who were taught by the lay teachers, and whose homeroom teachers didn't have a long teaching career. Second, they were satisfied with instructions a lot in general. They found the effect of instructions most satisfactory, followed by learning attitude,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knowledge on class. Their academic year, gender, the position of their homeroom teachers and their career made a difference to their satisfaction level. Those who were in the lower grades, who were girls, who were taught by the head teachers and whose homeroom teachers had a 15-year or more career express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homeroom teachers and the instructional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h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hen their homeroom teachers were more excellent in terms of vision presenting, expertise, professional virtue, empowerment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urth, the students whose homeroom teachers exerted a bett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ahead of the others whose homeroom teachers didn't in terms of knowledge on class, learning attitude, instructional environments, the effects of instruction and satisfaction level. Fifth, the professional virtue of the homeroom teacher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ir instructional satisfaction, followed by expertise and empowerme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rofessional virtue of the homeroom teachers, par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xercis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ith instructions. As professional virtue that refers to being considerate of students is one of the mandatory elements teachers have to possess as transformational leaders, they should try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virtue as well as experti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