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토의를 통한 독서교육 방안 연구

Title
토의를 통한 독서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The reading education plan research which leads a discussion : 7 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center
Authors
이민영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is a place where it tries to grope the plan of the reading education which leads a discussion. In order for to become the system reading discussion activity, it applies the model of talk discussion, integrated discussion and discussion watch discussion back and textbook inside literature it reads to lead and becomes the education which it is living and. It follows in each model and the difference Iss is long does in activity aspect but it reads there is a questionable matter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from the point which is the positive participation with and reaction and expression commonly to appear. The research which it sees 1 grade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attending in the duk-soo middle school which is located in Seoul based on a map strategy in the object advanced a study. Only it sees with the relationship which the possibility and research duration is very restricted it researches general anger to, there is a possibility the excessiveness following more or less. When it summarizes the analysis result of the research which it sees with afterwords it is same. First of all from the I, it revealed the objective of research and a preceding research investigation and research contents and a method with introduction. And reading education from the inside 7th car curriculum hold against the location which it does and the contents it tried to observe simply from II, objection background. And the department of pedagogy composition attention studying tube which it reads from composition attention and study plan, professor of reading discussion against studying principal it examined. The namely composition attention is emphasizing the participation and own leading characteristic to the master ceremony against studying volition studying and studying that there is a big questionable matter to the thing, to see, it observed meaning of education in the studying sleeping center and to explain the role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nd epilogue as the reading discussion activity to see it tried. III tried a study plan before in the actual map. The professor studying activity conception tried the model of talk reading discussion which is a shedding of blood of reading discussion, integrated reading discussion and discussion watch reading discussion with character. IV from the actual work it tried to apply the model of reading discussion with base. First of all the talk reading discussion model which applies the work freely great disaster from the atmosphere which is comfortable against the book which it reads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of the teacher are frequent with the reading discussion strategy which shares a great disaster the participation of all students first of all from easy classroom situation emphasizes. If the control and accident of the teacher first of all the discussion which becomes poem rather posi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and open, the hazard which extracts meaning of the teaching material infinitely in order to obstruct must be approached with the table talk great disaster discussion form which stands. The feature of this reading discussion the members could be immersed to the problem of the work the thought of individual oneself and, reflects there is a possibility of being rough the process which it investigates. Also increase deep scene it is bitter first and it records and the friends and there is it speaks and the fact that the self does not know and it knows and the opinion of the different friends a strong point it will be able to arrange the thought of self well from the process which it speaks it listens to and the different children do like this it thinks but as the and the width of accident to be wide is the quality thing. If study of literature gain and loss in the teacher center of existing is and this talk discussion study it leads and a fun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gathering the effect which also the width of gain and loss of the writing does widely there is. The integrated discussion study which applies the work a place objection ground to the students the meaning interpretation of composition quality and the student of the teaching material which it reads inspects the clear cold region and it confirms circulation must make the necessity of own inspection for there is. The feature to listen to in discussion activity inside and to talk and to read and to write and to put together it is to put. It is like that and the work compared to is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depth and will be the possibility of raising an ability and the confidence. The discussion watch reading discussion which it applies the possibility which there will be a tendency where the discussion is led by the some students it is but reads the work and after difficulty the opinio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appearing frequently discord or the clearness which sees the opinion which is equally divided does to do to be a place objective and does hazard what it attains this objective happen and it sees it did it fixes the conduct a focus or it does happen why. Also with each other a groun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o complement the portions which do not search with each other from the work and it listens to it asserts, there is a possibility the logical force becoming larger little more. With each other argument it will lead and there will be a possibility which it will know the assertion or a ground of each one and argument it will lead and there is a strong point which is the possibility which the work more detailed it will know.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student reading with each other is the interaction activity which shares an opinion. It controlled the reaction of the student from the traditional classroom and it restricted it came the interaction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e student and the student and. With appreciation of student wild each one it respects a reaction from the reading education which sends discussion a but in the center. When with appreciation of student wild each one the reaction is different, it is because the easy movement discussion is possible. Also the discussion is the method which guides the method which reads the book concretely in the students, a reading activity which does to read the book with commonness it is. The students lead and discussion the trade name they complement with one person to be deep reading than, to do to understand widely. Discussion from reading education it teaches a function consequently and viciously to push it passes over the enemy reading map and reading experience as the strategy of the reading map which considers seriously the form is a possibility of doing. It saw and it boiled and based on rightly like this point the discussion which is smooth to advance a research is an effective one possibility examined in reading education. Advances the study which it follows in model of three branches with the free discussion studying atmosphere is created to be a possibility of course and integrated language education becoming accomplished, there is a possibility of becoming ayes or noes discussion studying it knew.;본 연구의 목적은 토의를 통한 독서교육의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체계적인 독서토의 활동이 되도록 이야기식 토의, 통합적 토의, 토의망식 토의 등의 모형을 활용하여 교과서 속 문학 읽기를 통해 독서교육이 살아있는 교육이 되었으며 한다. 각 모형에 따라 활동 양상에 차이가 있긴 하겠지만 읽기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및 반응 그리고 표현이 공통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덕수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도전략에 근거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다만 그 수와 연구기간이 매우 제한되었던 관계로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다소 따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Ⅰ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과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내용과 방법을 밝혔다. 그리고 Ⅱ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안에서의 독서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그 내용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성주의에서의 읽기교육과 구성주의 학습관 및 수업 설계, 독서토의의 교수ㆍ학습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구성주의는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주인의식과 학습에의 참여 및 자기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고 보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의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독서토의 활동으로서 교사와 학생과 발문의 역할을 설명해 보았다. Ⅲ장은 실제 지도에 앞서서 수업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교수 학습 활동은 독서토의의 유형인 이야기식 독서토의, 통합적 독서토의, 토의망식 독서토의의 모형을 바탕으로 구상해보았다. Ⅳ장에서는 실제 작품을 토대로 독서토의의 모형을 적용시켜보았다. 우선 <아버지의 유물>작품을 적용한 이야기식 독서토의 모형은 안락한 분위기에서 자유로운 대화를 하듯이 읽은 책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는 독서토의전략으로 교사의 개입과 통제가 빈번하기 쉬운 교실 상황에서 모든 학생들의 참여를 우선 강조한다. 교사의 통제와 사고가 우선시 되는 토의는 오히려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개방적인 면을 저지하기 때문에 교재의 의미를 무한히 추출하기 위해서는 좌담식 대화 토의 형태로 접근되어야 한다. 이 독서토의의 특징은, 구성원들이 작품의 문제에 몰입할 수 있으며, 독자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반성하고 검토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인상 깊은 장면을 먼저 쓰고 기록하고 친구들과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자기의 생각을 잘 정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야기를 하면서 자기가 몰랐던 것을 알게 되고 다른 친구들의 의견을 들으면서 ‘다른 애들은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라고 하며 사고의 폭이 넓어질 것이다. 기존의 교사중심의 문학이해의 수업이었다면 이 이야기식 토의 수업을 통해 재미있고 글의 이해의 폭도 넓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국물 이야기>작품을 적용한 통합적 토의 수업은 읽기 교재의 구성적 특성과 학생의 의미 해석이 명확한지를 점검하고 확인하기 위한 자기 점검의 필요성을 학생들에게 환기시켜야 한다는데 이론적 근거가 있다. 특징은 토의활동 속에 듣기ㆍ말하기ㆍ읽기ㆍ쓰기를 종합시켜 놓은 것이다. 그래서 작품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자신감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어린 날의 초상>을 적용한 토의망식 독서토의는 토의가 몇몇 학생들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나 작품을 읽고 난 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견해의 불일치나 상반되는 의견을 보다 명료하게 하려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이 일어났느냐 보다는 그것이 왜 일어났느냐 혹은 그 행동을 왜 했느냐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작품에서 서로서로가 못 찾았던 부분들을 보완해 줄 수 있으며 근거를 들어 주장하기에 좀더 논리적인 힘이 커질 수 있다. 서로의 논쟁을 통해 각자의 주장이나 근거를 알 수 있으며 논쟁을 통해 작품을 더 자세하게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토의는 학생이 읽은 것에 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상호 작용 활동이다. 전통적인 교실에서는 학생의 반응을 통제하거나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상호 작용을 제한해 왔다. 그러나 토의를 중심으로 하는 독서교육에서는 학생들 각자의 감상과 반응을 존중한다. 학생들 각자의 감상과 반응이 다를 때 역동적인 토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토의는 학생들에게 책을 읽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방법이며, 공동으로 책을 읽게 하는 독서 활동이다. 학생들이 토의를 통해 상호 보완함으로써 혼자 읽는 것보다 깊고 넓게 이해하게 해 준다. 따라서 독서교육에서의 토의는 독해 기능을 가르치는 미시적 독서 지도를 넘어서 독서 경험 그 자체를 중시하는 독서 지도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원활한 토의가 독서교육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세 가지의 모형에 따른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자유로운 토의 학습 분위기가 조성됨은 물론이고 통합적 언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찬반 토론 학습까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