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Grid와 Cube를 이용한 현대인의 공허감 표현 연구

Title
Grid와 Cube를 이용한 현대인의 공허감 표현 연구
Authors
홍선화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C 과학의 발달은 기계적인 움직임이라는 새로운 기하학적인 추상형태의 미적감각을 대두시키면서 합리성과 기능성의 기계미학과 함께 현대미술분야에 많은 조형적 요소를 제공하였다. 특히 사실적인 재현적 묘사로부터 벗어난 작가들은 무한한 창조적 가능성을 발휘하게 되었고 단순성과 명쾌함, 인공미의 속성을 기하학적인 추상형태로 전개시킴으로서 현대미술에서는 ‘평면으로서의 회화’를 강조하며 최소한의 양식인 그리드를 표현방법으로써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산업 사회의 발전으로 기계화는 미술사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활방식과 정신적인 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물질문명의 고도화로 인하여 개인주의가 팽배해졌으며 인간의 허무와 불안, 무관심 그리고 인간과의 갈등과 불신으로 개체로서의 인간은 점점 고립화와 몰개성화 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대라는 전환기를 살아가면서 인간은 삶의 지표를 잡지 못하고 대중이라는 거대한 조직 속에서 자신의 존재가치를 위협받으며 그로 인해 정신적인 빈곤과 공허감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이 대중이라는 거대한 조직적 사회공간에 획일적인 삶의 양태 속에서 익명적인 존재로서 느끼게 되는 현대인의 공허감을 그리드와 큐브구조의 공간적 개념과 연관시켜서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리드와 큐브의 반복적 구조는 현대인의 획일화된 삶을 표현하는 요소였고 흑색과 백색은 현대인의 극단적이고 몰개성적인 특징을 표현하는데 상징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과 작품분석을 근거로 하여 현대미술에서 그리드와 큐브가 지닌 조형적 의미를 살펴보았고, 조형적 방법으로는 반복적 구조에 의해 대량생산되는 규격화 이미지 속에서 획일화 되어버린 현대인의 삶의 모습에서 느끼는 공허감을 그리드와 큐브가 지닌 공간적 특성을 연관시켜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작품제작방법으로는 이중직의 pick-up기법과 tapestry의 평직기법을 사용하였다. 표현방법은 첫째 이중직에 의해 다른 물성을 가진 사각면이 교차되면서 만들어지는 경계선은 각각의 동일한 공간을 구성함으로서 그리드 패턴을 형성한다. 둘째, 텐션이 다른 두 소재를 이중직으로 제직함으로서 면의 중첩(overlapping)에서 오는 반부조 형식의 공간감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tapestry의 평면화면에서 그리드의 변화, 즉 선적인 조형요소의 변화는 평면에서 3차원적 가상공간표현을 가능하게 하였고 선과 면의 조형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빈 공간과 채워진 공간을 표현한다. 이런 과정에서 그리드와 큐브구조가 갖는 조형적 의미와 특성을 연구하고 작품제작을 통해 시각적인 조형공간으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 The scientific progress during the 20th century raised a sense of aesthetics for the new geometrical abstract form of the mechanical form. It provided many formative elements in the field of modern art, along with the mechanical aesthetics of functionality and rationalism. In particular, painters who drifted away from factual, reproductive descriptions explored unlimited creative possibilities. By transforming the attributes of simplicity, clarity, and artificial aesthetics into geometrical abstract form, painting as plane is emphasized in modern art. Likewise, the grid as the minimum form is used as the method of expression. Aside from art history, mechanization introduced many changes in the mental aspect and life method of human beings due to the progress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Sophistication of material civilization triggered surge of individualism, with human beings sense of futility, anxiety, disinterest, and conflict with and distrust of fellow human beings causing growing feelings of isolation and loss of their unique color. Furthermore, human beings feel a sense of emptiness due to mental destitution, since their sense of existence feels threatened within the larger organization, i.e., the masses, while living in the turning point of the modern society. This research sought to visually express the modern peoples sense of emptiness by linking it with the spatial concepts of grid and cube structure. Modern people feel like they are non-existent entities, with their lives standardized within the large organizational society of masses. In particular, repetitive structures of grid and cube were used to express the standardized life of the modern people. Black and white colors were used symbolically to express the extreme disposition and lack of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people. Relevant literature and artwork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ormative significance of the grid in the modern art. This research sought to link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grid and cube,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standardized and normalized modern people and the ensuing sense of emptiness stemming from the repetitive structures of mass manufacturing in formative methods. Double weaving methods pick-up techniques and tapestrys flat weaving techniques were utilized as production method for the artworks. For the first method of expression, boundaries were made through intersecting quadrilateral surface having other physical properties from double weaving method. They form a grid pattern by configuring equal space each. In addition, producing the two materials that have different tensions due to the double weaving method enables partial projected form of expression to depict space due to the overlapping of surfaces. Similarly, changes in the grid of the tapestrys surface screen, i.e., changes in the lineal formative elements, enabled three- dimensional spatial expressions at the plane.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line and surface were used to express the empty and filled spaces. The formativ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grid and cube structure were investigated, with the re-configuration into visual formative space conducted through the production of art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