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유아의 성특성 고정관념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성특성 고정관념 인식에 관한 연구
Authors
姜信榮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유아성특성고정관념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화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family variables, which affect infant's perception of the sex-trait stereotype, such as the gender of infants, the social-economic class of their family, the gender of their brothers and sisters, and whether their motoer have a job or not. As the object of my study I close 51 6-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belong to the middle-upper class, and 48 public saemaeul kindergarten children belong to the lower class. 1 used SSM Ⅱ (Sex-trait stereotypes measure Ⅱ ) for preschool children which Williams and Best produced, as the device of my research. It consists of 32 picture cards and 32 items. 16 items are made of the psychological traits representing the masculine role, and the rest the feminine. I adopted t-test, one way ANOVA, percentage , average, standard deviation to analize the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s. 1 Boys show higher degree at the masculinity than girls, while girls show higher degree at the, feminity than boys. Both tend to obtain the masculinity more than the feminity. 2. There i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sex-trait stereotype between the upper-middle class and the lower class children. The children of both class recognize the masculinity better than the feminity. The middle-upper class children show no difference in cognition between the sexes. The lower class boys show higher masculinity than girls, while the lower class girls show higher feminity than boys. 3. In the light of the gender of infant's sister and brothers, the children who have only brothers or sisters show high degree at the recognition of the masculinity. The children who have both sisters and brother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masculinity and the feminity. Boys who have only brothers or sisters show high degree at the perception of the masculinity while girls who have brothers show high degree at the perception of i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feminity between the gender of sisters and brothers. Girls who have sisters and brothers show a little higher degree at feminity than masculinity. 4. Whether infant's mother have a job or not exert little influence on the masculinity while the lower class girls, whose mother has no job, show higher degree at feminity than those whose mother has a job. 5. In the degree of the coincidence of reply to each item the lower class children recognize the masculine as "dominant'' and the feminine "dependent" more than the middle-upper class children. In item "confident (masculinity)" the lower class children show far lower degree of coincidence of reply than the middle- upper class children (72.55%>41.67%). It suggests that the lower class children recognize the male-female relationship as the vertical one. There i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incidence of reply to the item "emotional" "independent" "boastful" "dependent" between the sexes. Boys show higher degree in general except for the item Boys at the item "fussy (feminity)", and girls at "emotional". the item "jolly (masculinity)" show reversal of adult stereo- type response.;본 연구는 유아의 성특성 고정관념 (Sex-trait Stereotype)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性, 가정의 사회경제 계층, 형제·자매의 성별구성, 어머니의 직업유무 등의 가정내적인 변인들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상류 계층에 속하는 만 6세의 유치원 아동 51명과 하류계층에 속하는 공립 새마을 유아원 유아 48명이었다. 유아의 성특성 고정관념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Williams와 Best가 5∼11세까지의 미국 아동을 위하여 제작한 SSMⅡ(Sex-trait Stereotypes MeasureⅡ)를 번역한 것 중 취학전 아동용 SSMⅡ이다. 이것은 32장의 그럼 카드와 총 32개 문항으로 된 질문으로서 그 중 16문항은 남자의 역할을 대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심리적 특성으로, 나머지 16문항은 여자의 역할을 대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심리적 특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의 통계분석은 t-test, One Way AHOVA,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아는 여아보다 남성성 점수가 높고, 여아는 남아보다 여성성 점수가 높다. 또한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있어서 남성성 특성이 더 많이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2. 중상층 유아와 하층유아간에 남성성, 여성성 고정관념 인식의 차이는 없으나 중상층, 하층유아 모두 남성성을 여성성보다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상층의 유아들은 남녀간에 남성성, 여성성 고정관념 인식에 차이가 없으나 하층의 남아는 하층의 여아보다 높은 남성성을, 하층의 여아는 하층의 남아보다 높은 여성성을 나타내었다. 3. 형제의 성구성별로 보면, 동성형제를 둔 유아들과 이성형제를 둔 유아들은 남성성 인식이 높았다. 그러나 혼성형제를 둔 유아들은 남성성과 여성성 인식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얻을 수 없었다. 남아의 경우에는 동성형제나 이성형제를 둔 경우에 남성성이 높았으나 여아의 경우에는 남자 형제를 둔 경우에 남성성 인식 점수가 높았다. 또한 여성성 인식점수에는 어느 집단에도 형제의 성구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혼성형제인 경우 여아의 여성성이 근소한 차이로 남성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4. 어머니의 직업유무는 유아의 남성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층여아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직업이 없는 경우 여성성 점수 및 전체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5. 각 문항에 대한 집단별 반응일치도를 알아본 결과, 계층별로 보면, 중상층유아들보다 하층유아들이 남성을 "지배적"으로, 여성을 "복종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이 두드러졌다. 또한 "자신있는(남성성)"의 문항에 대해서는 중상층유아들 보다 눈에 띄게 저조한 반응 일치도를 보였다. (72. 65%>41.67%) 즉 하층의 유아들은 남녀관계를 종적인 것을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남·여아간의 반응일치도를 보면, "감정적인" "독립적인" "자랑하는" "복종하는" "야망있는"과 같은 문항에서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중 "감정적인"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남아의 반응일치도가 높았다. 또한 남아는 "잔소리하는(여성성)"의 문항에 대해서 여아는 "유쾌한(남성성)"의 문항에 대해서는 반응(reversal of adult stereotype response)을 나타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