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1920~1950년대의 아동복식에 관한 연구 :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Title
1920~1950년대의 아동복식에 관한 연구 :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children s dress styles in Seoul·Gyeonggi-do, Chungcheong-do and Gangwon-do between the 1920s~ 1950s, by comparing positive data collected from pictures and literatures, remains and interviews. When Korea wa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raditional dress styles handed down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still dominant, but western dress styles that had been introduced since the opening of ports were settling in Korea. Therefore, traditions and foreign cultures coexisted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to western cultures.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dress styles of children ranging from infancy to childhood in all classes of ordinary people not limited to specific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15-year old or younger children. Children in the Chosun Dynasty usually had wedding ceremonies at age 15, and the upper age limit of childhood in today s child studies is also the age of 15. Children s general dresses in the 1920s~1950s were a jeogori (a Korean-style jacket) and trousers for boys and a jeogori and a chima (a Korean-style skirt) for girls, which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late Chosun Dynasty. Clothes for newborn babies were a baenaet jeogori (a Korean-style swaddling jacket), a dureong chima (a Korea-style swaddling skirt), pungcha trousers (trousers with a cloth belt), etc. A baenaet jeogori was made of soft white cotton fabrics and was used as a charm when the baby had grown and had an examination or a big occasion. In addition, when a baby was born stained with blood, it was dressed in a charm or a red jeogori with the object of preventing the baby from being unclean. A dureong chima and pungcha trousers were clothes for both boys and girls from their birth to the age of 4~5 when they could have bowel movements by themselves. Since the age of 5, girls were dressed in a chima, and boys in trousers, which had the same shape as those for adults. Occasions for celebrating a baby s growth were the one-hundredth day and the first birthday. In general, ordinary families had their babies one-hundredth day in a simple way without special clothes. On the first birthday, however, even ordinary families prepared new clothes for their babies, and read their fortune and prayed for their well being and long life through events such as doljabi (a baby s selection of its preference among its first birthday presents). In general, children were dressed in white clothes until their first birthday, and in colored ones after their first birthday. In the age when medicine was poor and the infant mortality was high, the meaning of such a ceremony was to congratulate on the baby s safe growth through dangerous moments As everyday dress, girls usually wore a jeogori and a chima made of various materials according to seasons. Cotton jeogoris and quilted jeogoris were mainly worn in the winter. Particularly, quilted jeogoris were popular as children s clothes because they were washable and practical. Modeling after adults chimas, girls chimas were seamless skirts with a vest on the waist and reaching down the calves. A durumagi, a formal topcoat for protection against cold, was worn by particular classes of people. Most children in ordinary families did not wear a durumagi. Instead, they regarded a cotton jeogori as an alternative to a durumagi for protection against cold. Western dress, which had been imported since Chosun opened the door to the outside world, began to spread over ordinary people. Children who were rich or received school education began to wear western style clothes. Major underwear worn by children was underpants (gojaengi) and undershirts (sokjeoksam). Such traditional types of underwear were popular until the 1930s, but gradually disappeared and were replaced by sarumada , which was short pants made of cotton. As for children s hair styles in the 1920s~1930s, most children had their hairs in a pigtail with a ribbon as they did in the late Chosun Dynasty. However, as short hair became popular since the mid 1930s, boys wore short hair and girls did bobbed hair. Headdress such as a jobawi (a women s winter hat with earflaps) and a nambawi (a fur-lined woman s hood) was worn for protection against cold and as a formal dress. A jobawi was particularly formal that it seems to have been put on in special occasions, and by children and adult women of rich classes. Shoes were wor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financial strength of individuals. Black rubber shoes were most common. From the 1930s, children in some classes wore leather shoes and sports shoes. However, the poor or country folks still wore straw shoes and hemp-cord sandals. In festive days, children often wore new clothes. According to their financial strength, some made new clothes with new fabrics, but most ordinary people washed or dyed and repaired their everyday clothes for the festive days. During the period from the 1920s to the 1950s, cotton fabrics and artificial silk fabrics were used frequently for children s dress. Since western culture began to be introduced, some people wore silk fabrics and imported fabrics. Until the textile industry was activated, fabrics were dyed at home with synthetic dy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terviews, the three provinces shared the simila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dress styles. In addition, clothes varied according to the economic power of individuals. It was considered that because the three provinc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neighbor to one another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the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dress styles. Compared to those in other two provinces, however, people in Seoul·Gyeonggi-do, who had more chances to contact foreign cultures, wore rubber shoes more often in their daily life and used many gilded patterns on clothes. Unlike children in rich families or who experienced foreign cultures earlier, ordinary children usually wore traditional clothes. It was considered that they could not get western clothes because of poverty or they rejected them out of their old-fashioned idea.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ordinary children s dress styles in the 1920s~the 1950s. It is necessary to have subsequent studies to find local characteristics and nationwide common points of children s dress styles through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of literature and remains as well as field surveys. ; 본 연구는 1920~1950년대의 서울·경기, 충청, 강원 세 지역의 아동복식을 사진·문헌자료 및 유물자료와 세 지역의 면접조사를 통한 실증적 자료를 비교하여 살펴 본 것이다. 이 시기는 일제강점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조선 후기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적인 복식의 형태가 아직까지 많이 남아 있으면서 동시에 개항과 더불어 유입된 서양복식이 자리잡아 가는 시기였다. 따라서 이 시기는 전통과 외래문물이 혼재되어 있으며 서양문화로 전이되어 가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여준다. 조사내용은 출생 이후 아동기 전반에 걸친 복식으로 조사 대상자는 일부계층에 한정하지 않은 일반 서민층의 아동복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5세 이전의 시기를 아동기로 보았다. 15세는 조선시대 관례를 치르던 연령이며 현대의 아동학에서 아동기를 구분하는 연령으로도 사용된다. 1920~1950년대의 일반적인 아동복의 형태는 남아는 저고리와 바지이며 여아는 저고리와 치마로 조선 후기와 유사하였다. 이 시기의 출생의례 복식으로는 배냇저고리와 두렁치마, 풍차바지 등이 있었다. 배냇저고리는 부드러운 흰색의 면직물을 사용해서 만들었으며 아기가 성장한 후에 시험이나 큰일이 있을 때 부적과 같이 사용하는 풍습이 있었다. 두렁치마와 풍차바지는 남아와 여아의 구별 없이 입히는 의복으로 대체적으로 출생 후부터 배변훈련이 끝나는 시기인 4~5세 정도까지 입혔다. 5세 이후에는 여아는 치마를 입히고 남아는 성인과 같은 형태의 바지를 입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아기의 성장을 축하하는 행사로는 백일과 돌이 있는데 일반 서민층에서는 백일은 대개 간소하게 치르고 의복은 생략하는 경우가 많았다. 돌은 백일과는 달리 서민층에서도 아기에게 새옷을 지어 입히며 돌잡이 등의 행사로 아기의 무병장수와 복록을 점치고 기원하였다. 대체적으로 돌 이전에는 흰색의 옷을 많이 입히고 돌 이후부터 색깔이 있는 옷을 입히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행사에는 아기의 성장을 축하하는 의미 이외에도 의술이 발달하지 못해서 영아의 사망률이 높았던 시절에 아기가 위험한 고비를 넘기고 무사히 자란 것을 축하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여자 아동의 일상복으로는 저고리와 치마를 입었으며 계절에 따라 소재를 다르게 해서 입었다. 솜저고리와 누비저고리는 주로 겨울에 많이 입었다. 특히 누비옷은 세탁에 편리하므로 아동이 많이 입었다. 여아 치마는 성인치마에서 영향을 받은 조끼허리가 달리고 길이가 종아리 정도에 이르는 통치마 형태였다. 방한 및 예장을 목적으로 입는 외의(外衣)인 두루마기는 일부계층에서만 입혀졌으며 서민층의 아동은 대부분 두루마기를 입지 않았다. 서민층 아동은 방한용으로 솜저고리를 입어서 두루마기를 대신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시기에는 개항 이후 유입된 서양복식이 서민층에까지 전이되기 시작하였는데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거나 학교교육을 받게 된 학생들을 중심으로 서양복이 입혀지기 시작했다. 아동이 주로 착용한 속옷은 속바지(고쟁이)와 속적삼이었고 이러한 전통적인 속옷의 형태는 1930년대까지는 일반적으로 많이 입혀지다가 이후에 무명으로 만든 짧은 팬티 형식의 ‘사루마다’가 나오면서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1920~1930년대의 아동의 머리 모양은 조선 후기의 모습이 많이 남아 있어 대부분의 아동들은 땋은 머리에 댕기를 드렸다. 1930년대 중반 이후에는 단발이 유행하면서 남자 아동의 머리는 짧은 형태로, 여자 아동의 머리 모양은 단발로 바뀌었다. 조바위나 남바위와 같은 쓰개류는 방한 및 예장(禮裝)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조바위의 경우 예장의 성격이 강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착용되지 않았고 경제적으로 풍요한 일부 계층의 아동이나 주로 성인의 여성이 많이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발은 개인의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착용되었다. 일반적으로는 검정고무신이 많이 착용되었고 1930년대 이후에는 일부계층의 아동에게 구두와 운동화가 착용되었다. 그러나 시골이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서민층에서는 여전히 짚신과 미투리 등을 신었다. 명절이 되면 아동에게 새 옷을 지어 입히기도 하였는데 개인의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 새 옷감으로 새 옷을 만들어 입기도 하였지만 대개의 서민층에서는 평소에 입던 옷을 명절을 맞이하여 새롭게 세탁하거나 재염색 하여 바느질을 다시 해서 입는 경우가 많았다. 1920~1950년대의 아동복식을 만드는데는 면직물과 인조견을 많이 사용하였다. 일부계층에서는 견직물과 개항 이후 들어온 수입직물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직물의 염색은 합성염료를 사용하여 대부분 가정에서 이루어졌는데 직물 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집에서 염색하는 일이 사라지게 되었다. 면접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이 시기의 아동복식은 세 지역이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경제적인 상황에 따라서 착용한 복식에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조사지역이 우리 나라의 중부에 위치하여 서로 인접해 있으므로 복식의 구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신문화를 빨리 접할 수 있었던 서울·경기 지역이 타 지역에 비해 고무신을 평상화로 신은 경우가 많고 의복에 금박 장식을 많이 사용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거나 신문화를 빨리 접했던 계층의 아동과 비교해서 일반 서민층 아동이 전통적인 형태의 복식을 더 많이 입었다. 이것은 경제적인 뒷받침이 없는 서민층에서는 서양복의 착용이 사실상 불가능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1920~1950년대의 서민층의 아동복식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이번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지역의 문헌 및 유물조사와 아울러 현지 조사를 병행하여 아동복식의 지역적 특성과 전국적인 공통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