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조사 연구

Title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조사 연구
Authors
이귀영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무용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무용교육은 신체건강을 증진시키고 사회참여를 유발하여 소속감을 갖게 함으로써 삶에 대한 긍정적인 희망을 갖게 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노년의 무용활동은 관절을 윤활하게 돕고 근육의 신장과 강화, 스트레스 감소의 효과를 가져와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상실로 인해 생기는 고독감을 해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종합복지관의 운영자들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무용활동의 현황과 이에 대한 인식도, 만족도,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노인무용활동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노인복지 운영자 25명과, 노인무용 프로그램의 인식도, 만족도,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60세 이상 노인무용 수강자 253명을 대상으로 2002년 7월 25일부터 8월 21일까지 약 4주간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산 처리하여 SPSS Win 10.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Chi-square)검정,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검증(t-test),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의 통계기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관 운영자들을 통해 본 노인무용 프로그램의 실시현황에 대해서는, 한국무용 과 댄스스포츠 가 가장 많았고, 무용수업 시간은 주 1시간씩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무용프로그램의 실시효과에 대해서는, 체력향상 및 건강증진에 좋다 가 많았으며, 무용실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운영자들은 노인무용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에 대하여, 노인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무용시설 및 기자재의 충분한 확보 등의 순으로 개선되길 바라고 있었다. 둘째, 노인무용 수강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무용을 시작한 수강기간은 1년 미만에서 3년 이상 수강을 한 노인들이 많았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한달 용돈이 많을수록, 무용을 시작한지 오래되었다. 무용수업에 대한 동기는, 본인이 원해서 무용을 배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수업 참가횟수는 주 1회가 많았으며, 주로 연령이 낮고 여자가 남자보다, 무용수업에 많이 참가하였다. 셋째, 노인무용수강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 요인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지도자 자질 요인에서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환경 요인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여자가 남자보다,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노인들은 지도자 자질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환경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노인무용 수강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 요인에 대해 한달 용돈이 적을수록, 지도자 자질 요인에 대해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환경 요인에 대해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노인들은 교육환경 요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자 자질 요인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노인무용 수강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무용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요구도 차이에서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무용 수강자의 만족도와 요구도의 요인별 차이에서는, 무용수업 인원수 등 교육환경 요인에 대해서 요구도가 현재의 만족도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은 교육환경 이 개선되길 원하고 있었다. 또한 무용 강사가 무용을 흥미 있게 가르쳐 준다 등 지도자 자질 요인, 무용 프로그램에 흥미를 느낀다 등 프로그램 내용 요인은 요구도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은 지도자 자질 요인과 프로그램 내용 요인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볼 때, 노인무용활동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 노인복지관 운영자와 노인무용활동을 하고있는 노인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노인무용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노인무용 프로그램은 연령별 기준에 따른 사회무용차원에서 벗어나, 이미 선진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 프로그램 모형연구를 토대로, 우리나라도 연령별에 따른 무용과, 민속무용중심의 무용, 지역사회 공동체가 모두 병행되는 무용으로 다각적인 프로그램모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노인무용활동의 활성화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보다 노인들에게 적절하고 유익한 노인무용 프로그램에 관한 모형연구 개발이 활발히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a plan of promoting dance education for the old based on the survey of perceptions, satisfactions, and demands as well as the current conditions of a dance program with the old and the workers in Senior Welfare centers. As methodology, it surveyed for about 4 weeks, from July, 25 to August, 21, 2002, with 25 workers in Senior Welfare centers and 253 people of 60 over who are present in a dance class in order to find perceptions, satisfactions, and demands of the program. The findings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for workers perceived dance program for the old in welfare centers, main program is found to b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 sports , with one hour of dance lesson per week. For the effect of a dance program, most of them perceived that it is good for physical development and health care , suggesting that a dance room is wanted. To improve a dance for the old, it is needed various program development for the old, good amounts of dance facilities and materials in order. Second, for old people s perceived dance programs b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old participate in dance programs for either less than 1 year or more than 3 years. Women rather than men, those with more monthly allowance than those with less pocket money are found to have been trained dance for a long time. For motivation to learn dance, most participants began to dance voluntarily. Mainly with one session per week, younger, women rather than men participate in dance education. Third, regarding program satisfactions b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higher satisfactions for women than men in program specification , and for those with better health in coach qualifications . While lower satisfactions is found for younger participants, women than men in education environments . The old have the highest satisfactions at coach qualifications , with the lowest satisfactions at education environments . Fourth, regarding program demands b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ose with less monthly allowance are found to have more demands in program specification , older participants do in coach qualifications , and younger participants do in education environments. The old tend to have the highest demand for education environments , with the lowest demand for coach qualifications. Fifth, regarding the difference between program satisfactions and demands b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no difference by general characteristics. Regarding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satisfactions and demands by factors, it is shown that there is higher demands for education environments such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suggesting that the old want the environments to be improved. Also coach qualifications , whose instructor teach dances interestingly, and program specification which leads participants to raise interest in dances, are found to have higher satisfactions than that of demands. It implies that the old are satisfied at coach qualifications and program specif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