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1 Download: 0

생태적 도시 근린공원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Title
생태적 도시 근린공원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Authors
이수미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도시는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지금의 도시환경은 인간과 함께 진화 발전하는 유기체로서의 시스템적 관점을 취하지 못하고, 미적 · 인간적 측면에서 긍정적 생존여건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도시는 무질서와 커뮤니케이션의 혼돈으로 인한 각종 사회병리에 시달리고 있으며,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도 도시의 미적 가치를 상실함으로써 시민의 삶의 의욕과 긍지를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문화 환경을 창조하는 길이다. 사회경제적 변화, 생활문화적 변화 등 시대적 변화는 점차 도시민들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이것은 결국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문제로 귀결되며 도시환 경은 그러한 시민의 요구를 지윈해 줄 수 있는 긍정적 강화조건을 제공해야 한 다. 소득수준 향상, 주당 노동시간의 감소, 문화예술적 욕구 증대 등의 사회 ·문화 · 경제지표는 여가수요를 증대시키고 그에 따라 도시환경은 시민의 여가행태를 지윈해 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맞는 도시민의 여가행태를 지윈해 줄 수 있는 문화환경 창조의 방안으로 생태적 근린공윈의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지속가능한 환경의 관점에서 생태적 환경디자인 적용방안을 고찰하여 그 이론적 배경을 성립하였다. 생태적 근린공윈 디자인 대안을 통해 도시민이 정서적 · 심리적 여유를 느끼고 쾌적한 여가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삶의 질적 향상과 풍부한 문화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시스템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도시환경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도시환 경의 문제점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제고를 함으로써 시대적 변화에 맞 게 시민의 여가행태를 지윈해 줄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그 대안으 로 근린공윈의 기능과 효과를 통해 타당성을 제시하고 국가 정책의 한 부분인 지구단위계획의 배경설명으로 본 연구가 실질적인 가능성의 접근임을 됫받침하 였다. 3, 4장에서는 연구의 기본이 되는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지속가능한 공원계획의 적용개념으로서 생태적 환경디자인 구성윈리와 적용방 에 대해 고찰하였다. 5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공간을 정하고 선정배경과 현황을 현장사진과 통계자 료,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이용자 행태분석을 통해 공간 프로그래밍 단계를 토대로 디자인 안을 제시하여 최종 디자인을 도출해내었고 그 결과물을 평가하였다. 6장에서는 생태적 근린공윈 디자인 모형사례의 평가를 내리고 연구의 전 과정 통해 내린 결과의 의의를 정리하였다. 지속가능한 환경의 확립은 생태적 요소의 윈리 적용을 시도하고 인간 행태적 측면을 강조하여 버려지고 소외되지 않는 환경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이 연구의 궁극적 의의를 두고 본 연구자가 제시한 여가문화공간으로서의 생태적 도시근린공윈 모형사례가 시대적 ·사회적 요망에 충족하기를 기대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technology has brought a number of problems to a modern city. The current environment does not exercise a systematic perspective as an organism to evolve and develop along with mankind. It has not also guaranteed the positive survival conditions that fit the aesthetic and human aspects. As a result, A city is struggling to fight against all kinds of social pathologies deriving from disorder and confusion of communication. It has also lost its aesthetic value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 threatening citizens desire and dignity for life. Then what will be the solution to overcome this crisis? It will be to create a cultural environment. The changes of the times such as social economic changes and cultural changes gradually alter the life styles of citizens, which, in the end, leads to the matter of the enhancement in life quality and to the duty of a city environment to offer positive reinforcement conditions supporting the citizens demands. Demands for leisure necessarily increase according to the index of society, culture, and economy including a higher level of income, decreasing working hours per week, and rising demands for culture and arts. And a city environment needs to support the leisure patterns of citizens. In this study, a design alternative of an ecological neighborhood park was suggested as a means to create a cultural environment, which is able to support citizens leisure patterns that reflec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by considering a means of ecological environment design from a perspective of sustainable environment.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enab lecitizens to have motional and psychological leisure and enjoy a pleasant leisure culture though the design alternative of an ecological neighborhool park, improving the life quality and creating rich cultural environm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dures. Chapter 1 includes the goal, scope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Chapter 2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space that can support citizens leis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by understanding city environment from the systematic view of the world and by giving deep thoughts to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through the problems of Korea s city environment. A neighborhood park wa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so was its appropriateness based on its functions and effects. There was also some proof provided that the study could serve as a practical approach to the background explanation of the district unit plan, a part of the national policies. In Chapter 3 and 4, the basic theory of the study was presented. A consideration was given to the principles of ecological environment design and a means of application as a application concept of a sustainable park plan. In Chapter 5, the subject space of the study was chosen, and the background of the choice and the stau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ictures of the space, statistical data and literature. With these analysis efforts and an analysis of users behavior, a design proposal was suggested and it was made based on the space programming process and then the final design was produced and the result was evaluated. In Chapter 6, an evaluation was made of the cases of ecological neighborthood design models. And the meaning of the results being drawing out of the whole process of the study was pursued. Sustainable environment is an environment that is not discarded or isolated thanks to applying the principles of ecological elements and emphasizing the aspect of human behavior. The ultimate significnace of the study will be found in the efforts to search for solutions to enhance life quality based on these concepts. And it is expected that the model case of ecological urban neighborhood park suggested as a leisure culture space in the study will meet needs of the times and the soc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환경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