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한일 장애인고용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Title
한일 장애인고용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Authors
이세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김성이
Abstract
오늘날에 장애인고용정책은 장애인들에게 소득보장의 기회를 확보하여 독립적인 경제생활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사회경제활동 참여를 통한 장애인의 진정한 사회통합이라는 관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선진제국을 비롯하여 각 국가가 다양한 제도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1990년 「장애인고용촉진등에관한법률」이 제정되어 장애인 의무고용을 처음으로 법률에 명시하고 있다. 동법의 목적은 장애인이 그 능력에 맞는 직업생활을 통하여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을 도모함에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률을 제정한 지 이미 11년이 흐른 현재에도 의무고용률을 하회하고 있는 상황으로 법제정 당시는 획기적인 방안이라고 정부와 장애인단체 및 관련기관, 장애인 당사자가 환영하고 받아들여 왔지만, 제도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문제를 여러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는 실정이다. 법적으로 장애인고용에 있어 의무를 부여하고 있지만, 민간기업의 장애인에 대한 의식부재와 더불어 의무고용의 법적 감시자의 역할도 담당해야 하는 국가정부 기관조차도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어 제도의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의문제기를 하며, 한국과 유사한 장애인고용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일본을 비교하여 현 고용제도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에서는 장애인고용에 대한 앞서 논한 우리 나라의 장애인고용에 관한 정책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은 장애인 고용정책의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으며, 3장은 본 논문의 분석틀을 제시하고 있으며, 4장은 우리 나라와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수립과정을 전반적으로 다루어 양국의 장애인고용정책에 대한 이해를 꾀하였다. 또한 5장에서는 장애인고용전달체계를 다루었는데, 우리 나라와 일본의 장애인고용전달체계의 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본의 전달체계는 최근 노동성과 후생성이 하나로 합쳐져 후생노동성이 되었지만, 분리되어 있었을 때에도 장애인고용에 관하여서는 노동성에서 관여하고 있었기 때문에 내용상으로는 이미 일원적인 전달체계였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장애인고용전달체계의 이원화되어 있는 문제를 볼 때, 일부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노동부, 교육부, 보건복지부가 하나의 부처로 통합이 되면 일원화를 형성할 수 있다는 안이한 생각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6장에서는 5장에서 언급한 장애인고용담당부처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책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우리 나라와 일본은 유사한 시책을 계획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 실질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아 장애인고용률 증진에 지체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지속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비효율적인 시책제시보다는 지역사회가 모두 참여 가능한, 또는 참여 가능하도록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시책제시가 요구되어진다. 현재까지 지역정부에 의한 시책제시가 없었던 만큼 지역사회의 관심을 고조시키는 역할과 중앙정부의 총괄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7장의 결론은 앞선 논의에 대한 요약과 정책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같은 고용할당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시책을 통해 성공적인 정책방안을 모색해 나가고 있는 일본의 장애인고용정책과 우리 나라의 상황을 비교 분석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 나라의 장애인고용정책 방안을 계획하고 실천함에 있어 효과적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본다.;Today's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is greatly important in perspective that it makes economic life possibl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for genuine social integration of the disabled person through socio-economic participation by guaranteeing the disabled an opportunity of income security. Starting with developed countries, each country presents a variety of systems and institutions through their respectiv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In 1990, Korea enacted the "Employment Protection Law for the Disabled", specifying mandatory employment of the disabled for the first time in law. The purpose of the law is to promote employment of disabled persons and provide career rehabilitation for the disabled to live a human life through vocational life that complies with his/her ability. However, 11 years have already past since its enactment, and although it was once welcomed by the government, groups for the disabled, related institutions, and the disabled him/her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e current situation is to lower the mandatory employment rate and problems regarding system's effective operation is indicated by many professionals. Although employment of the disabled is legally mandatory, there needs to be a review of the system for in addition to absence of awareness regarding the disabled by private businesses, the national government itself, as also the legal supervisor of mandatory employment, cannot fulfill its oblig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brings up questions regarding these problems and analyzes the current employment system by comparing with Japan's similar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The dissertation is divided into 7 chapters. Chapter 1, in regards to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s mentioned above, presents the point at issue regarding the problems and current conditions of policy systems, the purpose of research, and methods. Chapter 2,3, and 4 respectively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presents the frame of the dissertation, and aimed at the understanding of each nation's policy regard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by handling the general aspect of the policy establishment procedure. Also, chapter 5 deals with employment conveyance system to find out the properties of Korea and Japan's employment conveyance system. Japan's conveyance system now is the Department of Welfare and Labor, an integration of the once two separate departments. Before the integration, the Department of Labor was concerned with employment of the disabled, so in content it was already an unified conveyance system. Looking into Korea's problem of duality in the disabled employment conveyance system, the easy idea of integrating the ministries of labor, education, and welfare to create an unified system presented by professionals is thought-provoking. In chapter 6, measures that are enforced in the departments that deal with disabled employment is discussed in depth. Although Korea and Japan both have similar plans, it is not essentially executed in Korea, which brought forth delay in increase of employment rate for the disabled. Instead of presenting the ineffective method that continuously becomes a problem, a method that the entire area and community can participate in or the government can aid the participation thereof is needed. Since there was no presentation of measures provided by the local government, effects from emphasizing interest of the region and improvement in central government's general ability can be anticipated. Chapter 7's conclusion presents a summary of the whole dissertation and a suggestion for policy. Through this research, by comparatively analyzing Japan's use of the similar employment allocation system, and their successful policy schemes through variety of methods in employment policy for the disabled and the current Korean circumstance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pecific, effective reform plan to plan and carry out employment policies regarding the disabl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