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암시효과를 이용한 영화 홈페이지의 표현 연구

Title
암시효과를 이용한 영화 홈페이지의 표현 연구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터넷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의 발전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뛰어넘는 가상공간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영화라는 대중 매체와의 연결선이 되었다. 1994년 12월 Netscape 1.0이 출시된 이후 영화계는 인터넷이 멀티미디어와 인터액티비티를 가미한 홍보가 가능하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듬해인 1995년부터 개봉 영화의 홍보를 위해 영화 홈페이지를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인터넷 영화홈페이지는 영화산업에 있어서 영화의 홍보 수단과 정보전달에 있어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영화의 정서와 시각적 표현을 느낄 수 있는 사이버 공간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쁨, 분노, 슬픔과 함께 인간의 일차적인 정서 중의 하나인 공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온 공포영화가 관객에게 주는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운 공포를 암시효과를 사용하여 공포영화 홈페이지에 시각적으로 표현해 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암시효과를 이용한 공포영화 홈페이지의 시각적 표현에 대해 논하기 앞서, 인터넷 홈페이지와 영화의 관계를 정리해 보고 영화계의 인터넷 활용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둘째, 인간이 태어나면서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 접하는 인간생활의 기본적 정서인 공포를 중심으로 형성되어진 공포영화의 개념, 시대별 흐름에 따른 변화 와 유형, 그리고 공포영화에서 느껴지는 공포를 정의할 것이다. 셋째, 공포의 심리적, 정신적 위협에 대한 반응과 공포의 시각적 표현에 대하여 고찰할 것이다. 특히, 공포의 시각적 표현에서는 색채와 조명, 시각과 청각의 혼성자극에 관하여 논할 것이다. 넷째, 이론적 고찰의 마지막 단계인 암시의 개념과 암시효과의 표현에서는 상징법적 암시와 색채의 암시를 다루고 암시효과의 표현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작품제작 과정에서는 위와 같은 단계를 기초로 하여 공포영화에서 느껴지는 공포감을 영화 세븐(seven) 홈페이지 제작과정을 통하여, 암시효과를 이용한 공포영화 홈페이지의 적용안을 제안할 것이다. 인터넷 영화 홈페이지의 시각표현은 단순히 영화의 내용을 전하는 개념을 넘어서, 영화의 정서를 감성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표현되어야 한다. 감성적 느낌과 영화의 내용을 함축하여 함께 표현할 수 있는 요소를 본 연구과정에서는 암시효과라고 해석했다. ; The advent of internet not only has developed the simple technology but also has embodied the virtual space standing aloof from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 digitalization and the network. This characterization has become the linkage with a public mass, movie. After the initial sale of Netscape 1.0 on December 1994, the movie industry grasped the possibility of public communication added by multimedia and interaction, and started to construct websites to publicly communicate the released movie from the next year, 1995. Now, the internet movie websites have occupied the firm position as a public communication means of movies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or in the movie industry, and have become the cyber space from which we can feel the atmosphere and visual expression of movi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isually represent the precisely indefinable horror, which the horror movie formed centrally with the horror, one of the primary sentiments as like the joy, the fury, and the sorrow gives to spectators, by using an implication effect. The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Before discuss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horror movie website using the implication effect, first will arr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website and movie and explain the internet utilization of movie industry. 2. Will define the concept, the change and type according to the trend in every age, and the horror of the horror movie formed centrally with horror. one of the primary sentiment of human life which can be felt at the moment from birth to death. 3. Will study the response of the horror against a psycological and mental threat, and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horror, and will discuss the mixed stimulus of color and illumination, vision sense and auditory sense in the visual representation. 4. Will discuss a metaphorical implication and an implication of color, and suggest the examples of the representation of implication effect in the concept of implica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implication effect which is the final step of theoretical stud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will suggest an application plan of the horror feeling felt in the horror movie to the horror movie website using implication effect through the websit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movie, "Seven" on the basis of the said step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internet movie website should be made for spectators to feel sentimentally the sentiment of movie, beyond the concept of simply communicating the content of movie. The study interpreted the element which can represent the sentiment feeling a nd the content of movie with implication as an implication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