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피혁수공예기법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고려상감청자의 전통꽃문양을 활용하여

Title
피혁수공예기법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고려상감청자의 전통꽃문양을 활용하여
Authors
박은경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의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중세 이래로 현대 회화와의 공감을 통해, 개성있는 시각적 표현의 미적 예술성에 더 많은 가치를 두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패션 메시지 전달이라는 특별한 목적성을 갖는 장르이다. 대중의 새로움에 대한 끊임없는 욕구로 인해 현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재료, 표현 기법, 기능 등 다양한 영역으로의 확대가 이뤄지면서 패션의 중요한 표현 기능을 지닌 전문 분야로 발전하였다. 더욱이 실용적 기능성을 내포한 고도의 예술적 표현을 통해 순수 미술의 표현 영역으로 그 가치가 더욱 확대되면서, 작가의 신선한 감각을 시각화하여 그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에 따른 다양한 시도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태초부터 인간 생활과 함께 존재하였으며, 凹·凸의 독특한 부조적 표면 효과가 나타내는 섬세하고 장식적인 피혁수공예기법을 응용하여 전체적으로 고전적 로맨틱의 앤티크한 패션 이미지, 즉 모티프의 리드미컬한 율동성과 함께 독특한 발상적 직·곡선의 새로운 라인으로써 우아한 오뜨 꾸뛰르의 착장을 바람에 하늘거리는 미동과 여성적 곡선의 부드러운 패션 감성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려상감청자의 전통꽃문양 중에 주요 문양인 연화·모란·국화문의 절지와 당초 형태에 따른 경쾌한 곡선미와 조형성을 현대 패션 이미지에 적극 활용하였다. 이렇듯 전통꽃문양을 피혁수공예기법에 응용해 활용하는 것은 전통적 이미지가 가지는 시각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동시에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재료나 표현 기법에 있어 새로운 접근과 시도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시각·촉각·감성적인 앤티크한 고급스러운 패션 이미지의 발현으로 새로운 형식의 독특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써 고부가가치의 예술적인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에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과 역사를 시대에 따라 기술하면서 양식을 이미지 표현과 표현 기법의 양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이미지 표현 측면에서는 전통 문양의 개념과 의의를 통해 고려상감청자에 시문된 전통꽃문양의 종류와 변천 그리고 조형성과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표현 기법 측면에서는 피혁수공예기법에 따른 소재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가공을 조사하고, 피혁수공예 재료로써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피혁수공예기법의 개념과 역사, 종류와 기법, 피혁수공예기법에 의한 현대의 다양한 작품 사례 등을 제시함에 있어 국·내외 문헌, 출판물, 정기간행물, 도록, 인터넷 검색 등을 표집·분석·정리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적용 할 수 있는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런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탄닌 가공된 우피 위에 문양툴, 캐빙툴 등의 기본툴을 이용해 디테일한 모티프의 장식적 개념이 부각되도록 피혁수공예기법을 복합적으로 응용하였으며, 블루, 그린, 브라운, 레드, 오페라, 오렌지, 카키 계열의 색조를 4~5단계의 회화적 그라데이션으로 화사하면서, 차분하고 고급스러운 색채로 채색하였다. 채색에 따른 염색 방법에는 음각은 부분염, 양각은 러브염과 전면염을 통해 작품의 개별적 색조가 전체적으로 조화되는 로맨틱 무드로 총 10점의 작품을 제작하였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연구를 통해 5000년 전의 역사 속에서 형성된 피혁수공예기법은 현대의 다양한 생활 용품, 작품 등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그 쓰임 또한 폭넓고 다양하기에 미와 실용성이 결합·조화된 새로운 기능적 장식성으로 또 다른 장르에서 충분히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려청자상감기법과 피혁수공예기법을 통한 전통꽃문양의 표현은 재료의 특성 측면과 도구의 사용 측면이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한 전통꽃문양의 리드미컬한 반복적 율동감으로 고유미에 의한 부드러운 곡선적 여성미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고전적 로맨틱의 패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피혁수공예기법으로 이를 극대화 할 수 있었다. 셋째, 피혁수공예기법은 피혁 소재의 가소성을 이용하여 각인이나 다양한 형태의 문양 표현에 따른 수공예적인 다룸이 자유로워 작은 단위 형태의 배치·배열·조합에 의한 연속적 조형의 섬세함, 단일 면적의 반복된 장식적 효과, 부조적 음영 효과에 따른 질감 표현 등으로 기법적 독특함을 이용한 새로운 예술적 가치 창출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넷째, 동일 면적에 엷은 농도의 염료를 반복적으로 문질러 표현되는 점진적이고 회화적인 그라데이션이 러브염에 의해 염착, 신속한 마찰에 의한 자연적 광택, 피혁과 염착된 색채의 보호를 위한 후처리제 등 3차례 이상의 과정을 통해 색채에 따른 패션 이미지의 표현에 있어 고급스러운 앤티크의 효과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실생활과 밀접한 기능과 실용적 특성을 가진 천연 피혁은 그 재질감을 통해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부분과 함께 감성적인 안정과 친근감으로 그 무엇과 비교될 수 없는 고유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전통 문양의 응용과 새로운 기법의 적용으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이 가능한 예술 분야로써 위와 같은 전통꽃문양의 활용과 피혁수공예기법의 다각적 응용은 독창적이며 인상적인 율동적 고전미를 내포한 현대의 회화적 패션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예술 단계에 놓여 있는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욱이 앞으로 전통 문양의 이미지 표현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그 적용 가능성이 무한할 것으로 보이며, 피혁수공예기법이 다각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보다 독특하고 새로운 예술적 표현으로 시도되고 확산되어 표현 양식에 따른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기를 기대한다. ; Since the medieval age, the fashion illustration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paintings to visually express unique and aesthetic arts aiming to deliver the fashion messages. As the people continue to pursue something new,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 is expanding its sphere in terms of materials, expression techniques and functions, while being established as a new genre of art with its own expressions. Furthermore, the fashion illustrations become more practical and functional, and use high-level artistic expressions. Thus, the fashion illustrations as pure artistic expressions are being more and more appreciated.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authors are requested to visualize their fresh senses and deliver their own images by using new approaches.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applying the refined and decorative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characterized by unique relief effects with the time-honored prominences and depressions and thereby, creating a classical, romantic and antique fashion image, namely a rhythmical motif by using fresh and unique lines and curves to express a fashion illustration connoting an elegant haute couture-like swaying feminine curve. To this end, such traditional flower patterns of Koryo in-laid celadon showing cheerful curved and formative aesthetics as lotus, peony and chrysanthemum were applied for the modern fashion images. Such ap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ns for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may be new approaches or attempts to reilluminate their visual values and at the same time, use new materials or expression techniques for fashion illustrations. Such attempts aim to create antique and luxurious fashion images in terms of visual/tactile sense and emotion and thereby, expand the sphere of fashion illustrations into a high value-added genre of art. To this end, concepts and history of fashion illustrations were reviewed theoretically, and then, their forms were divided into image expressions and expressive techniques. In terms of image expressions, concepts and implication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were reviewed together with types, changes, formative aesthetics and symbolicity of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s used for Koryo in-laid celadons. In terms of expressive techniques, concepts, types and processing of the materials for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were surveyed, and thereby,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were examined. In addition, concepts, history and techniques of leather handicraft were reviewed, and thereupon, a variety of the modern leather handicraft works were sampled by searching for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publications, periodicals, catalogues and Internet to explore the ways to apply them for fashion illustrations. Based on such theoretical reviews, actual works were produced by using a pattern frame, a carving frame and other basic frames on the tanned cowhide; a detailed decorative motif was applied for the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and then, such color tones as blue, green, brown, red, opera, orange and khaki were gradated through 4~5 stages to express a colorful and luxurious tone. Meanwhile, engraved parts were partially dyed, while embossed parts were treated with rub dye and all stage dye. Thus, 10 pieces of works featuring a harmonious romantic mood were pro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s that the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developed for 5 thousand years could be used for various modern life necessities and artworks, and that their uses could be diverse for fresh works, and that their aesthetics and pragmatic functions could well be harmonized with their decorativeness, and therefore, that they could be applied for new genres of art. Second, It was found that Koryo in-laid celadon technique is similar to the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in terms of material properties and tools used to express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ns. In addition, the rhythmically repetitions of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n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highlighting a unique and soft feminine curve and thereby, some classical and romantic fashion image. Such an effect could be maximized with the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Third, it could also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natural leather very functional and practical can be no more valuable because it allows for some visual and tactile expressions as well as features an emotional stability and familiarity. Fourth, the plasticity of the leather could be used to engrave or express diverse patterns or forms. Moreover, since it can be freely handled, it may well be used to create new artistic values through deployment, arrangement and combinations of small unit forms as well as through repeated decorative surface expressions, relief shade effects or other quality effects. Fifth, it was possible to use a gradual and picturesque gradation by rubbing the dyestuff repeatedly on the same spot to express luxurious and antique fashion images by means of rub dye dyeing, frictional polishing and a post-treatment for protection of the color tone. All in all, it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fashion illustrations allow for diverse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flower patterns and new techniques for a variety of visual expressions, and that if the traditional patterns could be used with the leather handicraft techniques, modern picturesque fashion images of creative and impressive rhythmical classical aesthetics could be created, and thereby, that the sphere of the modern fashion illustrations could be expanded. Since it is expected that the images of the traditional patterns will be more applied for fashion illustra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attempt to express new and unique artistic values through diversified experiments and tests and thereby, develop the fashion illustrations fur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