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윤경-
dc.creator김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6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1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56-
dc.description.abstract직업은 개인의 인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물론 사회 발전의 결정적인 요소의 하나로 작용하므로 각 분야에 종사하는 개개인의 직업의식은 사회와 경제 발전의 중요한 요인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각 조직의 구성원들이 지닌 직업의식 수준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직무수행의 결과 그리고 조직의 성과가 달리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성원들의 직업의식 수준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직업의식의 고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특히 각 분야에서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전문직군의 직업의식에 대한 연구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원들의 전문성을 제고하여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보다 선진화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는 데서 그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직업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업의식 수준을 측정하여 교육수준과 경력, 근무하는 기업의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 직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에 따라 먼저, 직업의식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직업의식의 구성요인을 전문성 인식과 직무헌신도, 직업에 대한 긍지와 근속의지 4가지 요인으로 한정하고, 각각의 요인들이 비서의 교육수준과 경력, 회사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 직업의식이 비서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토대로 목적에 적합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연구를 위해 국내기업과 외국인기업 등에 근무하는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를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의 직업의식 수준은 각각의 요인에 대해 평균점수 이상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교육수준별 전문성 인식을 제외한 직무헌신도, 직업에 대한 긍지와 근속의지 요인 등에서 교육수준과 경력, 기업형태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비서직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조직 내에서의 위상이 향상되면서 업무에 대한 긍지와 보람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비서의 전반적인 직업의식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 비서의 직업의식은 교육수준이나 경력, 회사형태에 의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비서의 직업의식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세가지 특성 변수 외에 다른 변수들에 의해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전문성 인식에 대해서는 대졸, 전문대졸, 고졸 학력의 순으로 교육정도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분명했는데,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전문비서에 대한 요구와 훈련된 비서들의 능력과 업무욕구가 부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각 기업은 고도의 업무수행 능력이 요구되는 위치에 고학력의 비서를 채용하게 되고, 고학력의 비서들은 요구되는 업무수행 능력에 비례하여 자신의 업무에 대해 그 만큼 높게 전문성을 인식하게 되는 이치이다. 위와 같은 근거에서 그 만큼 훈련된 집단인 대졸자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가장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의 직업의식과 직무만족은 정(+)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헌신도와 내재적 만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업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헌신하려는 정도가 높을수록 타인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기회와 업무 재량권, 업무수행의 성취도에 대한 만족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직무헌신도는 외재적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또한 직업에 대한 긍지 요인 다음으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는데 직무헌신도가 높을수록 고용의 보장과 급여, 승진, 기타 작업환경 등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 또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직업의식의 네가지 요인 중 직무헌신도가 전체적인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비서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직업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써 비서의 직업의식 수준 향상과 직업의식의 영향요인 파악을 위한 좀 더 다양한 연구 수행의 기초를 마련한 점에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둘째, 직업의식의 측정을 위해 선행연구의 수정·보완을 통해 연구자가 설계한 측정도구가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거쳐 실증연구를 통해 적합성이 확인되었다는 점이다. 향후 연구자가 선정한 네 가지 요인 이외에 직업의식의 구성요인을 다각도에서 선정하여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실증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The profession is not only one of a important thing in one s life, but also one of a conclusive factor for social economy growth. Because according to one s professionalism working in various job areas, their job satisfaction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individual performances show very different results. On these days, rapid changes in social climates accelerated people to acknowledge the secretaries as one of professiona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ofessionalism among secretaries, to find out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levels, length of service, and type of enterprise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ecretaries professionalism on their job satisfaction. To accomplish this research goal, secretaries professionalism is limited as following four factors;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degree of job devotion, pride in work, and intention to continuous service. Also the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is selected seven questions from MSQ(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literature review. With questionnaire method, 200 secretaries from domestic companies, government corporations, and foreign firms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Secretaries professionalism level scored above average in each factor,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their educational levels, length of service, and type of enterprises excluding just one part. In measuring of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the group of 4-year university graduates recorded the highest score, and the group of 2-year college graduates, high school graduates followed that order. 2. It was found out that the more higher th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the more higher their job satisfaction. Especially, the degree of job devotion is identifi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secretaries job satisfaction among the four factor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actually analyzed the effects of secretaries professionalism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is will be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es to enhanc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2. It was proved that the measurement tool used this research is acceptable through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A. 연구목적 = 3 B. 연구방법 = 4 II. 이론적 배경 A. 직업과 직업의식 = 5 1. 직업의 개념 = 5 2. 직업의식의 개념 = 8 3. 직업의식의 변화 = 10 1) 직업의식의 태동 = 10 2) 1960년대70년대 직업의식 조사 비교 = 12 3) 1990년대의 직업의식 = 15 4) 직업의식 논의 = 16 B. 직무만족 = 17 1. 직무만족의 개념과 결정요인 = 17 2. 직무만족도의 중요성 = 20 C. 비서의 직업의식 = 21 D. 비서직의 전문성 = 22 E. 선행연구의 고찰 = 24 III.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A. 연구모형 = 27 B. 가설의 설정 = 28 C. 변수의 조작적 정의 = 28 D. 설문의 구성 = 30 IV. 실증분석 A. 분석절차 및 방법 = 32 1. 표본의 추출과 자료의 수집 = 32 2. 자료분석방법 = 32 B. 연구의 결과 = 33 1. 표본의 구성 = 33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 36 3. 가설검증 = 38 V. 결론 A. 연구의 결과 및 의의 = 51 B. 연구의 한계와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1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5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비서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비서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비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