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0 Download: 0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

Title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과 그에 대한 교사의 반응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은 어떠한가? 2. 교사의 반응전략은 어떠한가? 3. 교사반응전략의 결과는 어떠한가? 4. 교사의 재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유치원의 3세 5세 교사 6명씩 총 12명의 교사와 그들이 담당하고 있는 유아들이다. 연구도구로 활동유형과 부적절한 행동에 참여하는 유아의 수는 각각 이기숙(1994)과 노정화(1997)의 범주 그리고 Lasley, Lasley, & Wark(1989)의 범주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유형은 Scott-Little와 Holloway(1992)의 범주와 황보영란(1987) 및 지성애(1994)의 범주를 참고로 수정·보완하였으며, 교사의 반응전략의 범주는 Kounin(1970)과 Lasley 등(1989)의 범주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재반응 전략의 범주는 Levin과 Rubin(1982)의 범주를 번안한 박혜영(2000)의 연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유치원 하루 일과 시간에 일어나는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을 녹화 및 기록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먼저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과 교사반응의 에피소드를 구분하고, 그 행동이 일어나는 활동 유형, 부적절한 행동에 참여한 유아 수, 부적절한 행동의 유형, 교사 반응, 그리고 재반응의 각 범주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유아의 집단생활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가장 많이 인식하였고, 개인생활에 있어 감정 욕구를 조절하는 문제와 기본생활 습관과 관련된 행동, 그리고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의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라서는 남아가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인식하는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수는 주로 개별 유아의 형태로 나타났고, 교사들은 대집단활동시간에 보이는 유아들의 집단활동 방해행동에 가장 많이 반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실내 개별활동에서 교사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는데 미숙한 행동을 더 많이 인식하였다. 실외 개별활동의 경우에는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을 가장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절차 및 전이활동에서 교사는 정리를 잘 하지 못하고 차례를 지키지 못하는 등 기본생활과 관련된 부적절한 행동과 함께 집단생활에 방해가 되는 행동을 많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교사의 반응을 보면, 교사는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직접적인 반응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간접적인 전략 또한 적지 않게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 유형에 따라서는 기본생활습관과 개인의 감정 및 욕구 조절 미숙과 관련된 부적절한 행동에 교사는 직접적인 반응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 중 제안하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집단생활을 방해하는 유아의 행동에는 간접적인 요구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또한 유아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에 교사는 직접적인 반응 중 단호함을 많이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으로 생각되어지는 거친 반응은 생각 외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부적절한 행동을 무시하는 반응도 보였으나, 교사들은 이 반응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을 제외한 다른 행동에는 이 전략을 가끔 사용하였다. 유아의 성에 따라서 교사의 반응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남자유아에게 교사가 단호한 반응을 좀 더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유아의 수에 따라 교사의 반응전략은 차이가 있었다. 우선 유아 혼자 또는 두 세명의 유아가 부적절한 행동을 보일 경우 교사는 직접적인 반응을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집단이 부적절한 행동을 한꺼번에 보일 때는 간접적으로 유아의 부적절한 행동에 반응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활동유형에 따라 교사의 반응은 차이가 있었다. 개별활동과 일상절차 및 전이활동의 경우에 교사는 직접적 반응전략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대·소집단활동에서는 간접적인 반응전략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반응전략에 상관없이 유아는 부적절한 행동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았다. 네 번째로 교사의 재반응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교사의 재반응은 융통적 재반응, 다른 대안 반응, 고정적 재반응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집단크기에 따라서는 소집단과 대집단의 경우 융통적 재반응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개별유아의 경우에는 다른 대안 반응, 융통적 재반응 고정적 재반응의 순으로 나타났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ren s inappropriate behavior and their teachers responsive strategie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m among various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and the teacher in the kindergarten. For the above prupose,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inappropriate behavior? 2, What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s responsive strategies? 3. What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ult of inappropriate behavior following teacher s responsive strategies? 4. What ar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s re-resposive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ach five teachers taking care of three-and five-year-old Children 10 in total, at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Children receiving their care. Observation of all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 and the teacher was made following the daily routine with videotaping and the results were recorded. In analyzing data, inappropriate and responsive episodes were divided, 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category, i.e., inappropriate behavior of children, responsive strategy of teachers, result of inappropriate behavior following the strategy, and re-responsive strategy were found.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Children did a lot of inappropriate behavior by obstructive behavior of group life next controlling of impulse and desire, basic life habit and then threatening safety behavior. As for the difference in behavior types by sex, boys or their group did more inappropriate behavior than girls or, mixed sex group. As for the size of children with inappropriate behavior, an individual case was highest degree, and for the type of activity, children did problemetic behavior in free-play time, did obstructive behavior at large group or small group time, and did threatening behavior at play ground. Second, Teacher used direct strategy more than indirect strategy. As for the difference in type of inappropriate behavior, they used indirect strategy to stop obstructive behavior among them, mostly used awakening atten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 s responsive strategies to sex of their children. As for difference in the size of group, teacher used mostly direct strategy in individual or small group, but used usually indirect strategy in large group. As for the type of activity in teacher s responsive strategies, teacher used indirect strategy in large or small group activity but they used direct strategy individual activity such as free play or outdoor activity. Third, As for result of inappropriate behavior following teacher s responsive strategies, without concerning teacher s responsive strategies, most inappropriate behavior was stopped. Forth, As for the re-responsive strategy, teacher had re-responsive strategies prefering flexible re-response, other alternative response, rigid re-response. As for the difference re-responsive strategy, teacher used other alternative response for threatening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