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지혜-
dc.creator문지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9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4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에 나타난 남성과 여성의 성장과정이 성별화된 사회에서는 남녀 모두의 자아실현이 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줌으로써 빅토리아 사회의 지배적 성담론인 분리 영역 담론의 한계와 모순을 비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고찰하고자 한다.『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은 흔히 주인공 매기의 성장소설로 읽히지만 서사구조 속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톰의 성장과정은 이 소설이 톰의 성장소설로 읽힐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즉 엘리어트는 젠더가 다른 두 인물의 성장과정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여성성장소설과 남성성장소설을 한 작품 내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성장소설에서 사회는 개인의 성장과정을 규정하는 틀로서 작용하므로 두 인물의 상반된 성장과정은 빅토리아 시대의 지배적 성담론인 분리 영역 담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젠더의 차이를 중심으로 읽어낼 수 있다. 본론 1에서는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에서 매기와 톰이 교육을 통해 분리 영역에 따른 성역할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고찰한다. 어린시절은 두 인물이 앞으로 직면하게 될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에서의 분리된 역할에 대한 준비과정이다. 두 인물의 교육은 끊임없이 반복되는 성역할의 주입과 그를 따르지 않았을 경우 수반되는 처벌의 경험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회에서 부여한 여성의 성역할에 저항하는 매기 뿐만 아니라 쉽게 남성의 성역할을 내재화시키는 톰도 성역할은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주입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교육을 통한 성역할의 사회화는 본성에 따른 영역 구분이라는 분리 영역 담론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론 2에서는 이러한 교육을 바탕으로 청년기에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으로 분리된 매기와 톰의 성장과정이 사고 와 행동 의 측면으로 구분되는 양상을 살펴 본다. 성장소설 비평에서는 사고 와 행동 의 조화로운 발전을 보여주는 주인공을 상정하고 있으나 분리 영역 담론에서는 여성에게 사고 의 요소를 강조하는 한편 남성에게는 행동 의 요소를 강조한다. 분리 영역에 따라 매기와 톰의 성장과정은 각각 한 요소만을 경험하도록 제한됨으로써 성장소설 비평에서 상정한 두 요소의 조화로운 발전이 성별화된 현실에 적용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두 인물은 분리 영역 담론의 가정대로 분리 영역에서 각자의 삶을 수행함으로써 조화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대립구도를 이루게 되어 이러한 담론의 폐해를 드러낸다. 본론 3에서는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의 비사실적 결말이 두 인물의 분리된 성장과정을 규정한 성별화된 사회를 비판하고 있음을 고찰한다. 결말에 이르러톰은 자수성가하여 공적 영역에서 성공한 인물로 평가받지만 매기는 결혼이라는 사회적 기대를 만족시키지 못함으로써 사적 영역에서 실패한 여성으로 규정된다.이와 같이 상반된 사회적 평가에 의해 두 인물의 갈등은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등장한 플로스 강의 홍수는 두 인물로 하여금 서로에게 결핍된 요소를 경험함으로써 화해하고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결말이 사회를 초월한 비사실적 배경에서 일어나고 두 인물이 죽음으로써 사회에서 사라진다는 사실은 역으로 성별화된 사회에서는 이러한 결말이 가능하지 않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비사실적 결말은 남녀 모두의 조화로운 자아실현이 불가능한 성별화된 사회의 한계를 비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에 나타난 여성과 남성의 성장과정을 통해 분리 영역 담론에서 규정하는 남녀의 본성과 성역할이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교육을 비롯한 문화적 상황의 산물임을 고찰하는 것은 엘리어트의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이 작품 속에서 성별화된 사회에 갇혀 죽음을 맞이하는 주인공을 보여줌으로써 흔히 보수적이고 미성숙하다고 평가되던 엘리어트의 여성문제 인식은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보다 진취적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 This thesis explores that the narrative of Bildung in The Mill on the Floss is not merely framed by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but criticizes it by revealing the contradiction within it. This novel is usually read as Maggie s Bildungsroman. However, it is also Tom s Bildungsroman due to the amount of narrative assigned to Tom. Therefore, we can compare female Bildungsroman with male Bildungsroman through this novel. The second chapter examines how Maggie and Tom recognize the binary gender system through domestic and formal education in childhood.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assumes that men have the public sphere and women the private sphere according to different nature of men and women. But their education consists of continuous instilling gender and experiencing punishment in case that they don t perform assigned gender. Through this process, the story of Tom, who conforms binary gender system as well as the story of Maggie who resists it, reveals that gender is not essential but socially constructed. Therefore, acquiring gender through education proves the contradiction inhering in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that Maggie s and Tom s developments are divided into reflection and ac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separate spheres in adolescence. The Bildungsroman criticism supposes that the protagonist shows the development of both of reflection and action . However, men s and women s experience in the gendered world are limited according to their separate spheres. Therefore, Maggie s Bildung is concentrated on the inner struggle, but Tom s on the outer one.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supposes that men and women live in their separate sphere in harmony. But Maggie and Tom run counter each other, so they show that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is inconsistent with the reality. The fourth chapter argues how the unrealistic ending of this novel criticizes the gendered society. In coming to the ending, Tom is judged as a successful man and Maggie as a fallen woman by their provincial society, St Ogg s. Due to this opposed social judgment, their conflict culminates. However, the flood bursting on the scene makes them experience the element represented by each other, reconcile and die. This unrealistic ending means that such experiences are impossible in the gendered world, so criticizes the society dominated by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This analysis suggests that Eliot s questioning of men s and women s gendered Bildung is related to the questioning of gender. Eliot retorts essentialism of the separate spheres discourse and shows that gender is socially construc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I. 서론 = 1 II. 성별화된 사회에서 남녀의 성장 = 15 III. 사고와 행동의 불균형적인 발전 = 37 IV. 비사실적 결말의 사회비판 = 57 V. 결론 = 75 참고문헌 = 79 영문초록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363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별화된 사회에서의 "성장" : '플로스 강의 물방앗간'을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영문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