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5 Download: 0

고용보험을 통한 실업자 자영업 창업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고용보험을 통한 실업자 자영업 창업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Authors
송민아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Although Korea has confronted mass unemployment since Economic Crisis in 1999, Employment Insurance, which was adopted in 1995, enabled Korea to grapple with the problem of unemployment resulted from workout plan to some degree. However, according to a recent follow-up survey on labor market changes of unemployment benefits recipients, in terms of the rate and period of reemployment, employment types, and average income, the recipients obtained an unfavorable result, compared with non-recipients. Current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n Korea has been operating programs that intend to prevent unemployment from occurring, and there is no program to assist the unemployed in reemploying except for both Unemployment Benefits and wage employment-oriented Reemployment Training. Therefore, especially for the middle-aged, who are over 40 years old and hard to be reemployed, it is impossible to secure new employment by means of either job search or vocational training supported by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n addition, this situation possibly leads to a long-term unemployment, and consequently, they could become the homeless, resulting in family discord, such as divorce and runaway, which subsequently constitutes a social problem. Having already recognized the problem about people who are hard to be reemployed, such as the middle generation, developed countries began to implement a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as a plan for productive job creation in the middle of 1980s. In 1987, Canada introduced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as a model business as well, and now they execute the program as one of Employment Insurance programs. Beside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it is evaluated that Canada has shown a successful result with respect to business viability rate, income increase level, created employment rate, and reemployment rate. Hence, this paper studies both a system and measures, which are essential to adopt a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as a program to promote reemployment under Employment Insurance in Korea, analyzing how the program system of Canada has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business starts-up for the unemployed. To do this, after considering the system of Employment Insurance in Canada, this research analyzes the administrative system, target selection, and business advisory services, and income support in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of Canada. Furthermore, by researching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n Korea and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recently run on a national level, this paper finds out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for the unemployed under Employment Insurance to Korea. Canada presents Unemployment Benefits under Employment Insurance System as well as a variety of employment service to promote reemployment for the insured jobless. In addition, in order to enable Unemployment Benefits recipients to participate in the Employment Benefits programs successfully, Canada has made it obligatory to relieve conditions on both active job search and unemployment benefits reduced income targets in Employment Insurance Laws and to make a reemployment action plan through employment supporting services of personal advisers so as for the unemployed to join a proper Employment Benefits program. Canada, also, has constructed the partnership with diverse institutions in a local society for accomplishing the programs to promote reemployment effectively and professionally. Based on the assistance of Employment Insurance Law, particularly Toronto in Canada has created a middle specialized organization in charge of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and has managed the program by networking between Human Resource Centers of Canada and Delivery Agents. With this networking in the strict screening process with multi stages, through clients self-decision and selective criteria, Toronto selects clients who have a great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a business successfully, and later on, during the program period, it provides a variety of business advisory services, such as packaged business starts-up training and continuous follow-up service, in stages through the Delivery Agents. Moreover, as an incentive to maintain the clients fixed income and to encourage them to join the program, Toronto presents regular income support, such as Unemployment Benefits or allowance, and supplementary allowance, depending on clients situation. Since in Korea there is no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as well as there is no connection with business development agencies and no legal and administrative assistant base for Unemployment Benefits recipients to participate in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run by the Government, the unemployed under Employment Insurance hardly join activities prepared for business starts-up. According to the study above, in terms of introducing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to Employment Insurance System in Korea, some suggestions obtained from Canada are following. First of all, in order to introduce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the Government should enact a legal basis and to build a guideline in Employment Insurance Law, relevant to implementing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Besides, it is indispensable to increase Employment Insurance Fee for enlarging Employment Insurance Fund depending on expanding programs. Secondly, to enable the recipi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ctively, the amendment of Employment Insurance Law is required to relieve the followed conditions, such as recipients qualifications, the extent of active job search, and a target of Unemployment Benefits deducted income. Next, the specialized department in charge of the insured unemployed people of Employment Insurance should be prepared for performing employment supporting service through a case management, and it should be made an obligation for the unemployed to build a reemployment action plan through a consultation with personal advisers before joining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Fourthly, the Government should fulfill professionally both selecting participants and providing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by constructing a network with Small Business Development Center under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at provides business advisory services specially on a national level. Fifthly, in terms of selecting participants, screening processes in multi stages and stringent selective criteria should be planned in order to choose clients with a high potential for successful business starts-up with Small Business Development Center. Next, with respect to offering the self-employment assistance program, diverse supportive service related to business starts-up should be provided, but by packaging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necessary to starting business,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participation obligatory.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maintain continuous follow-up service, appointing a coordinator in charge in Small Business Development Center. Lastly, as provided with periodic income support as an incentive during the program period, clients should be encouraged to secure safe income and to join the program to the last. In case of that initial capital for business starts-up is insufficient, it is feasible to consider gaining financial service or leasing support service operated by either Small Business Development Center or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without any screening process. ; 우리 나라는 1999년 IMF 외환 위기 이후 심각한 대량 실업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나, 1995년부터 도입한 고용보험을 통해 어느 정도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량실업사태에 대응해 올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실업급여 수급자들의 노동시장 이동과정에 대한 추적조사(Follow-Up Survey)에 따르면, 오히려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실업급여 비수급자들에 비해 재취업률, 재취업 소요기간, 취업형태, 평균소득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현재 한국의 고용보험제도는 실업예방을 위한 사업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실업자들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에는 실업급여와 임금고용 위주의 실업자재취직훈련사업 밖에 없다. 따라서 특히 임금고용으로 재취업하기 어려운 40대 이상 중장년층들은 노동시장의 연령제한에 따라, 구직활동이나 현재 고용보험제도 상에서 지원되는 직업훈련을 통해서 안정적인 새로운 일자리를 구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장기실업으로 이어질 가능성 또한 높아, 결국 노숙자로 전락하거나 이혼, 자녀가출 등 가정파탄문제를 일으킴으로써 심각한 사회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일찍이 이러한 중장년 실업자들과 같이 임금고용으로 재취업이 어려운 대상층들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한 선진국가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생산적 고용창출을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서 실업급여 수급자들을 대상으로 자영업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캐나다도 1987년 시범사업으로 실업자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을 도입하여 현재 고용보험사업 중 하나로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에 비해 사업의 생존율, 창업에 따른 소득증가 수준, 고용창출률, 재취업률 등의 측면에서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도 고용보험 내 실업자들의 재취업을 촉진할 수 있는 사업 중의 하나로 자영업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와 정책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캐나다의 경험을 통해 어떠한 운영체계와 방식을 통해 실업자들의 창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캐나다의 고용보험을 통한 실업자 자영업 창업지원제도를 살펴보는 데 있어, 우선 캐나다 고용보험제도의 운영체계를 살펴본 후, 자영업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체계, 대상선정, 창업지원 서비스, 소득지원 차원에서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고용보험제도와 최근 국가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제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고용보험을 통한 실업자 자영업 창업지원 사업의 도입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캐나다는 고용보험제도 상에 실업급여 서비스 뿐 아니라 자영업 창업지원 등 실업자들의 재취업촉진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고용서비스들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자영업 창업지원 등 고용급여사업에 원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고용보험법상 적극적인 구직활동 및 실업급여 감액 소득대상 범위 등에 있어 수급조건을 완화해 주고, 실업자들이 자신에게 적절한 고용급여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우선 개별상담가의 고용지원서비스를 통해 재취업실천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것을 의무화하였다. 또한 재취업촉진사업들이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 다양한 기관들과 파트너쉽을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고용보험법상의 지원기반 하에 특히 캐나다 토론토 지역의 경우, 자영업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중간전담조직을 두어, 지역 인적자원센터(Human Resource Centres of Canada)와 창업지원 전문 서비스기관(Delivery Agents)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자영업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킹으로 다단계에 걸친 엄격한 대상자 선별절차(screening)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self-decision)과 심사기준을 통해 창업 및 사업성공의 가능성이 높은 클라이언트들을 선정하고, 이후 프로그램 기간 동안 전문 서비스기관을 통해 패키지화된 창업교육 및 훈련과정과 사례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사후관리 서비스 등 다양한 창업지원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타이트하게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일정소득 유지와 지속적인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로서,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따라 실업급여 혹은 자영업 창업수당과 보충수당 등의 정기적인 소득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은 고용보험제도 내에서는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이 부재할 뿐 아니라,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정부차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법적·행정적 지원기반과 창업지원 전문 서비스기관들과의 연계체계도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고용보험 피보험 실업자들이 창업준비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고용보험사업에 자영업 창업지원 사업을 도입하는 데 있어 캐나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보험 내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을 도입하기 위해서 고용보험법에 자영업 창업지원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법적 근거와 정책적 운영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사업확장에 따라 고용보험기금 확충을 위한 고용보험료의 인상이 필요하다. 둘째, 창업희망 실업급여 수급자들이 자영업 창업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수급자격, 적극적인 구직활동 인정범위, 실업급여액 공제소득 대상 등 수급조건들이 완화되도록 고용보험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사례관리를 통한 고용지원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용보험 피보험 실업자들만을 위한 전담창구를 마련하고, 자영업 창업지원에 참여하기 전 개별상담가와의 상담을 통해 재취업실천계획을 세우는 것을 의무화해야할 것이다. 넷째, 현재 국가차원에서 창업지원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중소기업청 산하 소상공인지원센터를 활용하여 네트워킹을 구축함으로써, 대상자 선정과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이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대상선정 측면에 있어 소상공인지원센터와 함께 사업성공의 가능성이 높은 클라이언트들을 선정할 수 있도록, 다단계에 걸친 선별과정과 엄격한 대상자 심사기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창업지원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는,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되, 창업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내용의 창업교육 및 훈련과정을 패키지화하여 참여를 의무화하고, 소상공인지원센터에 전담 코디네이터를 지정함으로써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기간 동안 클라이언트들에게 인센티브로서 정기적인 소득지원을 제공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이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하고 프로그램에 끝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창업초기자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별도의 자격심사 없이 현재 소상공인지원센터나 근로복지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업자금지원 및 점포임대사업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강구해 볼 만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