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혜-
dc.creator이미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22-
dc.description.abstractThe reform of sound started by introducing digital into movie sound, which, developed from mono into stereo, can be reproduced into multi-channel. The now developed digital formats are SRD, DTS and SDDS. By introducing digital format into film, the audience has come to enjoy movie in a more stereophonic sound. Because of these merits of digital formats, they are introduced into film and being used. As I surveyed what kind of format film makers were making films with, centering on the movies into which digital formats were introduced, it has turned out that beginning in November 1999, 85~90% movies in film markets were digital ones into which SRD were introduced. I have surveyed and filed away data to find ways for the development of movie sound in Korea and an active application of digital formats, putting emphasis on a few points below. I have researched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points at issue in creating sound, focusing on its method, asking and interviewing film producers. As the result, I have found such major problems from my point of view as following: ο Over a third of movie theaters in Seoul and most ones in local districts are not equipped with digital system. ο Including directors, theater staff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reating sound, which belongs to the latter half of movie production, is not satisfactory. ο It is impossible to reproduce the digital sound of good quality due to the absence of a regular checkup about SRD equipment. ο In some cases, the second work of film development is needed for the digital format of imported films. It costs a great deal to import the finished films formatted with DTS or SDDS, which Korean movie producers can not yet make. To settle these problems, at an early time the system of more movie theaters should be digitalized, and also a perfect maintenance service is required. Domestic film mak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sound not long ago, but the recognition of movie sound, which film production staff, the theater workers concerned and the audience have now, should be renewed, and the higher level of movies be provided that the audience could enjoy. ; 영화음향에 디지털을 도입함으로 사운드의 혁신이 일어났다. 모노에서 스테레오로 발전한 영화음향은 멀티 채널로 재생가능하며 현재 개발된 디지털 포맷으로는 SRD(돌비 디지털), DTS, SDDS 이다. 영화필름에 디지털 포맷을 도입함으로 관객들은 영화를 좀 더 입체감 있는 사운드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포맷의 장점 때문에 급속도로 영화필름에 디지털 포맷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디지털 포맷을 도입한 영화를 중심으로 어떤 포맷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작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1999년 11월부터 85~90%의 영화가 SRD를 이용한 디지털 필름을 제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은 우리 나라 영화음향 발전과 디지털 포맷의 적용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아래 사항에 중점을 두고 자료를 조사 및 정리하였다. 영화필름 제작자들의 설문과 인터뷰를 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사운드 제작의 현 실태와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주요 문제점에 대한 의견은 아래와 같다. ο.서울의 3분의 1이상의 극장과 지방의 대부분의 극장들은 디지털 장비 시스템 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ο.감독을 포함한 극장 관계자들의 사운드를 입히는 후반작업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미흡하다. ο.SRD 장비에 대하여 정기적인 정비의 미실시로 양질의 디지털 재생이 불가능하다. ο.수입한 필름의 디지털 포맷을 위해 현상소에서 재작업을 해야 하거나 디지털 포맷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극장의 재생환경에서 아직 불 가능한 DTS, SDDS포맷까지 완료된 필름을 수입할 경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더 많은 극장의 시스템이 디지털화 되어야 하며 또한 완벽한 정비지원을 해야만 한다. 영화필름에 있어서 사운드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진 것은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영화제작진들과 극장관계자, 관객모두가 사운드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수준 높은 영화를 공급하고, 관람할 수 있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3 I. 緖論 = 4 II. 디지털 오디오 포맷의 발달 과정 ; 필름을 중심으로 = 6 A. 아날로그 테이프 = 6 B. 디지털 오디오 포맷의 발달 = 8 III. 디지털 필름에 對한 이론적 고찰 = 15 A. 영화음향 시스템의 발달 = 15 B. 디지털 영화 포맷의 종류 = 21 C. 영화의 재생환경 = 28 IV. 우리나라 영화에서의 디지털 포맷 失態 = 38 A. 우리나라 디지털 음향의 理容玄黃 = 38 B. 우리나라 디지털 음향의 失態 및 문제점 = 45 V. 結論 = 48 별첨(설문지) = 50 參考文獻 = 51 英文抄錄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332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내 필름의 디지털 오디오 포맷 활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실용음악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실용음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