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9 Download: 0

유아기의 종교적 상상력을 통한 기독교 교육

Title
유아기의 종교적 상상력을 통한 기독교 교육
Authors
김정민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종교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일방적인 지식전달 위주의 교육은 많은 한계점을 지니는데, 특별히 유아기의 기독교 교육은 지식 전달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유아기의 다양한 발달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이 필요하다. 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을 지적, 정서적, 사회적, 종교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아기는 지적 발달 면에서 직관이 사용되는 감각적인 사고를 하기 때문에, 논리적이라든가 추론적인 사고를 이해하기는 힘들다. 정서 발달 면에서는 자율성, 주도성, 신뢰감이 형성되는 시기로서, 이 시기 정서적 안정은 부모들이 유아에게 대하는 태도가 일관성 있는 애정을 주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형성된 부모에 대한 이미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사회 발달 면에서는 물론 부모가 가장 중요한 관계의 대상이 되지만, 또래 집단과의 관계의 중요성도 매우 커지는데, 유아들은 주로 상징 놀이를 통해서 서로의 관계도 형성하고, 학습을 하기도 한다. 유아기는 종교 발달 면에서 부모에게서 받은 이미지와 신뢰의 경험을 통해 하나님과 신앙에 대한 이미지를 얻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 유아기는 인지적인 측면보다 감정적인 측면, 상상력적인 측면이 더욱 중요한 발달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기에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은 많은 한계점을 지닌다. 그러나 현재 교회는 주로 지식 전수 식의 교육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학교식 교육을 특성으로 하는 교회 학교의 교육과 관련이 있다. 학교는 원래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서 생겨난 기관이기 때문에, 학교식을 따르고 있는 교회 학교 역시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정서적, 행동적인 측면까지 모두 포함된 전인적인 기독교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유아기 기독교 교육도 대부분 교회 학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기 기독교 교육 역시 지식 전달 위주로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전인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는 기독교 교육의 특성과 지적 발달이 미흡한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현재 지식 전달 위주의 유아기 기독교 교육은 새로운 교육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아기의 풍부한 상상력을 대안으로 삼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아기의 풍부한 상상력을 통한 기독교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해 봄으로써, 유아기에 전인적인 기독교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기의 상상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인 유아기의 기독교 교육 방법을 모색해 보기 위한 시도로서 놀이, 예술, 시뮬레이션, 이야기, 교수 매체, 환경을 통한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기독교 교육에서 놀이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얻을 수 있는 기쁨과 연관된 근원적인 모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독교 교육의 장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한다면, 유아는 기독교 교육을 기쁨의 느낌으로 알 수 있게 될 것이고, 이는 상상력을 통해 유아가 갖는 기독교적 이미지와 연결되어 긍정적인 신앙의 이미지를 세워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문자를 이해하지 못하는 유아에게 예술을 활용할 경우, 유아는 상상력을 통해 기독교적 신앙을 느낌으로써 알 수 있다. 셋째 시뮬레이션의 방법은 교육 내용을 가장 사실에 가깝게 재현해 냄으로써, 상상력을 통해 그 당시의 상황, 감정을 최대한 현실적으로 느껴볼 수 있게 해 주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활용한다면 유아는 성서 내용이나 생활 윤리 등의 내용을 재미있으면서도 진지하게 알아 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이야기의 방법은 교육 현장에서 가장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방법이지만, 유아들에게 특히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단순한 내용 전달을 하는 이야기로써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예술적인 방법, 시뮬레이션의 방법, 교수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 동화법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이야기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이야기를 들은 유아가 이야기를 완전히 이해하고, 이야기 속에서 살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 다섯째 유아기 기독교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교수 매체는 유아가 친근하게 느끼고,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매체이어야 한다. 또한 유아에게 가르치고자 하는 의미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일치 할 수 있는 교수 매체를 선택 해야 한다. 여섯째 유아를 위한 기독교 교육 환경은 유아가 하나님 또는 교회 같은 기독교적 이미지를 갖게 되는데 가장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따듯함과 편안함이 느껴지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고, 교사들도 유아에게 관심과 애정으로 대해야 한다. 그런 환경이 조성된다면 이를 통해 유아는 참으로 사랑받고 있다고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므로, 기독교적인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형성해 나갈 수 있다. 이처럼 유아기 종교적 상상력이 바탕이 되는 전인적 기독교 교육이 되도록 하기 위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놀이가 유아의 진지한 근원적 양식임을 인정하고, 놀이적인 분위기 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기 기독교 교육에서 예술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보다 많은 교육시간이 필요하다. 충분한 교육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교회와 가정이 연계하여 유아들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시간을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세째 교회는 유아기 기독교 교육이 단지 탁아를 하는 시간이 아니라, 그 자체로 교육하는 시기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넷째 기독교 교육 과정중에 나타나는 언어의 사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언어 발달이 한창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기에, 교회에서 사용되는 신앙의 언어는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져서 유아가 교회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섯째 교회가 대형화 되어 감에 따라 관리상의 편의나, 교실부족의 이유 등으로 교회학교 학생들을 연령별로 분류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유아기의 경우만 보더라도 영아부, 유아부, 유치부라는 이름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렇게 분류시켜서 하는 교육은 교육하는 입장에서는 교육대상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해의 정도나 교육수준이 일정 폭 안에 있어서 교육내용의 수준을 맞추기가 쉽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연령이 함께 있다면 서로의 경험을 함께 나눌수 있다. 그처럼 경험을 나누는 것은 유사한 경험을 했거나 하게될 사람들에게 상상력을 통해 간접 경험하게 하여 문제를 해결 하는데 도움을 준다. 여섯째 교회는 유아기 기독교 교육 환경에 적극적인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유아기는 환경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 시기이므로, 그 어느 곳보다 유아들을 위한 환경이 우선 고려 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유아기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에 변화가 요구된다. 지금까지의 교사 교육이 학습자에게 전달할 지식을 미리 예습하는 차원에서의 지식 학습 위주의 교육이었다면, 새로운 교사 교육은 상상력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It s not easy to instruct an early child in a way of knowledge-based education. The reason i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al traits of children.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aits of the early childhood s development in terms of intellectuality, emotion, socialization and relig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children can not make out logical or reasoning thoughts because they think in a way of sense perception using intuition in respect of intellectual development. During the early childhood autonomy, leadership and credibility are formed in the emotional development. The emotional stability is decided upon by the image of parents which is taken shape according as their parents endow a consistent affection or not. In the social development, parents are the most important object of relation, but the importance of relation with peer group becomes all the more high. Children shape mutual relations and learn mainly through symbolic plays. During the early childhood, in the religious development children gain the image of God and faith through images that parents give to them. As we look through above I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early childhood is characterized by an emotional and imaginative respect rather than intellectual one. That s why in the period early childhood knowledge-centered education can not be effective. Nonetheless present church education consists largely of knowledge-centered one that is because church school makes a public school education as its basics. Because a public school is originated as an organ to deliver an knowledge, church school also lay emphasis on an knowledge delivery. Hence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ality including emotional, behavioral respect is not accomplished. The early childhood s Christian education is also conducted mainly as a way of knowledge delivery. However, given the Christian education making highly of the whole personality and the traits of children who are short of intellectual development, the early childhood s Christian education should grope for a new educational orientation. Now this treatise makes the early childhood s religious imagination as a counterproposal. Therefore this study has an aim at how to achieve a early childhood s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ality by grouping for the possibilities of the Christian education through religious imaginat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We examined the practical methods of Christian education such as play, art, simulation, story, teaching media, and environment through the religious imagination in the period of children and came to this conclusion. First, play is the fundamental way of human existence, and children can take part in the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through this play. In the Christian education, play is all kinds of fundamental activities concerned with the pleasure coming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God. The happiness from play is just related to the image of the God and can be a grindstone for forming the positive faith. The second, to the illiterate children, teaching method through art can be a important way for them to understand Christian faith through imagination. Children can get the glimpse of the christian faith by seeing and making a work of art. The third, through imagination, the method of simulation is the closest way to re-produc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the most realistic way to feel the circumstances and emotion at that time. With this method, chidlren can take a fun and careful approach to the contents of the Bible and common ethics. The fourth, the imaginative structure of the story catalyze, give out and expand the imagination of children. The storyteller is in need to stir up the interest of children b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art, simulation, and teaching tool. In this case, children can fully understand the story and live up to it. The fifth, teaching tools used for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can give a long and lasting memory by making children experience themselves and using all their senses. Teaching tools have their own image.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whether teaching methods can put an positive impact on children and they are compatible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sixth, the basic circumstances of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are the vital factors to make them have Christian image like the God and church. Therefore, teachers have to provide comfortable and warm physical atmosphere to them and treat them with love and care. The suggestion for the children Christian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ligious imagination is like this. First, it is necessary that the church admits that play is the children s serious and fundamental way and provide them with playful atmosphere. The second, to use artistic way in christian education, we need to expand education time. To guarantee enough education, the linkage of church and household and the extension of children education time are in need. The third, we have to come to the realization that early childhood Christian education is not for the period of raising but the period of education in itself. The fourth, we should choose languages occurred in the process of the Christian education carefully. In the period of early childhood, children enhance its linguistic ability and they build the image of church according as they unconsciously takes religious languages used in the church. The fifth, Christian educator should sublate the tendency of dividing church school into small groups to their age. That is because the Christian education including various age and classes can enlarge the width of imagination by providing diverse experiences. The sixth, Christian educator should consider environment for children as a fist priority than any other places because they are affected seriously by the environment to form their image of christian. The seventh, Christian educator should change an education for teachers of children. The education to stimulate and utilize the religious imagination should replace a teaching skill training for the preparation of the knowledge delivery for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종교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