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에 관한 연구

Title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에 관한 연구
Authors
성기원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Pediatric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illness of childhood malignancy. Due to recent advances in cancer treatment, the survival time for children with cancer has been greatly extended. Nowadays, Pediatric cancer has been changed from fatal illness into chronic illness. Pediatric cancer is a situational crisis which affects entire family members. For most parents, the illness and hospitalization of their children is stressful. The long struggle with cancer resulted in the loss of economic security, los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 being, and social withdrawal. Members of the family experienced fear, helplessness, guilty feelings, anger, and anxiety at the time of the initial diagnosis and at relapse. The Fath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 were giving up treatment because of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l cost, debt, limited medical insurance coverage and blood transfusion.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experiences of father who had children with pediatric cancer. Many studies on the impact of pediatric cancer have been focused on mother as primary caregiver, the study on the fathers whose child is pediatric cancer is ra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nxiety and uncertainty, to analyze child s medical state, the father s social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uncertainty. And this result could suggest the ground which help medical social worker intervene effectively to improve the adjustment level of the fath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 The contents of this study to achieve this goal as follows: 1. to examine the degree of anxiety in fathers of children cancer patients 2.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perceived uncertainty in fathers of children cancer patients 3.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perceived uncertainty and find the predictors which affect this relation. In this study, subjects included 67 fathers of children who are being treated or have been treated for cancer at six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chon-nam.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regression using SPSS10.0/WIN 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the medical state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 medical state and the level of fathers anxiety. 2.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economic status, the monthly accounts of fathers is related negatively to the degree of anxiety in fathers. 3. As social support is higher, the anxiety level of fathers is lower. 4. Perceived Uncertainty in illness and Anxiety are related positively. 5. The health state of the child with cancer and social support are the predictors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ertainty and the anxiety in fathers of pediactric cancer children. In conclusion, the anxiety level of fathers is related to the uncertainty, social support, health state, and monthly accounts. Among the predictors, their perceived uncertainty i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s which affect the anxiety of fathers. Also, social support is the important predictor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certainty and the anxiety. The final findings are as follow. 1. To decrease the degree of perceived uncertainty, medical social worker can help the fathers to understand the illness and the treatment which are experienced by their children. 2. The long struggle with cancer resulted in the economic burden of medical cost which brings about psychological problem. Medical social workers could mobilize economic resources to decrease father s economic burden. 3. Medical social worker can strengthen social support systems and financial support from social organizations. The medical social worker, by providing empathic support, should be a person with whom fathers can express their anxiety and share their experiences. ; 소아암은 아동기 사망원인 중 사고사 다음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지만 오늘날 의학기술의 발달로 암환자의 생존률이 증가하여 치명적인 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의학의 발달로 인해 소아암 환아가 생존할 수 있는 확률을 높였으나 아직 많은 소아암 환아들은 회복 또는 죽음이라는 불확실성 속에서 오랜기간 동안 병과 싸우며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환아의 불확실한 상태는 환아 자신 뿐 아니라 그 가족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데, 소아암 환아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최근이다. 또한 소아암의 영향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환아나 일차적 보호양육자인 환아의 어머니에게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소아암 환아의 아버지는 연구자들의 관심대상에서 종종 제외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 중 불확실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불확실성과 불안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아의 임상적 상태와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 지지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사회복지사들이 아버지들의 불안수준을 낮추고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들의 불안수준을 파악한다. 둘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들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들의 불안과 불확실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6곳의 대학병원과 소아암 환아 부모회를 통해 치료를 받는 중이거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아의 아버지 6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10.0PC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ronbach s α, 기술통계분석, T-test와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 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암 환아의 임상적 상태 중 치료후 건강상태에 따라 아버지의 불안수준에는 차이가 나타나 환아의 치료후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아버지의 불안수준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사회경제적 상태 중 월수입에 따라 아버지의 불안수준에 차이가 나타나 아버지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불안수준이 낮아짐을 보여주었다. 셋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 수록 아버지의 불안정도는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확실성과 불안은 높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불확실성 정도가 높을수록 불안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환아의 치료후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확실성과 불안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아버지의 불안수준은 불확실성, 사회적지지, 환아의 치료후 건강상태, 아버지의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그 중 불확실성이 불안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불확실성과 불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도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과 높은 관계를 가진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하여 의료사회복지사는 아버지들이 자녀들의 질병과 치료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둘째, 소아암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치료비를 부담해야 하므로 경제적 상태가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이러한 아버지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해 자원연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소아암 환아 아버지의 불안을 낮추는데 의미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의료사회복지사는 소아암 환아 아버지 주변의 자원을 동원하거나 상담을 통하여 사회적 지지를 북돋울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