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5 Download: 0

국어과 수준별 교육방법의 적용 연구 : 10학년 시 영역을 중심으로

Title
국어과 수준별 교육방법의 적용 연구 : 10학년 시 영역을 중심으로
Authors
김현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2002학년도부터 10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제 7차 교육과정 중 국어과 수준별 교육방법의 적용에 관한 것으로 시 영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미 일선 학교에서는 수준별 교육방법으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국어과의 수준별 수업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특히 시 영역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내실 있는 수준별 수업을 위해서는 국어과의 하위 영역에 관한 수준별 수업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라는 생각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0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와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시를 중심 제재로 수준별 수업이 가능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고 아울러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수준별 수업 방법을 통해 교수-학습을 실시한 학생들을 실험 집단으로,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교수-학습을 실시한 학생들을 통제 집단으로 구분한 후 교수-학습 전후에 각 집단의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의 조사를 통해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수준별 시 수업에 관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알아봄으로써 수준별 교수-학습의 단점을 보완하고 좀더 효과적인 수준별 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장에서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 방법 및 제한점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II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수준별 교육과정이 도입되게 된 이론적 배경과 제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준별 수업 및 국어과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몇 가지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수준별 교육과정에 관한 논문을 통해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의 연구 방법과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는 대부분 영어와 수학에서 수준별 이동 수업은 의미 있는 학업 성취도의 증가를 가져 온 것으로 보고 있으나 국어에서는 수준별 이동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었다. 국어과 수준별 수업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준별 수업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된 것이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국어과의 시 영역에 대한 수준별 수업 모형과 수준별 수업이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등이 연구 과제로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III장에서는 수준별 시 수업의 실제 모형을 다루었다. 시의 중심 요소를 음악적 측면과 주제적 측면, 기법적 측면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접근하였고 시의 기법적 측면은 다시 화자 및 어조와 비유, 상징, 이미지, 반어, 역설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각 영역은 기본 과정과 보충 과정, 심화 과정의 세 가지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으며, 학습 지도안과 더불어 학생들에게 배부하였던 학생용 학습지, 그리고 학생들이 실제 활동한 자료를 수록하였다. IV장에서는 시 영역의 학업 성취에 대한 수준별 학습 지도의 효과를 학업 성취도 평가지를 통해 측정한 후 그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하였다.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의 효과는 국어 교과와 시에 대한 태도 검사, 학습 태도 검사, 자아 개념 검사로 나누어 사전 사후 태도를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고 결과를 수록하였다. 그 결과 학업 성취도면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효과적임이 나타났으나 정의적 영역에서는 긍정적 결과와 부정적 결과가 함께 나타났다. V장에서는 IV장을 바탕으로 수준별 수업이 학생들에게 보다 바람직하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정의적 영역에 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몇 가지 연구자의 제언을 담았다. 학습자의 수준을 나누고 그 수준에 맞게 시를 교수-학습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시에 접근하는 방법을 모르고 시를 어렵게만 느끼는 학습자들에게 그들의 수준에 맞는 시 수업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수준별 시 수업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에 효과적이라서가 아니라 시를 이해하는 디딤돌을 제시해 주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필요한 것으로 다루어지기를 바란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 논의된 수준별 시 수업의 지도 방향이 다른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고,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수준별 수업의 부정적인 영향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생들이 시를 읽는 기쁨을 느낄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 국어교사로서 연구자의 작은 바램이다. ; This thesis i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is a kind of the 7th curriculum that was taken effect for the 10th grade students as of 2002 and it is focused on the teaching poetry. Most schools in Korea now use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eir education, but there is little study for the teaching Korean language, furthermore, there maybe no study on the poetry. Therefore, I started studying on this theme with the ideas that we should study first about the lower domain of Korean language for the substantial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this thesis, I suggest some models of teaching possible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 with the main theme, Modern poetry , which i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f the 10th grade and textbook of Literature and with that, also suggest the students activity portfolios. And I divided students into two groups, one i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taught by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the other is the controlled group which was taught by the uniform instruction, then search the changes in the degree of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of each group.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various methods of differentiated poetry teaching and search the changed thinking of students, so with this, I expect we ll supplement the weak points of differentiated teaching & learning and find more effective way of differentiated poetry teaching. In the 1st chapter, I suggest a brief explanation about the necessity, purpose, method and restricted point in this study. In the 2nd chapter, I sugge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introduction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with the documents study, and some ways of management possible for applying to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in the 7th curriculum. Also, I have looked out some precedential studies through the theses about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studied so far, and on the basis of this, suggest the studying method and procedure. In the precedential studies, they say there was meaningful increase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ing, but on the other hand, it had not much effect o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There has been little study about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Korean language and the effect of it. Therefore, I think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model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the Korean poetry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the 3rd chapter, I dealt with the real model of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poetry and approached to the main element with dividing it into three parts, musical, thematic, and technical aspects and divided the technical aspect again into the six parts, speaker, accent & metaphor, symbol, image, irony, and paradox. In each domain, I suggest the three teaching plans with the basic, supplemental, in-depth courses and with them, add some students homework and their materials of activity. In the 4th chapter, I measured the effect of the differentiated teaching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poetry with the evaluating document for the degree of achievement and showed the results and analyzed them and also measured the effects of differentiated teaching on the affective domain with the questionnaire dividing it into the three parts, the inspection of the attitude for the Korean language and poetry, learning attitude, concept of self and collected the results. As a result of it, the differentiated teaching has effect on the degree of achievement, but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in the affective domain. In the 5th chapter, I concluded that we need to have concern for the affective domain in order to take effect the differentiated teaching with the desirable way for students. Also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 so far, I add some suggestions. I think it is difficult for many teachers to divide students by their levels and teach poetry to them. However, I also think it is necessary for many students who don t know how to approach poetry and find difficulty in it. I think the differentiated teaching is necessary because it shows the way to understand poetry, not because it is effective for the degree of achievement. With this, I hope the way of teaching discus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he other teachers and to avoid the side effects of the differentiated teaching found in this study. As a Korean language teacher, it is the least thing I hope that students find joy in reading poe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