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진-
dc.creator김희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4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2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4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22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관능검사 방법에 따른 평가원의 식별 능력의 차이와 평점법 내에서 시료들의 위치 및 간격에 따른 식별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가지 관능검사 방법 (삼점 검사, 일-이점 비교 검사, 동-이종 검사, 이점 비교 검사, 전통적 평점법, 순위 평점법)을 비교하기 위해 150 mM과 180 mM NaCl 용액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둔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실험은 두 session으로 나누어서 실시하되, 그 중 한 session에서는 종합적인 차이 검사인 삼점 검사, 일-이점 검사 및 동-이종 검사를 실시하였고 다른 session에서는 특성 차이 검사인 이점 비교 검사, 전통적 평점법, 순위 평점법을 실시하였다. 평가원에게 각각의 관능검사 방법을 사용하게 한 후, 평가원의 수행능력을 d 값을 비교해 본 결과, 차이검사의 d 값이 평점법의 d 값보다 훨씬 크게 나타나 차이가 적어서 혼동하기 쉬운 시료에서 차이 검사가 평점법보다 우수한 식별능력을 가진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다른 차이 검사들과 달리 동-이종 검사는 매우 낮은 d 값을 나타냈다. 평점법에서는 순위 평점법의 d 값이 전통적 평점법의 d 값보다 높아 시료의 차이가 적은 경우에도 순위평점법의 식별능력이 우수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평점법에서 시료의 제시 위치 및 간격에 따른 d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위치가 가까운 간격을 가진 자극 사이의 d 값과 먼 간격의 자극 사이의 d 값에는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시료를 제시한 순서에 따라 약한 자극을 강한 자극보다 먼저 제시한 경우에 강한 자극을 약한 자극보다 먼저 제시한 경우에 d 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시료를 제시한 순서에 식별능력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평점법에서 시료의 위치 및 간격에 따른 평가 점수는 순위 평점법에서 두 시료가 먼 거리에 위치한 경우 점수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순위 평점법에서 시료간의 간격이 가까운 경우보다 먼 경우에 시료의 차이를 더 잘 식별한 것으로 이러한 현상은 context effect의 작용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여진다.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t 6 sensory evaluation methodologies: 2-AFC, triangle test, duo-trio test, same-different test, traditional rating, rank-rating using confusable NaCl solution. It was performed two different sessions. In one session, judges performed triangle test, duo-trio test, same-different test and distracter triangle test. Distracter triangle test was performed to distract judges by including mixture solutions. In the other session, judges performed 2-AFC, traditional rating and rank-rating. These two sessions were performed separately at least a week apart. The order of presentation of sessions, methods and stimulus were randomized yet counterbalanced over judges. Forty eight judges evaluated 150 mM and 180 mM NaCl using 6 sensory evaluation methods and for each method, d value was computed. All the difference tests had a higher d value than rating except same-different test. In this way, difference tests can be said to be more powerful as better discrimination would be obtained with smaller sample size. In rating scale, rank-rating had a higher d value than traditional rating. It means that rank-rating is more powerful than traditional rating. Distance between stimuli compared did not different d value significantly. But value of d for the sequences of stimul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t means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rating scale as well as difference test is affected by the sequence of stimuli.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judges was affected by various sensory evaluation methods because different sensory evaluation methods induce cognitive strategies or processes that vary in their efficien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iv I. 서론 = 1 II. 실험 재료 및 방법 = 7 1. 실험 재료 = 7 2. 실험 방법 = 7 (1) 실험 준비 및 제시 = 8 (2) 관능검사 방법 = 9 1) 삼점 검사 = 9 2) 일-이점 검사 = 9 3) 동-이종 검사 = 10 4) 이점 비교 검사 = 10 5) 순위 평점법 = 10 6) 전통적 평점법 = 11 (3) 실험 절차 = 11 3. 평가원 = 13 4. 자료의 처리 및 통계 분석 = 13 (1) 관능검사 방법에 따른 d 값 = 13 (2) 평점법의 종류 및 시료 제시 순서에 따른 d 값 = 14 (3) 평점법의 종류 및 시료의 제시 순서에 따른 평가 점수 = 14 (4) 평점법의 종류 및 시료의 제시 순서에 따른 오류 = 15 III. 결과 및 고찰 = 16 1. 각 관능검사 방법에 따른 d 값 = 16 2. 평점법의 종류 및 시료 제시 순서에 따른 d 값 = 20 (1) 평점법의 종류 및 제시 순서에 따른 d 값 = 20 (2) 시료간의 위치 및 간격에 따른 d 값 = 21 3. 평점법의 종류 및 시료의 제시 순서에 따른 평가 점수 = 25 (1) 평점법의 종류 및 제시 순서에 따른 평가 점수 = 25 (2) 시료의 위치 및 간격에 따른 평균 점수 = 26 4. 항목척도법의 평가 절차와 시료의 제시 순서에 따른 식별 오류 = 30 IV 요약 및 결론 = 32 참고문헌 = 34 Appendix = 42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99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관능검사방법에 따른 차이 식별력의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