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심리척도에 포함되는 명시적 부정문항과 암묵적 부정문항의 타당도 비교

Title
심리척도에 포함되는 명시적 부정문항과 암묵적 부정문항의 타당도 비교
Authors
김세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검사 혹은 척도에 대한 응답자의 반응 편파를 줄이기 위해 긍정문항과 더불어 부정 문항을 척도에 포함시키는 것과 관련해, 어떤 형태의 부정문항을 포함시키는 것이 원래 척도가 의도하는 요인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반응의 편파성을 제거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연구 1에서는 한국 성역할 검사(KSRI) 중 여성성 문항척도를 사용해서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하지 않는다"와 같은 부정어미를 붙인 명시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일한지, 그리고 의미적 반대말인 암묵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서로 다른지 알아보았다. 연구 2에서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 중 모두 긍정문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문장 어미에 "~하지 않는다"와 같은 부정어미가 붙어 만들어진 명시적 부정문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일한지, 그리고 모두 긍정문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의미적으로 반대말인 암묵적 부정문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서로 다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E여대 대학생 690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우선, 한국 성역할 검사(KSRI)의 일부인 여성성 문항들은 모두 긍정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의 적절한 의미적 반대말 즉, 암묵적 부정을 찾기 위한 예비연구단계에서는 10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긍정문과 명시적 부정이 혼합된 경우와 긍정문과 암묵적 부정이 혼합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 1에서는 34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Rosenberg 자아존중감 문항 중 긍정문과 명시적 부정이 혼합된 경우와 긍정문과 암묵적 부정이 혼합된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연구2에서는 23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1에서는 모두 긍정문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긍정문과 더불어 명시적 부정문이 혼합된 척도에 대한 요인구조를 비교하기 위해서 한국 성역할 검사(KSRI)의 여성성 문항들만을 가지고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명시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명시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일하였다. 또한 모두 긍정문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긍정문에 대한 암묵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에 대한 요인구조를 비교하기 위해서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암묵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암묵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일하지 않았다. 2. 연구 2에서는 모두 긍정문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명시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에 대한 요인구조를 비교하기 위해서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들을 재구성하여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명시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를 만든 후 이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명시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일하게 나왔다. 또한 모두 긍정문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암묵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를 비교하기 위해서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암묵적 부정이 혼합된 척도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암묵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가 동일하지 않았다. 연구1과 연구2에서 나온 결과를 종합해 보면,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명시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는 동일하였다. 이러한 요인구조의 동일성이 암시하는 것은 대학생들이 긍정문항과 명시적 부정문항을 동일한 의미척도에서의 양극적인 분별의미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반면, 모두 긍정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와 암묵적 부정문항이 혼합된 척도의 요인구조는 서로 달랐다. 이러한 요인구조의 이질성이 암시하는 것은 대학생들이 긍정문항과 암묵적 부정문항을 동일한 의미척도에서의 양극적인 분별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별개의 의미 차원으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설문지를 구성할 때 반응 편파를 줄이기 위해서 부정 문항을 포함시키는 경우, 암묵적 부정문항은 척도의 요인구조를 변화시키는 반면, 명시적 부정문항은 척도의 요인구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척도 개발자가 의도하는 대로 척도의 요인구조를 파악하고자 하고, 더불어 반응자들의 반응 편파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긍정문과 더불어 부정문을 혼합하고자 할 때에는 암묵적 부정보다는 명시적 부정의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더 타당함을 시사한다. ; Test developers often include reverse-coded items in psychological scales in order to reduce error variance caused by biased and/or careless responses. Several studies reported that reverse-coded items often resulted in extraneous "Negative" factors against the developer s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ecific type of reverse-coded items that undesirably changes the intended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It was hypothesized that so-called "Implicit negation" items would result in changed factor structure while "Explicit negation" items would not. In study 1, The hypothesis was tested with the Korean Sex Role Inventory(Chung, 1990). Two forms of the feminity subscale of the KSRI were constructed. For the fist form(Form A), A set of explicit negation items were constructed by adding adverb "Not" to the original items and included into the original subscale. For the second form (Form B), A set of implicit negation were constructed by asking 104 college students to write adjective words which were polar-opposite to the original items in meaning and included into the original subscale. The two forms of the modified KSRI were administered to 349 college students. In study 2, The same hypothesis was tested with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Rosenberg, 1965). Two forms of the RSES were constructed. For the first form (Form A), positive worded items and the explicit negation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items. For the second form(Form B), The same positively worded items and the implicit negation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items. The two forms of modified RSES were administered to 237 college students. Almost identical pattern of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factor analyses in the two studies. In both studies, when factor analysis with orthogonal rotation was performed on the from A and B separately, the explicit negation items were loaded on the same factors on which the corresponding positive items were loading, while the implicit negation items were loaded on a separate factor. Result indicated that implicit negation items could change the intended factor structure of a scale when they were added to the scale to fend off the effects of biased responses. Therefore, it is suggested for scale developers to use explicit negation items for reverse-coded it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