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서울시 일부 대학생의 건강 습관과 건강상태의 관련성 연구

Title
서울시 일부 대학생의 건강 습관과 건강상태의 관련성 연구
Authors
옥찬명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건강문제는 만성퇴행성 질환 중심의 질병과 사망 구조로 바뀌게 되었다. 이와 함께 건강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인 환경 및 생활양식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생활양식은 건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크게 부각 되어왔다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건강 위해 행위의 시작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이 증명되면서, 이러한 위해 행위가 가장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조성될 수 있는 청년기, 즉 대학생에게로 관심이 옮겨졌다. 우리나라의 대학생은 대학 입학 후 자유롭게 음주와 흡연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양이 증가하고 있고, 불규칙한 식습관과 취업난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안은 만성질환을 유발 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되고 있다. 이 시기에 성립된 건강습관은 대학생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위치한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습관을 파악하고 건강상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조사 기간 및 기간은 2000년 10월 15일부터 2000년 10월 29일까지 14일간 서울에 소재하는 남녀 공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8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SPSS/PC+ 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성별 분포는 남학생(53.3%)이 여학생(46.7%)보다 많았고, 학년별 분포는 비슷하였다. 연령별 분포는 20-24세가 48.8%로 가장 많았고, 보건교육을 받은 학생(33.3%)에 비해 받지 않은 학생(65.3%)이 많았다. 2. 성별 건강습관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간식(p<0.001), 배변(p<0.001), 걷는 습관(p<0.01), 운동영역(p<0.001)에서 실천률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흡연(p<0.001), 음주(p<0.01)를 하지 않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습관의 차이는 용돈이 적을수록(p<0.001), 종교가 있는 경우(p<0.001)에 건강습관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4. 건강상태는 전체 학생의 75.9%가 건강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건강군에 속하는 승산비가 약 2.79배 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5. 건강습관에 따른 건강상태의 경우, 하루에 한번 규칙적으로 배변을 하는 군이 건강군에 속할 승산비는 약 1.6배 높았으며(p<0.01), 웬만한 거리를 걸어서 다니는 군이 건강군에 속할 승산비는 약 2.0배 높았다(p<0.001). 그리고 저스트레스군이 건강군에 속하는 승산비는 약 3.5배 높았다(p<0.001). 6. 대학생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건강습관 점수가 높은 대학생이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건강군에 속하는 승산비(odds ratio)가 약 3.73배 높았다(p<0.001). 성별로 보았을 때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건강군에 속하는 승산비(odds ratio)가 약 2.61배 높았다(p<0.001). ; These days, the health problem became chronic disease and death. To promote the health, we prevent the health risk behaviors. In particular, Korean university students do the health risk behaviors such as smoking and drinking freely, after they entered the school. The problem is that they do more and more health risk behaviors. And they get stress on the daily school life, because they re totally different environment between the high-school and the university. In this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actices and health statu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are students at university in Seoul Campus. There are 804 students who response for this research, and males are 429 and females are 374.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period of investigation is from October 15. 2000 to October 29. 2000(about 2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are analyzed by SPSS program. Conclusion reach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429 men and 374 female were respondents.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20-24 years group(48.8%). Only 33.3% of students had taken a clas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2 The male student showed better health practices such as not eating between meals(p<0.001), going to the toilet regularly(p<0.001), walking habit(p<0.01), and doing exercise(p<0.001). On the other hands the female student showed better practices such as no smoking and no drinking. 3. The less allowance was, the higher health practices score was(p<0.001). And the students who was any religions were higher health practices scores(p<0.001). 4. The healthy group was 75.9% of the respondents,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by s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5. The healthy group showed better health practices such as going to the toilet regularly(p<0.01), walking practices(p<0.01), and the low stress(p<0.001). And the healthy group get stress more than the unhealthy group, and the differences of them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6. To designate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health statu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don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health practices, and sex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status. The students who get higher health practices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good than lower health practices with 3.73 odds ratio(p<0.001). And health practices had the most influencing on health status. And the odds ratio of good health status was 2.61 for male students(p<0.00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