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1960년 7.29 총선의 전개과정과 성격

Title
1960년 7.29 총선의 전개과정과 성격
Authors
이혜영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글은 4월항쟁기에 치러진 7.29 총선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이승만이 하야하자 허정 과도정부와 4대국회를 중심으로 한 제도정치권은 4월항쟁을 수습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각책임제 개헌과 총선거의 정치 일정을 제시하였다. 이는 4월항쟁의 성격을 이승만 독재에 대한 항거로 한정하고 정권교체를 통해 기존의 지배체제를 온존시키려는 것이었다. 따라서 7.29 총선은 초기 4월항쟁에서 보여진 민중 역량의 한계를 반영함과 동시에 4월항쟁의 일시적 좌절을 의미하였다. 내각책임제 하에서 치러진 7.29 총선에는 4월항쟁으로 확대된 정치지형에 주목하여 진보적 정치세력, 즉 혁신세력이 대거 선거에 출마하였다. 따라서 7.29 총선은 4월항쟁의 정신을 계승하여 수립될 제2공화국의 방향을 둘러싸고 전개된 혁신세력과 보수적 정치세력의 경쟁이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선거전은 민주당 내의 신구파 파벌 대립이 극도로 부각되면서 보수세력 사이의 집권경쟁이라는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민주당의 차기 집권이 확실시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혁신세력이 선거에 대비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지 못했고, 분열된 상태로 선거에 임함으로써 효과적인 선거전을 수행할 수 없었던 것도 한 원인이었다. 한편 7.29 총선에는 허정 과도정부의 미흡한 인적 청산에 의한 자유당계가 다수 입후보하여 4월항쟁의 혁명성을 감소시켰다. 이들 자유당 세력은 민주당 내의 파벌 대립을 이용하여 정치생명의 연장을 도모하려 하였지만, 이는 곧 유권자의 광범위한 저항을 불러일으켰다. 7.29 총선에서 각 정당은 4월항쟁의 영향으로 매우 진보적인 선거 공약을 제시하였다. 민주사회주의와 보혁구도를 기치로 내건 혁신정당들 뿐만 아니라 스스로 정통 보수를 자처하던 민주당이나 자유당 역시 경제나 통일 분야에서 과거에 비해 진일보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실제 4월항쟁의 완수나 구체적인 경제정책에서 보수정치세력과 혁신세력은 근본적인 차이를 보였다. 통일분야 역시 공약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선거운동 과정에서 개인 자격으로 표출된 다양한 의견들은 양자간의 차이를 명확히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보수정치세력의 선거 전략에 의해, 그리고 한국의 이념지형을 제한하는 분단구조로 인해 상당부분 희석되거나 왜곡되었고, 결국 7.29 총선은 정책 선거로 진행되지 못했다. 7.29 총선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예상과 달리 평온한 편이었다. 그러나 과거와 같은 노골적인 관권의 개입은 없었으나, 정책을 중심으로 한 선거 경쟁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금력이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리고 과거 반독재투쟁에 대한 보상이나 로컬리즘 , 준봉투표 경향과 사표방지 심리 등이 유권자의 투표 경향을 지배하였다. 또한 혁신세력에게 가해진 용공성 시비와 자유당계의 출마에 항의하는 반혁명분자 출마저지투쟁 은 7.29 총선의 진행 과정에서 드러난 두드러진 모습들이었다. 7.29 총선은 민주당의 승리로 끝났다. 민주당은 소선거구제와 단순다수대표제의 제도적 이점에 힘입어 득표율 이상의 당선률을 보이며 5대국회를 독점하였다. 그러나 민주당은 곧이어 민주당과 신민당이라는 양대 정당으로 분열함으로써 제2공화국의 정치 안정 확보에 실패하였다. 한편 혁신세력은 미미한 득표율과 당선률로 선거에서 참패하였다. 혁신세력 패배의 원인은 혁신세력이 분단체제에 기초한 강한 반공이데올로기와 금권이나 봉건적 연고관계 등에 의해 좌우되는 유권자의 낮은 정치의식, 내부적인 문제점들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신세력은 총선 참패 이후 이를 거울 삼아 노선과 조직을 새로이 정비하여 부문운동과 통일운동에 주력하였다. 이로써 4월항쟁은 초기의 반독재민주화투쟁에서 자주민주통일의 사회변혁운동으로 고양 발전하였다. ;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upholding process of 7. 29 General Election in 1960 executed around the period of April Revolution. After resigning a presidential post of Syng-man Rhee, the interim government by Huh Jung and the 4th National Assembly initiat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and general election as an expedient to save the situation of April Revolution. The character of Revolution on April is defined as a resistance against dictatorial government of Syng-man Rhee and an existing rule system is preserved through the change of regime. This meant a limit of mass struggle and a passing frustration as well. The general election of 7.29 executed under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was expanded its political scope definitely by Revolution on April, and it was performed with a conservative & progressive systems by participating the progressive political group which attempted to go into politics. However, the actual election was taken on a complicated aspect due to the candidacy of Liberals, the separation of a new & old Democrats and the progressive political group caused by an inadequate personal cuts of interim government by Huh Jung. Especially, the individual election campaign for exclusive power by a new & old democrats being gained power strongly caused a competition in power between factions. In 7.29 general election, a lot of progressive election promises were initiated by each party due to the Revolution on April. The progressive parties under the slogan of democratic socialism, conservative & progressive principle and the Democrats & the Liberals insisted on an legitimate conservatism as well showed somewhat progressive in the field of economy and unification compared with the past. Thus the difference of premise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rty in 7.29 election didn t show much. However, it meant an approach of election strategy by conservative party, and also in the economic and the April Revolution respect, the basic difference showed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arty. Even though the premises in unification sphere didn t show, lots of different opinions suggested in ones private capacity during election campaign showed the difference clearly. Differently from the past, there was no any visible government intervention in 7.29 general election but the election affected by money wa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n t fair competition of policy-oriented. In addition, the election was affected by the compensation against anti-despotism, localism, tendency of an obeyed vote and a dead vote psychology. And the highlighted features during 7.25 general election were an argument of pro-communism to progressive group and "the hindrance struggle of candidacy of anti-revolutionist" protesting against the candidacy of the Liberals, etc. The general election of 7.29 ended in victory for the Democrats. The Democratic Party came in power of 5th National Assembly showing the ratio of winning numbers more than voting ratio by pledging a single-member electorate system and a majority representation system. However, the Democrats failed to secure a stable government of the 2nd Republic caused by the division of 2 parties named the Democrats and the New Democrats sequently. On the contrary, the progressive party was completely defeated due to the strong anti-communist ideology and an internal limit based on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 progressive party went ahead toward the social change movement of independent democratic unification by instituting a new line and system in light of the failure of general el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