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임신중기 모체 혈청지표와 임신예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Title
임신중기 모체 혈청지표와 임신예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Authors
한지은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임신 제태연령 14-20주사이에 태아의 염색체 이상 및 신경관 결손아 발견의 선별검사로 모체 혈청내 알파-태아단백,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 에스트리올치의 측정으로 구성된 Triple marker 검사에서 알파-태아단백치는 이분척추에 대하여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가 각각 91%와 96%로 비교적 높으나 양성 예측도는 1.9%로 비교적 낮다. 그리고, 다운 증후군에 대한 양성 예측도는 4.3%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Triple marker 검사에서 태아의 구조적 또는 염색체적 이상이 없이 위양성인 경우 원인이 설명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알파-태아단백,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 비포합 에스트리올치가 태아의 구조적 또는 염색체적 이상이 없이 비정상 결과를 보이는 경우 임신예후의 예측인자로서 가치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이화여자 대학교 동대문 병원 산부인과 외래에서 Triple marker 검사를 시행 받고 본원에서 분만한 2309명을 대상으로 혈청지표의 각각에 대하여 비정상 결과를 보이는 경우를 연구군으로 정하여 정상 대조군과 임신예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Triple marker 검사를 시행받은 2309명 중, 알파-태아단백치와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치가 2.0 MoM이상인 산모가 각각 55명(2.38%) 및 104명(4.50%), 비포합 에스트리올치가 0.5 MoM이하인 산모는 116명(5.02%)이었다. 2. 알파-태아단백치가 2.0 MoM이상인 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산, 자궁내 발육지연, 양수 과소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치가 2.0 MoM이상인 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조산, 자궁내 발육지연,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는 7.7%로 대조군에서의 3.7%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1). 비포합 에스트리올치가 0.5 MoM이하인 군은 임신예후에 대하여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혈청지표의 증가정도에 따른 임신 합병증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알파-태아단백치가 2.0-4.0 MoM인 군에 비해 4.0 MoM이상인 군에서 조산과 자궁내 발육지연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 05),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치가 2.0-4.0 MoM인 군에 비해 4.0 MoM이상인 군에서 조산과 자궁내 발육지연, 자궁내 태아사망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알파-태아단백과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은 조산, 자궁내 발육지연, 자궁내 태아사망, 양수과소증등의 임신예후에 대한 예측인자로서 임신중기 모체 혈청에서 알파-태아단백과 융모성 성선 자극호르몬치가 증가한 경우에는 관련된 임신 합병증의 가능성에 대한 설명과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관련된 임신 합병증의 조기 증상 및 징후, 체중변화, 자궁저 높이의 증가, 혈압등을 규칙적으로 주의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필요에 따라서, 복부 초음파검사 및 생태학적 계수측정을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정돤 증례를 대상으로 임신 예후에 대한 후향적 연구이므로, 더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임신 합병증과의 관계뿐 아니라 이에 따른 적절한 산전관리 방향을 포함한 전향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 Triple marker test is a screening test for congenital anomaly performed on all pregnant women between 14-20 weeks of gestation, which detects about 60% of Down syndrome and 80-85% of neural tube defect. Alpha-fetoprotein (AFP) of triple marker has relatively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91% and 96% for spina bifida, respectively, but low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only 1.9%. Also, triple marker has low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4.3% for Down syndrome. Therefore, the cause of abnormal results of triple marker cannot be explained most of the time.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309 women who underwent triple marker test during antenatal care at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oon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9. We compared the pregnancy outcome between the wemen with normal and the wemen with abnormal serum mark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AFP was higher than 2.0 MoM in 55 women, level of human choriogonadotropin (hCG) was higher than 2.0 MoM in 104 women, and level of unconjugated estradiol was less than 0.5 MoM in 116 women among 2.309 women. 2. Group with AFP higher than 2.0 MoM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reterm delivery, intrauterine fetal growth retardation, and oligohydramnios compared to control group (p<0.05). Group with hCG higher than 2.0 MoM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preterm delivery, intrauterine fetal growth retardation, intrauterine fetal death (p<0.05) and also had slightly higher rate of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Group with unconjugated etradiol less than 0.5 Mo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gnosis of pregnancy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3.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pregnancy complication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crement of serum index showed that the group with AFP 2.0-4.0 Mo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rate of preterm delivery and intrauterine fetal growth retardation (p<0.05). Group with hCG higher than 4.0 Mo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rate of preterm delivery, intrauterine fetral growth retardation, and intrauterine fetal death compared to the group with hCG 2.0-4.0 MoM (p<0.05). In conclusion, AFP and hCG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pregnancy ourcomes such as preterm delivery, intrauterine fetal growth retardation,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oligohydramnios. When AFP and hCG are increased during midtrimester, warning of the possible associated complications and close observation are necessary. It would be important to check for early signs and symptoms of these associated complications, change of body weight, increase of fundal height, and blood pressure regularly. Trans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biophysical profile should be performed, if necessary. This study was designed retrospectively on the limited number of cases. A large, prospective study on the midtrimester maternal serum marker and the association of pregnancy outcomes and moreover its antenatal management strategy is warra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