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Vocational education reforms : inter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 on Korean vocational education

Title
Vocational education reforms : inter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 on Korean vocational education
Authors
백미화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 직업 교육은 학생들이 특정 직업에 필요한 기능만을 습득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러나 기술 발달과 경쟁으로 급하게 변해가는 현대경제에 맞서 세계 각 국가들은 이러한 경직된 직업교육을 재고하고, 다양한 개혁 정책을 모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적응해가는 노동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가 마다 사회, 경제 구조가 다르므로 그 정책이 다양하겠으나 최근 직업교육의 개혁 방향은 몇 가지 공통된 추세를 보인다. 첫째, 교과 과정이 직업교육과 인문교육 내용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둘째, 고용주들이 직업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가, 교육 행정과 들과 협의된 의사 결정을 내리도록 하고 있으며, 셋째, 학교 중심 학습(school-based learning)보다는 일 중심 학습(work-based learn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넷째 고용에 필요한 자격 기준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통된 경향들을 이론적인 접근과 국가별 직업교육 개혁 정책 소개를 통해 증명하려 하였다. 특히 OECD 국가들 중 서독, 일본, 미국, 영국, 호주, 스위스의 직업 교육 정책을 예시 하였는데, 이들 국가는 15세에서 24세에 해당하는 노동 인력의 실업률이 낮고, 비교적 효율적인 직업 교육 제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들의 정책은 국제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최근 OECD에 가입한 한국의 직업 교육 개혁 정책에도 많은 시사점을 가질 것이다. 결론으로는, 위 네 가지 공통된 추세 중 직업 교육 과정과 인문 교육과정이 통합되는 경향이 나머지 세 경향__직업교육에 고용주 적극 참여, 일 중심 교육, 자격제도 확립__을 생기게 한 가장 근본적인 동기가 되며, 역으로 이 세가지 정책을 바탕으로 통합 정책이 더 강화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직업 교육과 인문 교육 통합 정책은 특히 한국의 직업 교육에서 첫째, 직업 고교 졸업자들에게 상위 교육 기관에 진학할 기회를 주고, 둘째, 대학 진학에 실패한 인문 고교 졸업자들에게 다양한 직업 능력을 갖추도록 하기위한 방안에 효율적임을 시사하였다. ; In order to properly cope with the current economy which demands widely adaptive skills and guarantees employment to the only equipped workers with this ability, most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recently undertaken reforms in vocational education. Since every country has its own unique set of social structures, reform trials in vocational education policies take different shape in each context. In spite of the differences, recent policies in many industrialized countries share several similar changes and are converging on four trends: 1. New curricula begin to integrate vocational and academic studies; 2. Employers actively participate in vocational education and coordinate decision making with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3. Work-based learning is more focused than school-based learning; and 4. Qualification standards for employment are nationally set. In this thesis, these four trends are demonstrated by showing theoretical qualitative and empirical evidences. In particular, for empirical evidence, the vocational education reforms and policies of OECD countries- especially Germany, Japan, the U.S, the U.K. Australia, Switzerland, Denmark, and Netherlands- are introduced in terms of their secondary and post-secondary education. In these countries, since they are showing relatively low un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from age 15 to age 24 and making smooth transitions to employment, the core reform trends commonly found in their vocational education could be the role model in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the efforts to provide reliable cross-national trends within the boundary of OECD countries will constructively enhance discussions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system of Korea, which recently received the status of member country in OECD. This thesis concludes that among four current trends, integration of academic and vocational education is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 which includes three other trends. That is,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pursuing similar reform pattern; overcoming traditional distinctions between vocational and academic curricula, and integrating them based on coordinated decision-making system, work-based learning, and the efficient skill standards(e.g. certification system). A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 vocational education, it is argued that integration policy can be applied for two purposed: firstly, to help vocational school graduates continue their studies in higher education level; secondly to provide workplace options for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who cannot advance to higher education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