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번짐과 붓의운용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Title
번짐과 붓의운용에 의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Authors
김정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작품이란 감각과 상상력을 통한 우리의 지각에 의해 창조되는 표현적 형식이며, 그것이 표현하는 내용은 인간의 감정과 정서이다. 예술은 자기 자신의 삶을 그대로 표현하고 나타내는 것이어서 각자 자신의 내부에 지각되어진 삶이 창작활동을 표현하는 이야기가 된다. 예술작품의 내용은 그 예술작품을 창조한 예술가가 느낀 것에 대한 관념이기 때문에 상상적이고 주관적인 내용이다. 예술가가 느낀 것에 대한 관념은 그 예술가가 속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인간은 여러 감각을 통하여 외부세계를 받아들이게 되고 이러한 감각들은 여러 단계를 거쳐 구조적인 방법으로 부호화되어 저장되고 외부세계로 표현되는 인출의 과정을 경험한다. 인간의 마음속에는 그 사람이 살아온 기억과 생각, 체험한 것들을 모두 내면속에 담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마음속에는 자신이 경험한 삶의 소산이 고스란히 내재되어 있다. 20세기에서 21세기로 넘어 가면서 특히 강조되어지고 있는 것이 기계적이고 사이버적이며 컴퓨터와 같은 인간 감정의 흔적을 느낄 수 없게 하는 많은 것들이 나타나고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살아가면서 본인은 사람의 감정과 정서가 표현되고 손맛이 느껴지는, 기계가 가지지 못하는 인간의 감정을 직접 표현하여 내면의 이미지들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본인은 자유스럽고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삶의 체험들을 먹의 번짐과 붓의 운용에 따라 나타내고자 하였다. 어떤 작품이든지 그 작품의 배후에 감정이 없으면 감동을 주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겠으나, 본인은 동양회화에서 보여지는 수묵의 정신성과 거기에 따른 먹의 번짐, 또 동양화에서 가장 전통적인 먹이라는 재료를 통해서 먹이 지니는 우연성에 의한 추상성과 붓에 의한 표현을 통하여 섬유와의 만남이 이루어내는 조화미를 창출하여 그것을 패턴화로 응용하여 창의적이고 고부가 가치가 높은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첫째, 동양화에 나타난 정신성과 그에 따른 수묵화의 추상성을 연구하였으며, 둘째, 본인 작업의 주재료인 먹에 대한 전반적인 의미와 빛깔, 먹을 표현하기 위한 붓의 운용, 그리고 먹의 추상성과 표현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셋째, 동양화 구도의 특정에 대한 고찰과 구도에서 보여지는 특징들을 샘플작업하여 실제 본인의 작업에 응용하여 패턴화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인의 내면에 있는 기억들을 중심으로 한 심상세계를 통하여 작품을 표현하였으며 본인의 과거속에 묻어두었던 기억들을 끄집어내어 그것을 시각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면세계의 표현을 통하여 창조되어진 새로움을 불규칙적이면서도 자유스럽게 표현하였으며, 서구의 문물이 끊임없이 도래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동양회화의 정신을 디자인 개념에 적용시켜 대상의 외면보다 그 내면의 정신성을 높이 사고, 그 속에 담긴 영원성과 영원성에 대한 지향과 동경을 디자인의 기획에 적용시켜 고차원적이며, 독창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수작업(Hand Drawing)을 통한 패턴디자인을 창출해내고자 노력하였으며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하게 연구되어져야겠다. 둘째, 자연염료로도 쓰이는 먹을 주요 재료로 하여 단순한 검은빛이 아닌 심오하고 깊은 먹의 다양한 색을 나타내어서 먹물이 화선지에서 뿐만 아니라, 천과도 조화를 이루어 하나로 융합되면서 독특한 패턴을 만들어 내었으며 거기에 따른 먹빛의 색깔과 붓의 힘과 속도에 따라 천에 스며드는 미묘한 특성을 표현하여 한국인의 정서에 맞고 단순하면서도 깊이 있으며 소박하면서도 격조 있는 먹의 정신성을 패턴디자인에 응용하여 먹의 다양한 색과 붓의 운용을 이용한 디자인 개발을 하였으며 염료에 있어 환경친화적인 해석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동양화 구도에서 보여지는 독특한 공간의 활용을 패턴이 가지는 규칙성에서 벗어나서 시각적으로 숨을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으며 구도에서 느껴지는 여백을 잘 활용하여 패턴에 적용시켜 이러한 동양화 구도를 응용한 패턴개발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가 21세기에 하나의 독특하고 손으로 직접 그려서 일품성이 강하고, 고부가 가치의 패턴연구의 개발에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길 바란다. ; Artistic works are expressional forms created by our perception through senses and imaginations, which express human-beings feeling and emotion. Art expresses oneself s lives as itself, so the lives percepted by the inside of oneself become stories of the expression. Contents of artistic works are imaginary and subjective because they are the conception about the artists feeling. The conceptions are formed in the times and spaces that the artists belong to. Men recognize the outside world with various senses and have processes of expression to the outside world again in the various methods. In the mind are there memories, thoughts, and experiences that he or she has been have. Fruits of lives like those indwell in the mind. As it goes to the era of new millenium, it is hard to find the traces of the emotion of human-beings by the trends of mechanization and digitalization. As I also live in the trends, I intend to present the inside images by expressing men s feeling directly that the machines are not able to have and which can be felt the tastes of hand-drawing and sentiment and emotion of human-beings. I intend to express freely the experience of the lives by running of India-ink and handling of brushes. I think that any works can never give any impression without the feeling lying behind those. In the many ways to present the inside world, using the running of India-ink which has the spirit of India-ink paintings seen in the oriental paintings, abstractness by an accidence and the handling of brushes I create the beauty of tensive harmony caused by collision between textiles and India-ink. and apply to develop very creative and high value added textile pattern desig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I first study the abstractness of the India-ink paintings by the spirit appearing in the oriental paintings. Second, search general meaning and hue of the India-ink, a major material of the works of myself, and abstractness and expressivity of the India-ink. Third, look into a special feature of composition in the oriental paintings, do sampling the feature of composition and apply to my works with the samp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o have intended to express works with the mental images in the main of myself s memories and visualize those memories withdrawn from the past. I expressed freely and irregularly newness created by reflecting the inside and valued the spirit of oriental paintings and worked to make the pattern design by appling to the concept of design with the spirit. Second, to have made a harmonious and unique pattern which is harmonized India-ink and with not only Chinese drawing paper but also textile to show not the simple black but the various and profound hue of India-ink. And to have expressed a delicate characteristics by which India-ink soaks into textiles according to the hue of India-ink and the power and speed of handling of brushes and developed a design used the hue of India-ink and the handling of brushes. I think the study about this has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Third, to have expressed to apply pattern using intended unfilled spaces from the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s as the one for visual breathing because patterns regularities. The pattern with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s is also believed to be more studied variously in the future. I hope this result of the study give a little help in the new millenium to research and develop a pattern which is distinctive, one-and-only and high value added 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