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89 Download: 0

산욕초기 초산모의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가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itle
산욕초기 초산모의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가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uthors
이영은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roblem addressed by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nurse-patient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of primiparous mothers.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xperimental treatment would result in higher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is purpose wa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nursing care to enhanc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to the development of relevant nursing theory. Especially,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s crucial toward in recovery from childbirth and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Maternal role attainment is a complex social and cognitive process of stimulus-response accomplished by learning. Most women attain the maternal role successfully. But, some primiparous mot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due to lack of experience and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attainment and adjustment to the maternal role(Mercer, 1981a, 1981b; Lederman, Weigarten, and Lederman, 1981; Bobak and Jensen, 1985). Nursing is defined as behaviors of nurses and patients that attain nursing goals through action, reaction, interacton, and transaction. For attainment of nursing goals, active participating transactions must occur by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those goals through nurse-patient mutual goal setting and establishment of their active relationships (King, 1981, ha, 1977). Based on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1981), this study was plan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early postpartum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 to Sep. 1, 1991 by questionnaires with 60 primiparous mothers planing to breast feed after normal deliveries at W hospital in Pusan,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conventional group)-those admitted from July 20 to Aug. 12, and an experimental group (agreement group)- those admitted from Aug. 13 to Sep. 1. The instrument for agreement on the means to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ncluded five steps-identification of disturbances or problems through action, reaction, and interaction with primiparous mothers; mutual early postpartal nursing goal setting; exploration of the means to achieve goals; agreement on the means (self-care, early maternal-infant contact, performance of mothering behavior, and communicating about the infant’s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implementation of the means. This instrumen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ing’s elements that lead to transactions in nurse-patient interactions. Lederman et al’s(1981) scale for confidence in ability to cope with tasks of motherhood and Lederman et al’s(1981) scale for Mother’s satisfaction with motherhood and infant care were used to measur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with the subjects immediately after admission and on the day of discharge. Self-care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asured by self-evaluation tool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from the literature concerned. The tools to measur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the tool to measure self-evaluation of self-care performance were tested for internal reliability. Cronbach’s Alphas were 0.94, 0.94, and 0.63. The data were analysed by suing in S.P.S.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x2-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total subjects group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above average with a mean score of 2.77(range 2.14-3.64). Out of 14 items, those with relatively high mean scores were ‘I would like to be a better mother than I am’ (3.95), and ‘I have my doubts about whether I am a good mother’ (2.87). those with low mean scores were ‘I know that my baby wants most of the times’ (2.28), ‘When the baby cries, I can tell what she/he wants’ (2.37), and ‘I have confidence in my ability to care for the baby’ (2.50). that is, the self-confidence of primiparous mothers was considerably high in mothering, but rather low in activities concerning the infant care and understanding of the infant behavi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total subjects group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high with a mean score of 3.18 (range 1.92-3.92). Out of 13 items, those with relatively high mean scores were ‘I am glad I had this baby now’ (3.75), ‘I play with the baby between feedings when s/he is awake and quiet’ (3.67), and ‘I enjoy being a mother’ (3.27). Those with low mean scores were ‘I am upset about having too many responsibilities as a mother’ (2.78), ‘It bothers me to get up for the baby at night’ (2.82), and ‘I get annoyed if the baby frequently interrupts my activities’ (2.82). That is, the satisfaction of primiparous mothers was considerably high in mothering and infant care, but rather low in restraints in time or on the mother’s self accomplishment and development. 2.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ncluded process of mutual goal setting, exploration of the means to achieve goals, and agreement in concret means to achieve goals based on the mothers’ condition, concerns, and self-perception of the nurse-patient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agreement, there was agreement that the means to achieve goals should be through trust and establishment of active relationships with the nurse through identification of problems according to planned nursing goals and active interaction, such as explanations, teaching, changing of opinions, acceptance or rejection of explanations, and proposing of questions. Therefore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nursing goal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appears to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imiparous mothers. 3.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3.95, p<0.01). Out of 14 items, those with higher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 would like to be a better mother than I am’ (t=1.93, p<0.05), ‘I know that my baby wants most of the times’ (t=2.75, p<0.01), ‘When the baby cries, I can tell what she/he wants’ (t=2.10, p<0.05), ‘I have confidence in my ability to care for the baby’ (t=3.72, p<0.01), ‘I trust my own judgement in deciding how to care for the baby’ (t=1.96, p<0.05), ‘I feel that I know my baby and what to do for him/her’ (t=2.44, p<0.01), ‘I am concerned about being able to meet the baby’s needs’ (t=2.87, p<0.01), ‘I know what my baby likes and dislikes’ (t=3.26, p<0.01), ‘I don’t know to care for the baby as well as I should’ (t=2.07, p<0.05), and ‘I am unsure about whether I give enough attention to the baby’ (t=3.04, p<0.01). That is,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othering, activities concerning infant care, and understanding of infant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3.95, p<0.01). 4.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rimental group was hi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2.31, p<0.05). Out of 13 items, those with higher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 am glad I had this baby now’ (t=2.29, p<0.05), ‘I enjoy taking care of the baby’ (t=2.49, p<0.01), ‘It is boring for me to care for the baby and do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t=2.87, p,0.01), ‘I am unhappy with the amount of time I have for activities other than childcare’ (t=2.51, p<0.01), and ‘When bathing and diapering the baby, I would like to be doing something else’ (t=2.43, p<0.01). That is,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othering, infant care, and restratints in time or on the mother’s self accomplishment and develop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2.31, p<0.05). 5.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materenal role performance,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confidence in materenal role perform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ported (r=0.57, p<0.01). ; 산욕초기 초산모의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가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는, 초산모의 자기간호능력 증진을 통한 신체생리적 회복과 모아의 접촉 및 양육행동의 경험 등 어머니 역할획득을 통한 어머니 역할적응을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산욕초기 1-2일 간은 의존적이고 소극적인 시기로서 초산모는 건강회복을 위해 적절한 안정과 휴식을 필요로 하며 자기간호능력을 증진하고 영아를 하나의 개체로 수용하여 어머니 역할을 성공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그런데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는 어머니 역할획득 및 적응에 있어 중요한 요인된다(Lederman, Weigarten, and Lederman, 1981; Mercer, 1981a, 1981b; Bobak, Jensen, 1985) 한편 King(1981), 하(1977)는 간호란 간호사와 환자가 구체적인 간호상황에서 행위(작용), 반응(반작용), 상호작용, 전환작용을 통해 간호목표를 달성하는 일련의 행위이며, 간호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서는, 간호사와 환자가 달성해야 할 목표를 상호설정하여 적극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목표달성방법에 합의하므로써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전환작용이 뒤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King(1981)의 목표달성이론을 이론적 틀로 하여, 전환작용 시작기점으로서의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로 실험처치한 비동질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실험으로 설계되었다. 자료수집은 1991년 7월 20일부터 동년 9월 1일까지 P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서 정상(질식)분만하여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 하기로 동의한 초산모 60명을 대상으로, 7월 20일부터 8월 12일까지 분만한 초산모 30명은 산욕초기 통상적 간호수혜 초산모군(통상군)에, 8월 13일부터 9월 1일까지 분만한 초산모 30명은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 초산모군(합의군)에 각각 임의할당하였으며, 합의군에게는 King(1981)의 전환작용으로 이끄는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요소들에 기초하여 5가지 단계(초산모와의 행위, 반응, 상호작용을 통한 장애 또는 문제의 사정; 산욕초기 간호목표의 상호설정; 목표달성을 위한 방법의 모색; 목표달성을 위한 방법(자기간호, 분만직후 모아접촉, 양육행동의 수행, 영아에 대한 정보교환)의 합의; 방법의 수행)를 포함하여 작성한 전환작용 시작기점으로서의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도구로 실험처치하였으며, 또한 합의군과 통상군 각각 모두에게는 Lederman, Weigarten, 그리고 Lederman(1981)의 모성기 발달과업 대처능력에 대한 자신감 측정도구(이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측정도구)와 모성기 및 영아 양육에 대한 만족도 측정도구(이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실험처치 전(분만초기 증상으로 입원한 후)과 실험처치 후(퇴원일:산후 2-3일)에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 및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단 합의군의 자기간호수행 정도는 연구자가 관련문헌을 참조로 하여 작성한 자기간호수행 자가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합의군과 통상군의 일반적 배경 및 실험처치 전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 및 만족도의 차이를 검정해 본 결과,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군은 동질집단으로 규명되었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전산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합의군과 통상군간의 일반적 배경, 실험처치 전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 및 만족도의 동질성 검정을 위하여서는 x²-test, 양측성 t-test, 일원변량 분산분석, 제 1, 2가설 검정을 위해서는 편측성 t-test, 제3가설 및 자기간호 수행정도와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서는 Pearson 상관계수를 각각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내적 신뢰도 검정을 위해서는 Cronbach’s Alpha값을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 초산모의 실험처치 전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았다(평균 2.77점, 2.14~3.64의 범위, 최소 1점에서 최고 4점까지 Likert식 평정척도), 문항별로 보면, ‘지금보다 더 좋은 엄마가 될 수 있다’(평균 3.95점), ‘내가 좋은 엄마인지 아닌지에 관해 의심스럽다’(평균 2.87점) 등 어머니로서의 자질이나 마음가짐 등 정서적 측면에서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신감은 상당히 높은 반면, ‘대부분의 경우에 아기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안다’(평균 2.28점), ‘아기가 울면 나는 아기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안다’(평균 2.37점) 등 영아의 욕구파악이나 행동에 대한 이해, 그리고 ‘아기를 돌보는 능력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평균 2.50점), ‘나는 아기에 관해 옳은 결정을 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평균 2.50점) 등 영아 양육능력 및 판단력에 대한 자신감 등 실제적 혹은 기계적 양육행동에 대한 자신감은 낮았다. 한편 연구대상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는 상당히 높았다(평균 3.18점, 1.92~3.92의 범위), 문항별로 보면, 나는 지금 이 아기를 가진 것이 기쁘다’(평균 3.75점), ‘어머니가 된 것 자체가 즐겁다’(평균 3.27점) 등 어머니가 된 사실과, ‘아기에게 우유나 젖을 주고난 다음 아기가 깨어있고 조용하면 같이 놀아준다’(평균 3.67점), ‘아기를 돌보는 것과 같이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이 싫증난다’(평균 3.27점), ‘아기를 돌보는 것이 즐겁다’(평균 3.23점), ‘아기 돌보는 것보다 다른 일에 보내는 시간이 적어 괴롭다’(평균 3.22점) 등 영아 양육에 대한 만족도는 상당히 높았으나, ‘어머니로서 너무 많은 책임을 갖게된 것이 당황스럽다’(평균 2.78점), ‘아기가 나의 일을 자주 방해하면 짜증이 난다’(평균 2.82점), ‘밤에 아기 때문에 깨는 것이 괴롭다’(평균 2.82점) 등 어머니로서의 책임을 갖게 된 것과 영아에 인한 수면부족 및 어머니 자신의 자아성취를 저해하는데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2.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의 합의는 초산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태, 관심사, 자기지각 등에 대한 사정에 근거하여 산욕초기 간호목표를 상호설정하고,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합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합의과정에서 계획된 산욕초기 간호목표와 관련하여 어떠한 것이 장애 또는 부정, 질문제기, 부정적 자기지각 또는 역할인식의 교정 등 진지하고도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목표를 상호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해 실제로 수행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고, 간호사에 대한 신뢰 및 적극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방법의 합의가 가능하였다. 따라서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는 산욕초기 초산모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증재로 활용될 수 있다. 3. 합의군은 통상군에 비해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가 더 높았다(t=3.95, p<0.01). 각 문항 별로 보면 ‘지금보다 더 좋은 엄마가 될 수 있다’(t=1.93, p<0.05)와 같이 어머니로서의 자질에 대한 것과, ‘나의 아기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알고 있다’(t=3.26, p<0.01), ‘대부분의 경우에 아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고 있다’(t=2.75, p<0.01), ‘아기가 울면 나는 무엇을 원하는지를 안다’(t=2.10, p<0.05), ‘나는 아기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t=2.87, p<0.01)등 영아의 욕구파악이나 행동에 대한 이해, 그리고 ‘아기를 위해 무엇을 해주어야 하는지를 알고 있다’(t=2.44, p<0.01), ‘아기를 돌보는 능력에 자신감을 갖고 있다’(t=3.72, p<0.01), ‘아기를 돌보는 방법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판단력이 있다’(t=1.96, p<0.05), ‘아기를 돌보는 일에 대해 마땅히 해야할 것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t=2.07, p<0.05), ‘아기에 대해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지 확신이 안선다’(t=3.04, p<0.01) 등 영아양육 능력 및 판단력 등 정서적 측면에서의 양육행동과 실제적 혹은 기계적 측면에서의 양육행동에 대한 자신감이 더 높았다. 따라서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에 합의 초산모군은 산욕초기 통상적 간호수혜 초산모군에 비해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 4. 합의군은 통상군에 비해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t=2.31, p<0.05). 문항 별로 보면 ‘어머니가 된 것 자체가 즐겁다’(t=2.29, p<0.05)와 같이 어머니가 된 사실과, ‘아기를 돌보는 것이 즐겁다’(t=2.49, p<0.01), ‘아기를 돌보는 것과 같이 똑같은 일을 반복하는 것이 싫증난다’ (t=2.87, p<0.01), ‘아기 돌보는 것보다 다른 일에 보내는 시간이 적어 괴롭다’ (t=2.51, p<0.01), ‘아기목욕이나 기저귀를 갈아주는 것보다 그외 다른 일에 시간을 보내고 싶다’ (t=2.43, p<0.01) 등 어머니 자신의 일이나 기타 다른 일을 하는 것보다 영아를 양육하는데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따라서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 초산모군은 통상적 산욕초기 간호 초산모군에 비해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5. 합의군에 있어서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는 높았고, 또한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순상관관계(r=0.57, p<0.001)를 보였다. 따라서 “산욕초기 간호목표달성방법 합의군에 있어서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결론을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합의군이 경험한 산욕초기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가 산욕후기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