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한국산 유낭류 (Ascophora)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Title
한국산 유낭류 (Ascophora)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uthors
서지은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생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1. 한국산 유낭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65년부터 1986년까지 남한의 삼면 연안과 여러 도서지방 38개 지역에서 채집된 재료를 사용하였다. 2. 동정을 하기 위하여 재료를 알코올램프 위에서 태워 해부현미경하에서 개충들의 배열상태와 외부형태를 관찰하였고 보다 세밀한 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으며 분류학적 형질로는 주로 충실, 충실구 및 난실의 형태, 조두체의 위치와 형태 등을 사용하였고 Osburn(1952)과 Harmer(1957)의 분류체계를 참고로 하였다. 3. 동정·분류된 종은 18과 31속 49종이었고 이중에서 Celleporaria n.sp., Parasmittina n.sp., Codonellina n.sp. 및 Turbicellepora n.sp.의 4종은 신종이었으며 다음의 15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다. 섬유이끼벌레(Celleporaria wakayamensis), 갈색섬유이끼벌레(Celleporaria brunnea), 큰굽은잎이끼벌레(Sinupetraliella gigantea), 만곡이끼벌레(Watersipora arcuata), 해머입이끼벌레(Smittina malleolus), 망태양입이끼벌레(Smittoidea reticulata), 길쭉입이끼벌레(Parasmittina elongata), 술측입이끼벌레(Parasmittina crosslandi), 은부리이끼벌레(Rhamphostomella argentea), 퍼진두꺼비이끼벌레(Buffonellaria divergens), 상칭은협이끼벌레(Calyptotheca symmetrica), 불협화이끼벌레(Microporella discors), 넓적부리이끼벌레(Adeonella platalea), 다형이끼벌레(Adeonella polymorpha), 태양연구멍이끼벌레(Phidolopora pacifica). 4. 섬유이끼벌레 과(Celleporariidae), 부리이끼벌레 과(Rhamphostomllidae), 아데오넬리과(Adeonellidae)의 3과와 섬유이끼벌레 속(Celleporaria), 굽은이끼벌레 속(Sinupetraliella), 부리이끼벌레 속(Rhamphostomella), 두꺼비이끼벌레 속(Buffonellaria), 아데오넬라 속(Adeonella), 연구멍이끼벌레 속(Phidolopora), 소라이끼벌레 속(Turbicellepora)의 7속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과와 속들이다. 5. 본 연구에서 밝혀진 49종과 이미 발표된 21종을 합한 70종에 대하여 한국산 유낭류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채집지별 분포를 보면 서귀포에 40종으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그 다음으로 미포에 19종, 월성에 13종, 대한해협, 문도, 대포, 서천에 각각 11종의 순으로 분포하였다. 6. 각 종에 대한 채집지 수를 보면 자주빛이끼벌레(Watersipora subovoiea)가 총 57개 지역 중 26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포로시시마이끼벌레(Cellporina porosissima)는 17개지역, 구멍침이끼벌레(Mucronella perforata)가 10개 지역, 사슬이끼 벌레(Halysisis ijimai), 미끈이이끼벌레(Vittaticella elegans), 방사이끼벌레(Fenestrulina malusii)가 각각 9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비교적 넓게 분포하고 있었다. 7. 3해역별 분포를 보면 남해에 60종으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황해에 25종, 동해에 15종이 분포하였다. 1해역에만 분포하는 종도 남해에만 분포하는 종이 가장 많아 42종, 황해에만 분포하는 종은 6종, 동해에만 분포하는 종은 1종이었다. 해역간에 공통으로 분포하는 종은 남해와 황해간에 7종, 황해와 동해간에 3종, 남해와 동해간에 2종이었고 3해역에 모두 나타난 종은 9종이었다. 8. 대양별 공통 분포를 보면 북태평양과 인도서태평양에 분포하는 종이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대서양에 19종, 남미 이하의 동태평양에 16종, 서인도양에 14종, 북극해에 5종이 분포하였다. 9. 수형별 분포를 보면 난온수형이 35종으로 가장 많았고 난온수형이면서 열대수형이 20종, 열대수형과 범세계형이 각각 3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열대수형인 스픈이끼벌레(Hippomenella spatulata), 큰굽은잎이끼벌레(Sinupetraliella gigantea) 및 불협화이끼벌레(Microporella discors)의 북한계선은 각각 서귀포, 미포, 월성으로 밝혀졌다. 10. 부착장소를 알 수 있는 65종에 대한 부착장소별 분포를 보면 해조류에 부착한 종이 가장 많아서 34종이었고 조개껍데기에 22종, 다른 태충류에 17종, 바위에 16종, 산호충류에 10종의 순으로 나타났다. ; 1. For a systematic study on the Ascophora in Korea,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38 localities along the three sea coastal lines an islands of South Korea from 1965 to 1986. 2. To identify them, the soft parts of specimens were burnt with the alcohol lamp and their external features were observed under stereomicroscope. The close observation of the zooecium was done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pecimen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the form of zooecium, orifice and ovicell, and the location and form of avicularium as taxonomic characters. The systematic scheme of Osburn(1952)and Harmer(1957)were consulted in this study. 3. The species identified consist of 49 species, 31 genera and 18 families. Of these species, the following four species, Celleporaria n. sp., Parasmittina n.sp., Codonellina n.sp. and Turbicellepora n.sp. were confirmed to be new species, added to the known Korean ascophoran fanua were 15 species as follows: Celleporaria wakayamensis, Celleporaria brunnea, Sinupetraliella gigantea, Watersipora arcuata, Smittina malleolus, Smittoidea reticulata, Parasmittina elongata, Parasmittina crosslandi, Rhamphostomella argentea, Buffonellaria divergens, Calyptotheca symmetrica, Microporella discors, Adeonella platalea, Adeonella polymorpha, Phidolopora pacifica. 4. Three families, namely Celleporariidae, Rhamphostomellidae and Adeonellidae, and seven genera, namely Celleporaria, Sinupetraliella, Rhamphostomella, Buffonellaria, Adeonella, Phidolopora and Turbicellepora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5. The result of the distribution survey on the 70 Korean ascophorans(49 species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 other 21 species recorded in the previous reports)showed the following: 40 species at Sogwipo, 19 ar Mipo, 13 Wopsong, eleven at the Korea Strait, Mundo, Taepo and Schon. 6. These species occurred at the following number of localities; Watersipora subovoidea occurred at 26 localities out of a total of 59, Celleporina porosissima at 17, Mucronella perforata at ten, Halysisis ijimai, Vittaticella elegans and Fenestrulina malusii at nine. 7. With regard to their distribution in the three Korean Sea, we found 60 species in the South Sea, 25 in the Yellow Sea and 15 in the Sea of Japan. Some of the Korean ascophorans occurred only at a specific one or two regions. 42 species were observed only in the South Sea, six only in the Yellow Sea and only one in the Sea of Japan. Seven common species were observed in both the South Sea and the Yellow Sea, three common species in both the Yellow Sea and the Sea of Japan, and two other common species in both South Sea and the Sea of Japan. Nine common species occurred in all three regions. 8. In comparison with distributional records for other sea regions, the Korean ascophorans fauna shares following distributional commonness: 28 species were reported from the North Pacific and the Indo-West Pacific Ocean, 19 from the Atlantic Ocean, 16 from the East Pacific Ocean below South America, 14 from the West Indian Ocean and five from the Arctic Ocean. 9. In regards to distribution of Korean ascophorans by water form, 35 species were confirmed to be warm-temperate form, 20 to be both warm-temperate and tropical form, three to be tropical form and cosmopolitan form.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northern boundary line of three tropical forms-viz. Hippomenella spatulata, Sinupetraliella gigantea and Microporella discors-turned out to be Sogwipo, Mipo and Wolsong. 10. Finally, about the distribution of the substrata of the 65 species(five species of all the 70 unknown), 34 attached to seaweeds, 22 to shells, 17 to other bryozoans, 16 to rocks, ten to anthozo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