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6 Download: 0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 개념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 개념에 관한 연구
Authors
양순옥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간호의 궁극적 목표는 인간의 건강을 유지, 증진한다는 보편성을 높고 볼 때 건강개념은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metaparadigm이다. 건강개념의 인식은 건강행위 결정에 핵심요인으로 이를 결정하는 것은 해당문화의 사고 원형이다. 따라서 대상자가 만족하는 간호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대상자가 인식하고 있는 건강에 대한 사고 원형을 이해하고 존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한국인이 건강에 대해 어떤 개념을 갖고 있는가를 연구함으로 한국 간호이론 발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개념에 대한 실체이론(substantive theory)을 발달시키고자 함이며, 기존의 연구는 주로 서구의 건강개념을 사용한 점을 지양하여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개념과 서구의 건강개념인 Smith와 Parse의 건강개념과 대비함으로 한국인의 건강개념에 대한 실체를 찾아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한 종류인 근거이론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족 건강제공자 역할을 주로 담당하는 주부로서 Glaser와 Strauss가 제시한 이론적 표본 추출을 실시한 결과 121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1989년 2월부터 6월까지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본 연구자가 직접 심층면접을 통해 실시한 것이며 총자료는 녹음 기록하였다. 건강개념의 의미에 대해 대상자의 158개의 근거자료를 계속 비교 분석하여 통합한 결과 실체개념이 나타났다. 즉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개념은 힘과 원활함, 조화성, 그리고 신명성으로 나타났으며,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분리된 개념이 아니라 통합된 개념으로 그 경계가 명백하게 구분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한국인의 건강 실체개념은 힘과 원활함을 근간으로하여 개인, 가족, 환경과의 조화를 말하며, 그 이면에는 운명론적인 神明性이 내재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체 건강개념은 자기자신과 생활경험을 반영한 것으로 음양사상의 근간인 성리학의 道사상과 中庸, 仁, 氣 유가의 가족주의적 성향 및 천운관사상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전통문화가 건강개념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Leininger의 (횡)문화 간호이론은 지지되었다.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 개념과 Smith와 Parse의 건강개념의 대비는 사전적 의미 분류로 보았으며 실제로 나타난 한국인의 건강개념은 명백하게 분류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Smith의 건강개념 구조에서는 임상적, 기능적 관점에서 보다 안녕에 그리고 Parse의 건강개념에서는 그의 건강개념 자체가 인간, 환경, 건강을 동일 선상에 두어 조화성에서 포괄적 의미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 인간내의 심신 조화와 안녕에 보다 큰 의미를 부여하여 개인 보다는 가족, 사회 및 더 나아가 자연 및 초자연과의 조화성에 강조를 두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건강에 대한 실체 개념을 도출하여 한국적 간호이론 정립에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간호이론 연구, 교육 실무에 일조가 되리라고 기대한다. ; Nursing’s purpose being the promotion of health, the concept of health within the nursing paradigm needs to be defined in every culture. The paradigm components must be explored for the meaning given by the people in their traditional thought and philosophy. Korean nursing, wanting to become culturally acceptable, satisfying and effective, is learning to recognize, respect and develop Korean health beliefs, values and behaviors. The problem addressed by this qualitative study was how Korean people conceptualize health with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nursing theory. Specific objectives were to build a substantive theory of health, to compare the data with concepts of health defined by Smith and by Parse(because Korean nursing has tended to use only western concepts of health, and because Parse’ concepts seem similar to Korean thought), and to suggest conceptual components for a Korean nursing paradigm. Theoretical support for the study was from Rogers, Parse, Newman and Leininger, and from Korean philosophy and traditional oriental thought. The informants were 121 urban mothers from a variety of social levels and family patterns; traditionally mothers are responsible for the family’s health. The concentrated interviewing period was from February to June 1989; interviews were done by the researcher and most were recorded on audiotape. Grounded theory guided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analyses to build a substantive theory. Health concepts that emerged from the categories and properties were energy, movement, harmony, and providential grace. These concepts are all integrated into the idea of health. Harmony is a reflection of energy and movement whose source in providential grace. Compared with Smith’s concepts of health as clinical, functional role performance, adaptive and eudaimonistic, Korean emic data were concentrated in the eudaimonistic category. The data were consistent with parse concepts of energy, harmony and plentitude, but intergrated into the based concept of harmony. The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nursing theory, research, education and pratice change and develop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