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제재와 여백을 통한 공간 연구

Title
제재와 여백을 통한 공간 연구
Authors
김현경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가가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가장 원천이 되는 것은 상상력이라고 볼 수 있다. 상상력은 단순히 예술가에게만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도 모두 가지고 있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자유로운 사고는 우리의 삶을 좀 더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들어 준다. 본 논문에서는 학부교육기간을 거쳐 대학원에서 작품구상 과정에서 나타난 작가의 자아의식의 성장과 그 결과로 나타난 본인의 주관적인 조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작품제작에서 창조적 전환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가는가를 서술하였다. 본인은 동양화의 전통적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두루미라는 새를 주제로 하여 이를 주관적 조형의지에 따라 현대화를 모색해 가는 작업 과정을 시도해 보았다. 특히 동양화의 전통적 공간 원리에서 중요시하는 여백이라는 공간 개념에서 출발하여 그림의 주된 모티브인 두루미를 단독으로 또는 중복하여 표현한 화면 공간 속에서 수직과 수평선을 이용하여 본인의 심리를 반영하는 조형적 변화 과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론적 부분은 여백에 대한 의미와 그것이 화면 안에서 어떠한 기능으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본인의 작품 속에 자주 나타나는 직선이 가지고 있는 성격과 화면 속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작품분석에서는 시각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작품사진을 제시하는 이외에도 면 분할과 그려진 주어진 주대상의 동 세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면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인은 이 작품제작 과정 서술에 나타나는 공간에 대한 주장이나 논리가 반드시 새롭거나 창조적인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조형상의 시도와 의식의 흐름은 자신 내면의 세계를 반영시키고자 한 것이다. ; Imagination seems the most valuable source for creating a work for me. It is necessary not only for the artist but also for the ordinary people to have their lives furnished and significant. I would like to introduce my way of molding which is obtained from the growth of my self-concept along with the embodiment of new works during the university and the graduate school. First of all, I want to refer to the space, which is one of my major concept, I would like to express on my works. This is based on the traditional blank idea of the Oriental arts and enlarged its fundamental to the use of numerable space structure. This also shows my subjective view on the space concreated from the trial to develope it from the second dimension to the third dimension.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is often applied to my works to reflect my emotional status because both lines are more familiar especially to our human beings than to any other species considering that we stand erect and sleep parallel with the ground. It means we live in the space which both lines are crossed. Also, except for the ecological respect, in the deep human subconscious, we have both desires to stay stable in the reality and to go upward to break the reality for the ideal status. I would like to express these psychology of the moderns including myself through my works using these two lines, and I tend that the crane, my main objective, which can move the spaces at liberty, is to make all the observers feel free. This is showed when the crane is get along with the space - the blank in the Oriental works - and I choose it because I thought each observers have their own point of views depend on their emotional react. So, all the spaces appeared in the works can be completed with the imaginations of the observers. All the logics and contentions expressed through my works are not always new or creative, but all the modeling methods and the concepts of the conscientious are the picture of my inside. I will continue to study the idea of traditional blank and major motives, which is my works basic idea, of the Oriental paintings to make my space unlimited and more vit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